• Title/Summary/Keyword: 식사준비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초등학생 아침 안 거르기를 위한 보건소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Lee, Hae-Yeon;Moon, Hyun-Gyung;Cho, Sung-Eok;Lee, In-Young;Choi, Hye-Ryun;Jang, Young-Ju;Park, Young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58-1059
    • /
    • 2003
  • 학동기(만 6-12세)에 좋은 영양 공급은 일생의 성장 발육의 기초를 조성하여 지적, 사회적, 정서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초등학생의 영양문제와 식습관을 해결하는 방안의 하나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아침결식률을 낮추기 위한 ‘아침 안 거르기’ 사업을 학교와 연계 개발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시 강북구 관내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26명(실험군 451명, 대조군 675명)을 대상으로 4∼9월까지 6개월간 5단계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평가를 위해 사전(실험군-학생 428명, 부모 416명, 대조군-학생 656명, 부모 589명), 사후(실험군-학생 427명, 부모 368명, 대조군-학생 608명, 부모 558명) 설문조사를 2회 실시하여 행동과 인식률 변화를 측정하였다. 프로그램은 매월 1회 담임교사가 진행하였고, 교육자료 및 홍보물은 아침먹기 캐릭터 가방걸이와 학부모의 참여를 높이고자 가정통신문과 교육내용을 함께 삽입하여 제작한 알림장, 아침먹기와 일찍자기를 실천할 실천스티커를 배포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후 아침 먹기 실천달력을 제공하였다. 또 아동들 자신의 식생활을 바르게 꾸려 나갈 수 있도록 가공식품의 ‘영양표시’에 관한 교육을 함께 교육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영양표시제에 관한 인식변화와 행동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학생들의 아침식사 실천율은 매일 먹는 그룹이 실험군은 62.9%에서 69.6%로 7% 상승하였고, 전혀 먹지 않는 그룹은 11.2%에서 6.4%로 4.8% 감소하였다(p<0.001) 대조군의 경우 매일 먹는 그룹은 70.4%에서 70.2%로, 전혀 먹지 않는 그룹은 6.9%에서 6.5%로 나타났다(p<0.001). 아침식사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률 변화는 큰 영향이 있다고 답한 그룹이 실험군은 60.1%에서 64.8% (p<0.001)로, 대조군은 64.8%에서 57.2% (p<0.001)로 각각 변화하였다. 일찍 자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률은 큰 영향이 있다고 답한 그룹이 실험군은 52.5%에서 70.7%(p<0.001), 대조군은 55.3%에서 60.2%로(p<0.001), 일찍 자기 실천에 대한 의지 변화는 11시 이전에 잘 계획이라는 그룹이 실험군은 31.9%에서 43.9%(p<0.001), 대조군은 35.5%에서 36.8%로 나타났다(p<0.001). 영양 표시에 관한 문항에서는 식품구매시 영양표시를 보고 구매한 경험이 없다는 군이 실험군에서는 58.2%에서 40.4%로 감소하였고(p<0.001), 대조군은 64%에서 53.6% (P<0.001)로 감소하였다. 영양소에 관한 지식 평가에서 짜지 않은 간식을 선택할 때 유의할 성분을 나트륨이라고 답한 그룹은 실험군은 31.7%에서 56.3%로, 대조군은 15.9%에서 23.0%로 나타나 그룹간 큰 차이를 보였다. 아침식사로 좋아하는 음식은 김치, 김치찌개, 밥, 피자, 고기, 빵, 된장찌개, 김, 햄, 계란후라이 순이었으며 싫어하는 아침음식은 피망, 고추, 양파, 김치, 시금치, 마늘, 콩, 파, 피자, 나물순으로 나타났다. 아침식사로 혼자서도 준비할 수 있는 음식은 밥, 라면, 계란후라이, 김치, 반찬, 볶음밥, 계란, 국, 햄, 씨리얼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인식률 변화는 가정내에 컴퓨터 설치장소로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장소로 실험군의 경우 학생 방은 28.0%에서 21.6%로 6.4%감소하였고, 마루나 거실은 61.3%에서 66.0%로 5%증가하였다(p<0.001). 반면 대조군의 경우 학생 방은 28.8%에서 24.9%로 3.9% 감소, 마루나 거실은 63.4%에서 65.9%로 2.5%증가하여 실험군과 큰 차이를 보였다(p<0.001) 자녀의 늦은 취침시간과 아침식사에 관한 인식률 변화는 아침식사에 영향이 있다는 군은 실험군의 경우 78.1%에서 82.7%로 4.2% 증가하였고(p<0.05), 대조군의 경우 82.2%에서 80.5%로 감소하여 나타났다.(P<0.001) 연구결과 실험군의 경우 일주일 동안 아침을 전혀 먹지 않는 학생이 감소하고 매일 아침을 먹는 학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아동의 아침식사 행동변화와 인식률 변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n Exercise Training in person with Incomplete Hemisection cord injury after Discharge (불완전 척수손상자의 퇴원 후 운동훈련의 효과 사례보고)

