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퍼스널 트레이닝 효과 향상을 위한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상품기획 및 디자인 방향 연구 (Research on Planning and Design of Smart Fitness Wear for Personal Training Improvement)

  • 정찬웅;곽용후;박서연;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0권3호
    • /
    • pp.97-10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피트니스웨어가 갖추어야 할 요건과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수용 정도 및 기능 수요를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퍼스널 트레이닝 효과 향상을 지원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스포츠의류의 상품기획 및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심층 인터뷰하고 그 응답 자료에 대해 범주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범주와 13개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또한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수용 정도와 상품개발에 필요한 기능 수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보다는 운동의 관여도 및 운동관련 문화와 관련된 특성에 따라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수용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에 대한 기능 수요에 대한 차이점으로는 전문 트레이너의 경우 운동 효과의 과학적 향상에 중점을 두는 반면 일반 소비자는 운동 시 지속성을 고려한 기능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심박 센싱, 근육 활성도 센싱, 부위별 운동 동작 각도 또는 자세 센싱, 운동량 센싱 등의 기능 탑재', '전문가 라인과 일반 라인별 컨셉 및 컨텐츠 개발', '압박 의류 형태로 디자인', '운동지역에 따른 상품개발의 차별화' 등의 상품기획 및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피트니스 IT 현황 및 활성화 방안 (Status and promoting of fitness IT)

  • 강선영;강승애;정형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3-6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피트니스 IT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피트니스 IT 전망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의 웨어러블 스마트 시장은 스마트워치 시장과 피트니스 트래커 시장으로 재편되고 있다. 피트니스 IT 기술의 대표적인 단말기인 피트니스 트래커는 시계, 밴드, 의류, 안경, 렌즈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시 및 연구개발 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시계나 밴드형태의 제품이 가장 많으며, 클립형태, 목걸이, 머리끈 등의 방식으로도 출시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플랫폼 시장의 양대 축으로 불리 우는 애플과 구글도 피트니스 사업 선점을 위한 건강관련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피트니스 IT의 전망은 피트니스 관련 웨어러블 기기가 소형화, 경량화 되는 추세로 볼 때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속적 성장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피트니스 IT 디바이스와 다양한 앱, 서비스들이 결합되는 매쉬업(mash-up), 사용자 환경의 편리성 확보, 그리고 디자인 요소와 가격의 합리성이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센서모듈-전극-회로가 일체화된 스마트 피트니스웨어 제작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Smart fitness wear with Integrated Sensor module-Electrode-Circuit)

  • 김리라;유병하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5-80
    • /
    • 202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mart fitness wear by designing and producing a prototype with integrated sensor modules, electrodes, and circuits. The research process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steps: 1) Selecting the positions of the sensors and electrodes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 and exercise analysis, 2) Designing and creating patterns of smart fitness wear, 3) Designing the circuit diagram of smart fitness wear, 4) Producing the prototype, and 5) Evaluating wearability.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key conclusions. First, the optimal placement of sensor modules and electrodes. Second, the functional design of the smart fitness wear. Third, improvements based on the usability evaluation. These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fashion industry incorporating IT. The smart fitness wear developed i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integrating IT with the fashion industry. This product has the potential to be utilized not only in sportswear but also in various healthcare fields, enhancing user experience through personalized health management and tailored feedback.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연동형 모바일 피트니스 앱 게임의 개발 방향 탐색 (An Explorative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of a Mobile Fitness App Game Associated with Smart Fitness Wear)

  • 박서연;이주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225-123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신체활동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의류와 연동되는 스마트 피트니스 콘텐츠와 관련하여 실용성을 갖춘 소비자 맞춤형 스마트 콘텐츠 개발 기획 연구의 일환으로, 타겟소비자의 잠재적 수요를 반영한 셀프트레이닝 지원용 스마트 피트니스 콘텐츠 개발의 구체적인 구현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피트니스 콘텐츠에 대한 잠재적 수요는 시간 경과의 순서에 따라 '운동시작 전'의 단계에서는 '사용 접근성', '흥미유도', '다각적 스토리라인'의 범주어가 도출되었고, '운동수행 중'의 단계에서는 '실시간 음성코칭', '정확한 운동자세 모니터링', '개인 맞춤형 운동처방'이 도출되었다.'운동 직후'의 단계에서는 '실질적 보상제도', '등급제도', '체형변화 모니터링', '일상생활 모니터링'이 도출되었고, '다음 운동으로 연결'의 단계에서는 '동기유발', '높은 지속성' 이 도출되었다.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스마트 피트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Fitness Models for Active Senior)

  • 강승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5-140
    • /
    • 2022
  • 본 연구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기술을 활용한 운동 사례와 이슈를 분석하고 기존의 실버세대와 달리 높은 활동력과 경제력을 지닌 액티브시니어의 웰니스 라이프에 적합한 향후 스마트 운동 환경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피트니스 산업에서도 필요한 운동도구나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 등을 정기적으로 받아보거나 이용하는 구독경제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며, 하드웨어 판매와 콘텐츠 구독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액티브시니어에게 건강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서의 가치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피트니스센터 뿐만 아니라 홈트레이닝 운동기구, 피트니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확장된 토털 플랫폼으로서의 모습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개인별 건강상태에 알맞은 운동프로그램을 제안 받고 선택하여 운동 전, 후, 운동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에 실시간 변화를 주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능 연동이 스마트 피트니스 모델의 차별적 요소이다.

