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간지리학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6초

수도권 지하철망 상 통행흐름의 위상학적 구조와 토지이용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Topological Structures of Traffic Flows on the Subway Networks and Land Use Patterns in the Metropolitan Seoul)

  • 이금숙;홍지연;민희화;박종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27-44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서울시를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 가장 높은 수송분담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하철망 상 통행흐름의 시 공간적 구조를 밝히고, 그러한 통행흐름과 토지이용의 관계성을 밝히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04년 7월 이후 수도권 대중교통이용자의 대부분이 이용하고 있는 교통카드 통행거래자료 중 매년 주중 하루치의 통행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지난 4년간 수도권 지하철망 상 통행흐름의 위상학적 구조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하루 중 시간대별 통행흐름의 공간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하루를 아침 출근시간대, 낮 시간대, 저녁 퇴근 시간대로 나누어 수도권 지하철망 상의 각 지하철역의 시간대별 출발통행량과 도착통행량을 산출하고, GIS를 이용하여 그 공간적 패턴을 비교한 결과 시간대별로 확연한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지하철 통행흐름의 위상학적 구조와 토지이용과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하여 각 지하철역의 시간대별 출발 도착 통행량과 그 지하철역 주변지역의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하는 지리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시간대별 출발 통행량 및 도착 통행량 관계를 설명하는 선형 대수식을 도출하였다. 함수식의 적합성 판명을 위하여 공선성진단과 이분산성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경합(競合) 장소(場所)로서의 계룡산(鷄龍山) (Kyeryong Mountain as a Contested Place)

  • 류제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53-570
    • /
    • 2005
  • 계룡산에는 상이한 종교(또는 이념) 집단들이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며 이용해 온 공간과 장소들이 있다. 불교와 유교 그리고 무속을 포함하는 민간 신앙들은 자기 고유의 영역과 정체성을 생산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제각기 다른 이념(또는 세력)을 구현하여 왔다. 무속을 중심으로 하는 저항의 지리는 계룡산 전역에 걸쳐 불연속적인 영역을 기반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저항의 지리가 가장 뚜렷하게 확인되는 지점은 삼불봉, 암용추, 숫용추 등이다. 지금까지 무속과 불교의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뒤엉킴을 통하여 피지배 세력인 무속이 생존하여 왔던 것이다.

치유적 모빌리티로서 서울 한양도성길 걷기 (Walking along Seoul City Wall as Therapeutic Mobilities)

  • 박향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09-125
    • /
    • 2016
  • 인간의 삶에서 치유는 떼어낼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최근 치유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이를 위한 공간, 장소, 나아가 이동에 대한 지리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서울 한양도성길 낙산구간 걷기를 사례로 걷기의 과정에서 어떠한 치유요소가 작용하며 그 지리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치유적 모빌리티' 개념과 틀을 바탕으로 181건의 블로그 텍스트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고 치유요소들을 분류한 결과, '기상 기후', '걷기 산책', 그리고 '야경'이 주요 요소로 분석되었다. 또한, 치유의 걷기 과정을 주요 요소들을 다룬 블로그 내러티브 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치유의 장소만들기, 제한요인으로서 시간, 야경 속 사회적 신체라는 지리학적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 PDF

산간분지에서 주택밀도의 결정인자로서 태양광도의 영향력 평가 (Evaluating Explanatory Power of Solar Intensity as Determining Factor of Housing Density in Intermontane Basin)

  • 엄정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89-706
    • /
    • 2009
  • 주택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변수의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과정은 일부 전문가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해 온 것이 사실이다. 산간 분지에서 주택(134채)의 밀도와 태양광도 관련 공간변수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공간 회귀분석 기법이 활용되었다. 전통적인 이론에서 주택 입지를 설명하는 전형적인 변수인 고도, 경사, 도로에 대한 접근성 등은 주택밀도에 대한 영향력에서 주요 변수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동지의 일사량과 일조시간이 산간분지에서 주택밀도를 설명할 수 있는 결정적인 변수였다. 산간분지에서 주택 입지가 전통적인 이론에서 제시하는 고도, 경사 등 이상적인 지형특성보다는 그림자로 인한 음지를 피하는 것을 최우선 순위로 고려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한반도 인구에 대한 서구의 기록과 연구물 고찰(1) -1800년대 중반부터 대한제국기까지- (A Review of Korean Population Geography Written by Westerners(1) : from the mid 1800s to the Great Han Empire)

  • 이정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61-773
    • /
    • 2016
  • 이 연구는 1800년대 중반부터 대한제국까지의 시간 범위에서 한반도를 관찰한 여러 서구인들의 기록들을 인구지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서구인들에 의한 기록 중에서 한반도 인구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약 20여 편의 문헌들을 찾았고, 둘째 해당 문헌에서 한반도 인구와 관련된 서술들을 확인하였는데, 주요 내용은 한반도 전체 인구수, 지역별 인구수, 분포, 밀도, 그리고 이동에 관한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당시 그들이 인구를 매개로 한반도와 그 위의 삶의 모습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해석하였다.