  • Park, Mi-Hee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 /
    • v.12 no.4
    • /
    • pp.25-31
    • /
    • 2005
  • 이 사례연구는 2002년 10월 15일 칼에 의한 좌상으로 경추 3-4번의 불완전 척수손상을 입은 25세의 남자 환자가 최초 병원에서 2002년 12월 한달 간의 치료를 마친 후, 2003년 1월 3일부터 4월 28일까지 태릉에 위치한 N 재활센터에서 주 5회 2시간의 자세조절 훈련, 심폐지구력 훈련, 웨이트 훈련, 스포츠(축구, 소프트 볼), 여가활동(등산)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척추손상 환자의 사회적응을 돕기위한 재활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꾀하기 위한 기초 선행 작업으로 시작되었다. 신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수동근력검사(Muscle Manual Test), 경직(Spasticity), 신체체력(Physical Fitness), 발란스(Balance: one leg stand), 상대적인 등속성 하지근력(Isokinetic Muscle Strength) 그리고 신체조성(Body Composition)로 하였다. 재활기간을 통해 처음 시작 일자에서 45일 간격으로 3차례의 측정을(1월 3일부터 4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실시하였다. 최초 환자의 상태는 부분적으로 일상생활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상태로 동작을 시작하려 할 때 경직이 발생되어 옷을 입고 벗기, 신발 신고 벗기, 운전, 식사, 보행과 계단보행, 경사보행에서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했으며, 작은 물건 잡기와 글씨쓰기, 타이핑 작업은 불가능 한 상태였다. 또한 스포츠 활동과 여가활동 역시 불가능 한 상태였다. 3달 15일간의 기간 동안 환자는 복학을 준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신체조성은 재활 훈련을 통해 체중, 체지방율(%), 복부지방율(WHR)의 많은 감소를 가져왔다. 경직을 측정하는 Ashworth Scale은 정상에 가깝게 감소하였다. 관절가동범위는 고관절, 무릎, 발목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수동근력검사(0-9)는 많은 향상을 가져왔다. 신체체력능력 항목에서 근지구력의 윗몸일으키기와 팔굽히기, 악근력, 유연성으로 앉아 체간 숙이기, 민첩성으로 사이드 스텝, 순발력의 서전트는 모두 크게 향상되었다. 환자의 일상능력에서도 옷을 입고 벗기, 신발 신고 벗기, 운전, 식사, 보행과 계단보행, 경사보행에서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없었으며, 타이핑 작업은 5손가락을 모두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1분에 80타로 큰 향상을 가져왔다. 또한 축구와 소프트볼, 등산을 달에 1회 정도 실시하여 약간의 도움만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xaminees Preparing for The Civil-Service Examination (공무원시험 준비 수험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Kim, Yun-Su;Lee, Yu-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5
    • /
    • pp.275-284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level, health beliefs, and self-efficacy of individuals preparing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s, as well as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study subjects were 290 individuals who were preparing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s in Noryangjin, where there are a lot of private institutions that provide training for the examination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s conducted from December 1 to 19, 2017. With the use of SPSS ver. 23,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On average, the score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was $2.37{\pm}0.45points$, health beliefs $3.13{\pm}0.45points$, and self-efficacy $3.55{\pm}0.74points$.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benefits, which are sub factors of health beliefs (r=.60, p<.001; r=.55, p<.001), while it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barriers, which are a sub factor of health beliefs (r=.32, p<.001). The factors that influenced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perceived health condition and perceived barrier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25.1% (F=13.58, p<.001). In general, respondents studied for the examinations for a long time and were under severe job pressure; accordingly, they need to have quality meals, regular exercise, and regular medical check-ups to enha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to control their stress.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for adolescent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practices reflecting eating behaviors and food environment (식행동, 식생활 환경을 반영한 청소년의 식생활·영양 실천 평가 항목 개발)