실리콘-탄소나노튜브 센서 기반의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 웨어 개발 (Development of Self-trainer Fitness Wear Based on Silicone-MWCNT Sensor)

  • 조성훈;김경미;조하경;원유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93-503
    • /
    • 2018
  • 최근 국민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을 갖고 발병 이전의 예방관리를 위하여 운동을 통해 셀프트레이닝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근육의 언발란스는 자세의 비대칭성을 초래하고 인체의 비대칭성이 깨지게 되면 조정력, 순환작용, 내장기관의 변위 등을 동반하게 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가 속속 나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스마트웨어 중에서 셀프트레이닝이 가능한 피트니스 웨어를 개발하고, 안드로이드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시뮬레이션 함으로서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웨어 상용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웨어의 개발을 위하여 전도성 폴리머, 패션 디자인 및 봉제, 전기전자적인 기술이 융합하여 운동시 근육의 언발란스를 확인하고 스스로가 비대칭성을 교정할 수 있는 스마트웨어를 만들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최적 MWCNT 농도의 도출을 통한 폴리머 센서를 제작하고 도전성 섬유를 활용한 전극 신호선을 설계 및 부착하여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여 생체신호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생체신호를 전기적 신호 변환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Signal Module을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노이즈 캔슬링과 안드로이드 기반의 셀프 트레이닝 애플리케이션을 융합하여 상용화가 가능한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 웨어의 제작방법을 제시하였다.

사물인터넷 기반 피트니스 헬스케어 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 (Analysis and Design of Fitness Healthcare System based on IoT)

  • 조병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87-192
    • /
    • 2020
  • IoT 기반 피트니스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하면 실내외에서 정확한 운동량을 측정하고 언제 어느 곳에서나 스마트폰으로 필요한 운동정보에 대한 푸시메시지를 받을 수 있고 검색이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다. 이 시스템은 운동기구에 있는 센싱장치를 포함한 IoT 모듈, IoT 게이트웨이, 스마트폰, 스마트밴드 및 서버 등이 인터넷으로 연동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IoT 기반 피트니스 헬스케어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 객체지향 분석 방법인 UML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 분석 방법과 플로우차트 및 UI 설계 같은 설계 방법을 보여줌으로써 실무 개발에 적합한 분석/설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개인별 심박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피드백-RFC 모델 (Feedback-RFC Model to Individualize Heartbeat Standards)

  • 김태현;정필수;이선아;정기숙;금창섭;강성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2호
    • /
    • pp.91-102
    • /
    • 2017
  • 많은 웨어러블 스마트 피트니스 장치들이 심박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통계를 기반으로 사전 결정한 고정 수치를 기준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사람들의 신체조건은 개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모든 개개인을 같은 기준으로 적용하는 서비스는 신뢰성이 낮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운동 능력에 맞추어 심박수의 기준이 변동하는 피드백-RFC 모델과, 모델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12명의 실험참가자들로부터 심장박동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델을 평가함으로써 제안 모델의 효용성을 보인다.

바코드 스캐닝을 활용한 웨어러블 장보기 앱 (Wearable Shopping App using Barcode Scanning)

  • 김성수;이연학;김정민;노웅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12-713
    • /
    • 2015
  • IoT (Internet of Things)가 차세대 기술로 각광을 받으면서 않은 IT 전문인들이 대표주자인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의 활용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헬스케어(healthcare)와 피트니스(fitness) 서비스 중심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성을 갖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위치를 이용하여 장보기에 다양한 편리성을 제공하는 라이프스타일 관련 웨어러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바코드 스캐닝 기능을 통하여 구매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가계부를 작성한다. 또한 고객에게 현재까지의 구매 내역에 기반하여 최적의 추천상품 목록을 구성하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직물형 피트니스 밴드 디자인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fabric-type fitness band)

  • 정다운;이소정;권채령;박이화;허서원;김동은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4호
    • /
    • pp.632-648
    • /
    • 2018
  •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orts wearables. It was conducted by a convergence team of professionals in the fashion industry, kinesiology and sports studies, and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a fabric-type fitness band for a sensor to measure acceleration during jump rope exercises.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professionals developed the Arduino board and sensor, kinesiology and sports studies provided the necessary exercise protocol, and the fashion industry professionals developed the band. First, a fitness band preference survey was completed by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Typical uses of the band included tracking exercise amount as measured by the number of steps taken and calories burned. Strap watch closure, a single color and achromatic color, and soft and smooth touch materials were preferred as band design. Second, two fabric-type fitness band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Design 1 had a 3-dimensional pocket for the sensor, bright blue color, and stretch binding around the edges and for a loop. Design 2 had a flat pocket for the sensor, achromatic color, mesh binding around the edges and two metal loops. Both designs had Velcro as a closure. Third, wear testing of both bands with the sensor were conducted of 15 women in their 20s. They wore the bands during jump rope exercises. Both bands generally satisfied the participants. The Design 2 band was slightly more satisfying than the Design 1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