  • PDF

주택시장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의 사례 (An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in Housing Markets: the Case of Apartment Sales Markets in the Capital Region)

  • 정준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80-295
    • /
    • 2014
  • 본 연구는 최소걸침나무(minimal spanning tree) 기법을 2003년 7월-2014년 3월 기간 동안의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에 적용하여 주택시장 네트워크의 위상학적인 구조를 분석한다. 이러한 기법의 적용을 통해 파악된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 네트워크의 위상학적인 구조의 특성들은 주식시장에서 발견되는 그것들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다. 이는 네트워크의 계층구조, 네트워크 내 하위집단의 구분, 시간에 따른 결절 간 수익률의 전염 확산, 시간 종속적인 네트워크 구조에 따른 상관관계 붕괴 현상 등을 포함한다. 이는 분석 기간 동안에 아파트가 자산으로서 투기적 동기에 강렬하게 휩싸여 있었으며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뛰어난 주택 상품이라는 것에 어느 정도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호우시 구릉지 완사면에 발달된 'U자골' 곡두부에서의 지중수 거동 (Behaviour of Subsurface Water Flow on the 'U-shaped Gol' Head Hollow of Hillslope)

  • 조경민;양해근;마루이 아츠나오;박종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70-681
    • /
    • 2006
  • 본 연구는 산림이 잘 보존되고 있는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지역 내의 완사면 곡두부 지점에서의 호우시 지중수 유출과 지형형성 프로세스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 'U자골' 곡두부의 경우 20mm 이하의 강우시에는 지하수위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곡두사면과 그 상부 지점에서는 총강우량과 강우강도에 의해서 지하수위가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변동 폭은 선행강우량과 그 경과시간, 그리고 강우지속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강우시 형성된 사면의 유출특성, 즉 지하수위 상승에 기인한 복귀류 발생과 'U자골' 곡두사면을 따라 빠르게 흐르는 측방류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지중수의 흐름은 'U자골' 지형발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사면 곡두부 지형은 지중수에 의해 변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식집약산업의 공간과 네트워크 형성과정에 대한 공진화적 고찰 (A Study on Co-evolution on the Formation Process of Space and Network focused on Knowledge Intensive Industry)

  • 최해옥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28-641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네트워크와 공간의 형성과정을 사회와 기술의 변화를 나타내는 공진화(co-evolution)현상의 하이프 곡선을 이용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공진화 현상의 초기 네트워크의 출현과 공간적 사회화 시작, 외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기대감 최고조, 기대의 반작용, 학습단계, 안정적인 사회적 수용과 내면화 단계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공간과 네트워크의 공진화(co-evolution) 작용메커니즘을 기관유형별로 시간적 변화를 통해 고찰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네트워크는 공간 정책에 의해 상호 피드백을 형성하며 진화와 분화를 반복하며 형성된다. 또한 네트워크와 공간의 상호작용단계에서 정책에 대한 기대와 실망 그리고 조정 등의 사회적 수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지연(delay)의 가시성을 보인다. 초기 성장거점의 발전 단계를 지나 균형발전 그리고 광역발전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정책이 네트워크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폭우.폭설 시 침수 정보 전달과 통행시간 관계 연구 -에이전트 기반 모델을 활용하여-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Travel Time and Provision of Road Inundation Information in Heavy Rain and Snow using an Agent-based Simulation Model)

  • 나유경;이승호;조창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62-274
    • /
    • 2013
  • 최근 도시에 발생하는 폭우 폭설 등의 극단적인 기상현상은 대규모 재난으로 이어지며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극단적인 강수현상 발생 시 통행효율성을 증대시켜 도시 지역 내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침수 정보 전달 시나리오를 선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일대를 사례지역으로 NetLogo 툴킷을 활용한 모델을 작성하여, 극단적인 강수 발생 시 정보전달 시나리오별 통행시간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노면에 습기가 있거나 강설량 20mm 미만인 시나리오에서는 20~40%의 운전자에게, 강설량 20mm 이상의 폭우가 발생한 시나리오에서는 40~60%의 운전자에게 도로통제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각각 도출되었다.

  • PDF

마천루의 의미와 상징성에 관한 연구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Skyscrapers)

  • 구동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91-703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마천루의 개념과 역사를 살펴보고, 우리 시대의 마천루가 가지는 상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마천루의 개념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목적에 따라 마천루의 기준을 조작적으로 정의할 수는 있겠으나, 마천루를 지칭하는 용어들의 실용적인 의미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밖에 없다. 둘째, 세계 최초의 마천루가 어느 건물인가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이견이 있지만, 여하튼 근대적 마천루의 역사는 1800년대 후반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세계 최고층 건물들은 주로 미국의 도시들(특히 뉴욕과 시카고)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말 이후로는 아시아에 위치한 마천루들이 세계 최고층 건물이 되었다. 셋째, 마천루는 그저 높은 건물이 아니라 상징적 이미지이다. 마천루는 자본주의의 상징이며, 금융의 상징이며, 야망의 상징이다. 마천루의 상징성은 세 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높이(규모)의 상징성, 자본(경제)의 상징성, 경관(문화)의 상징성이 그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