  • Jimin Lim;Hye Ji Seo;Jieun Oh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7 no.1
    • /
    • pp.136-152
    • /
    • 2024
  • Purpose: A comprehensive evaluation item was developed to assess adolescent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practices, considering food intake, eating behaviors, and food culture, such as social support and food environment. Methods: The 59 candidate items of the evaluation checklist were obta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igh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 Dietary Reference Intakes, dietary guidelines for adolescents, Youth Risk Behavior Survey data,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dietary guidelines, and literature reviews. Four hundred and thre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s participated in a survey using the 58-item checklist, which was selected through expert evaluation and content validity ratio analysi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 for the quality of adolescent diets was assess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es to determine if the checklist items were organized properly and whether the responses to each item were distributed adequately. Results: The Bartlett sphericity test was significant for each area (p <0.001), and the eigen values were greater than one. The Kaiser-Meyer-Olkin and cumulative proportions by areas were food intake (0.765 and 56.8%, respectively), eating behaviors (0.544 and 64.8%, respectively), and food environment (0.699 and 62.4%, respectively). Twenty-two checklists were determined for the final evaluation items for the adolescent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practices and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stinct factors: food intake (10 items), eating behaviors (4 items), and food environment (8 items). Conclusion: The evaluation items for adolescent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practices is a useful checklist for easily and quickly assessing the dietary qualities and reflecting Korean adolescents and their food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a sustainable diet.

A Status of Kitchen Planning of Units in Elderly Housing Facilities (노인주거시설 단위주호의 부엌가구디자인 및 사용실태)

  • Ju, Seo-Ryeung;Kim, Min-Kyoung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4 s.62
    • /
    • pp.247-256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kitchen of units in elderly housing facilities and the housing needs of residents. Compared with a lot of comprehensive and alternative studies on elderly housing facilities until now, specialized studies of behavior of elderly housing life and detailed dimensional study have hardly made. Therefore we intend to examine the status of kitchen planning on representative elderly housing facilities in Korea. As the methods of this study, we executed a field study into 4 representative elderly housing facilities in Korea. We visited each 2 units out of the outstanding 4facilities and surveyed the total 8 kitchens. Then we analyzed the space planning and kitchen furniture design of them and the state of kitchen commodities, and measured the kitchen equipment. In addition, we executed interview about satisfaction, preference, use from the residents. As a result, we could find out that depending on whether residents were sewed with meal offered from the facilities or not, the pattern of usage and commodities were quite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simplest spaces just for preparing some refreshment and tea are suitable. And for the self-cooking residents, much larger cabinets and utility rooms are additionally needed. Safety and functional aspect were quite well designed. Washing machines are usually built-in the kitchen cabinets, and residents are satisfied with this arrangement. We hope that the supplementary study about old people habit and behavior will be a good data of kitchen planning for Korean-type elderly housing units of facilities.

  • PDF

Effects on the Students' Eating Behavior by Education of Food and Nutrition Section in Middle School (중학교 식생활단원교육이 학생들의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Jo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81-81
    • /
    • 2009
  • 중학교 식생활 단원 교육은 신체적 성장이 왕성한 청소년기에 접어진 학생들이 올바른 식생활을 하여 건강 유지 및 정상적인 성장발달을 하는데에 꼭 필요한 내용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식생활단원 교육을 통해 교육내용의 활용정도나 전반적인 식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대전지역에 소재하는 4개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8년 12월 5일~16일까지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여학생이 48.9%, 남학생이 51.1%이고 학생들의 부모의 연령은 40-49세가 각각 81.4%, 86.7%를 차지하고 부모의 직업에서 아버지는 사무직(34.4%)이 가장 많고 어머니는 가정주부가 44.5%로 가장 많았다. 부모의 학력은 대부분 고졸이상이며 가족형태는 핵가족이 90.5%이고 부모의 한 달 총수입은 500만 원 이상이 32.6%로 가장 많았다. 식생활단원 교육 후에 식생활에 대한 관심정도는 '관심이 생긴 편이다'(36.4%), '그저 그렇다'(33.8%)가 많았고 남 여 학생의 경향이 비슷하였다. 교육 후 가장 변화된 점은 '간단한 조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가 38.6%로 가장 높은 반면 '아무 변화가 없다'도 34.4%나 되었다. 식생활 태도에서는 5점 likert 점수에서 '식사시간이 규칙적이다'(3.36), '골고루 섭취한다'(3.39), '식사준비를 돕는다'(3.07)에서 보통 이상의 점수로 양호한데, 한편 '내가 먹은 음식의 영양분과 열량에 관해 알고 있다'가 2.57로 잘 모르는 편이고 '다이어트 보조음식이나 약을 먹는다'가 1.48로 그렇지 않은 편이었다. 식생활단원의 활용도에서는 5점 likert 점수에서 '성분과 유통기한을 확인한다'(3.93), '간단한 음식을 직접 만들 수 있다'(3.80)가 높은 점수이었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분과 유통기한 확인한다'(P<.01), '조리기구는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P<.05)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 활용도에 대한 학생들의 가정환경과의 상관성에서는 부모의 학력이 고졸 이상에서 중졸이하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 부모의 직업의 경우, 아버지가 무직인 경우, 어머니가 가정주부인 경우에 직업을 가진 부모의 학생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활용도가 낮았다(P<.01). 부모의 한 달 총수입과의 상관성에서는 400~500만원 미만의 경우에 다른수준보다 유의적으로 활용도가 높았다(P<.05). 따라서 식생활단원 교육에 의해 변화가 없는 학생들도 상당히 많아 교육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며 그 활용도가 가정환경과 상관성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lderlies in Chollabuk-Do Area (일부 전북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능력)

  • Lee, Ki-Nam;Jeung, Jae-Yeal;Jahng, Doo-Sub;Lee, Sung-Ko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5 no.1
    • /
    • pp.65-83
    • /
    • 2000
  • To know the relationship of general characteristics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we carried out the study on the elderies living in Chollabuk-Do area during 6 months, from June to December in 1999. Study subjects were 281, women and men were 195(69.6%) and 85(30.4%) respectively. Mean ages of women and men were 71.9 and 70.8 respectively. 81.1% elderies has disease and 18.9% were disease free. Disease prevalences of movement joint disease, others, circulatory disease, digestive disease, dental disease, respiratory disease were 50.1%, 25.0%, 10.5%, 9.4%, 8.5%, and 6.3%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to the use of medical institution in recent were 40.0% for hospital, 16.8% for oriental hospital, 14.5% for public health center, 10.9% for drug store, 10.0% for others, and 7.8% for dental service. The percentages to the improvement of symptom after the use of medical institution were 62.3% for normal, 19.4% for improvement, and 18.2% for non-improvement. The percentages to the health situation were 37.1% for bad, 35.7% for good, and 27.1% for norm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67.1% for 6 scores, 27.9% for 5 scores, 2.1% for 4 scores and ADL of women was lower than the men'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50.4% for 5 scores, 19.3% for 3 scores, 12.1% for 4 scores and IADL of women was lower than the men's. Frequencies of disability in ADL were 28.9% for incontinence, 6.1% for bathing, 2.9% for meal, 2.5% for walking around house, 1.8% for toilet use, 1.4% for dressing and disability frequencies of women in 6 items of ADL were higher than the men's. The percentages of high, intermediate, low ADL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67.1%, 32.5%, 0.4% respectively and decrease of high ADL, increase of intermediate ADL were found with the increasing of age. Frequencies of disability in IADL were 42.9% for payment in and out, 31.8% for payment of written claim, 21.1% for shopping, 16.4% for preparation of meal, and 11.8% for use of bus. All items of women in IADL was higher than the men's but preparation of meal. The percentages of high, intermediate, low IADL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50.4%, 42.5%, 7.1% and decrease of high IADL, increase of intermediate IADL were found with the increasing of age. Mean of ADL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as 5.56 and 2 variables of level of education, health situ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of IADL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as 3.76 and 8 variables of age, sex, level of education, occupation, presence of spouse, duty of living cost, health situation, category of AD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DL was statistically related with religion, health situation and ADL was statistically related with level of education, living together with family, duty of living cost, health situation.

  • PDF

Evaluative Criteria Sub-factor in Food Preparation and Eating: Housewives and Cooks (음식준비와 식사의 평가기준과 하위요인: 주부와 조리사를 대상으로)

  • Hong, Soon-Myung;Yu, Kyeong-Hee;Lim, Hwa-Jae;Hwang, Hye-Jin;Seo, J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16 no.2
    • /
    • pp.73-80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the evaluative criteria and sub-factor in terms of food preparation and eating for the housewives and cooks in Ulsan Metropolitan City. 217 full-time housewives and 129 cooks were surveyed for this research. The cooks evaluated preference, cooking time, taste, food color, food temperature more important than the housewives. The evaluative criteria in food preparation and eating was consisted of 4 factors; the eating atmosphere factor, the preference factor, the quality factor and the table setting factor.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of the eating atmosphere factor between men and women.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of the preference factor between marital status, age, Engel Coefficient, educational level and occupation. The quality factor was varied from sex,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 PDF

국의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

  • 이경신
    • Proceedings of the EASDL Conference
    • /
    • 2003.09a
    • /
    • pp.24-3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의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을 평가하고 국의 영양에 대하여 고찰하고 영양소 구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국의 조리법에 관한 전문서적, 전문잡지 등으로부터 562가지의 국의 레시피를 수집하고 168가지의 전형적인 국의 레시피를 만들어 이를 기본 데이터로 하여 국의 열량 및 영양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68가지 국의 열량 및 영양소 함유량의 평균치를 보면, 한국인을 위한 영양권장량에 대한 충족률이 6.3%(열량)~41.3%(비타민 A)의 범위에 이른다. 그리고 (밥과 국)만으로도 지방을 제외한 영양소를 한 끼 영양권장량의 50% 이상 섭취할 수 있다. 국은 영양이 풍부한 음식임이 분명하다. 2.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 끼 영양권장량의 50% 이상 섭취할 수 있는 영양소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에 따르면 (밥과 국)의 82.8%가 '양호한 영양소 구성' 이상이라고 평가되었다. 국은 훌륭한 영양소 구성을 가진 음식으로 평가한다. 3. (밥과 국)의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과 국을 만드는데 쓰이는 식재료의 수, 종류, 중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로부터 '양호한 영양소 구성'을 가진 국을 만드는 간단한 지침을 얻었다. 실제로 국을 만들 때 주로 쓰이는 식재료인 담색채소, 녹황색채소, 어패류, 육류, 두류ㆍ두제품 중에서 3가지를 100g 이상 되도록 준비하여 국을 만들면 '양호한 영양소 구성'을 가진 국을 만들 수 있다. 4. (밥과 국)의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의 특징을 바탕으로 적절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는 식사가 되기 위해 다른 반찬을 곁들이는 지침을 제안하였다. 국을 만들 때 1~2가지의 식재료를 이용한다면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이 모자라기 쉽기 때문에 육류ㆍ어패류ㆍ난류 두류 반찬과 채소 반찬을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반면, 국의 식재료가 6이상이면 열량과 지방이 넘칠 수 있으므로 육류ㆍ어패류ㆍ난류ㆍ두류 반찬을 반드시 갖출 필요가 없다.

  • PDF

The Knowledge of Korean Ceremony Foods and Table Setting of Korea]1 American Housewives in the New York/New Jersey area (한국의례음식과 상차림에 관한 인식과 실행(재미 한인 주부를 중심으로))

  • 심영자;김정선;전희정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5 no.2
    • /
    • pp.146-157
    • /
    • 1999
  • The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ceremony foods was evaluated from 271 Korean American housewives residing in the New York and New Jersey metropolitan area.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collect information on 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subject and their knowledge on ceremonial foods and table settings. Over half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table settings for ceremonial foods are important and most of them knew and learned Korean ceremonial foods from either their own mothers or mother-in-laws. About three-quarters responded that traditional table settings need to be simplified and half of them stated that family education is the best way of proceeding knowledge on ceremonial foods. Most of them have knowledge of table settings for a child's birthday, a baby's first birthday, a baby's hundredth day after birth, New Year's and full moon days. However, few respondents were knowledgable about other ceremonial foods. Practically, they are more likely to simplify the table setting for Korean traditional ceremonies, such as child's birthday, 60th birthday, wedding, and memorial d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lan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immigrants in the U.S. so that they can make informed decisions in building cultural identities in the new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