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 교육의 의의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3초

십진체계에 기초한 실수의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Real Numbers based on the Decimal System)

  • 정영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63-178
    • /
    • 2012
  • 수를 십진체계에 기초하여 표현하려는 노력은 초 중등학교의 관련 수학 지식들에 대한 개념망 구축과 지도의의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준다. 나아가 고유한 표현의 자연수, 정수, 유리수, 실수를 십진체계로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확대된 십진체계인 소수를 분류할 수 있으며, 실수 분류를 위한 하나의 관점을 얻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의 십진체계 표현에서 출발하여 실수를 십진체계 형태로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지식들의 교수학적 의의를 고찰하고, 실수의 분류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는 초 중등학교의 교사가 학교수학을 비판적 안목에서 이해하게 하며, 관련지식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나아가 관련된 수학적 지식들의 내적 연결성과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 구성의 단초를 제공한다.

  • PDF

러시아 교사들의 창의적 수학 경진대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reative Mathematical Competition for Russian Mathematics Teachers)

  • 한인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81-495
    • /
    • 2006
  • 수학교육은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 활동이 중심을 이루기 때문에, 수학교육의 질적 향상은 수학교사의 전문성 계발 및 신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에서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개최되고 있는 창의적 수학 경진대회의 운영 방법, 문항들, 결과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수학 경진대회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수학교육학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입체도형 영역의 학습 RIA의 개발 (A Development of Rich Internet Application in the Space Figure of Elementary Mathematics)

  • 유태호;김갑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92-197
    • /
    • 2008
  • 초등학교 수학과 도형 학습은 매우 추상적인 분야로 직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구체적인 조작이 요구되는데, 그 중에서 컴퓨터를 활용한 도형 학습은 학생들의 구체물을 이용한 학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Flex와 Flash를 이용하면 입체도형의 가상물의 제작 및 동적인 학습은 물론 사용상의 제약이 적어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과 제 7차 교육과정의 입체도형 영역을 분석하여 학습요소를 추출하고 플래시의 드로잉 메서드를 바탕으로 학습요소별로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하고 클래스를 설계하여 입체도형 객체를 생성하고 플렉스의 컴포넌트로 구성된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틀을 설계하여 입체도형 객체가 플렉스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 개발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첫째, 초등학교 수학과 수준에 맞는 속성과 메서드를 갖도록 개발한 입체도형 객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입체도형에 자유로운 탐구활동 기회를 제공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구체적으로 도형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둘째, 플렉스를 활용함으로서 학습자의 쉬운 접근을 돕고 학습 어플리케이션 틀을 활용하여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수학과 플래시 파일들을 활용한 다른 수학과 영역의 학습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개발의 시간과 노력을 단축시키는데 있다.

  • PDF

수학과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경제수학> 교과서의 일관성 분석 연구 (Analysis Study on the Consistency of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Textbooks)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373-391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고시한 <경제수학> 과목의 교과서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경제수학> 교과서는 상경계열을 지원하는 학생을 위해 개발된 최초의 교과서라는 면에서 교육적 의의가 매우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제수학> 교과서가 교육과정 개발자가 제시하고 교과서 인정 기관에서 구체화한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과 일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국가에서 고시한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관성이 있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의 일관성에 대한 분석 결과 <경제수학> 교과서의 내용은 부분적으로 일관성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도 다수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향후 고등학교 선택과목의 검·인정에 있어 보다 철저한 기준 마련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의 제시가 요구된다.

기계학습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학교육 연구의 영향력 판별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n impact Identification Program in Mathematical Education Research Using Machine Learning and Network)

  • 오세준;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21-45
    • /
    • 2023
  •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영향력 있는 논문을 판별하는 기계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계량학의 관점에서 논문의 영향력을 조명하고, 수학교육 연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인 PageRank로 수학교육 연구의 영향력으로 정의하였다. 영향력 있는 수학교육 연구를 판별하기 위하여 기계학습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영향력 있는 논문이 게재된 비율이 높은 학술지를 조사한 결과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25.66%),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22.12%), Zentralblatt für Didaktik der Mathematik(8.46%),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5.8%),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5.51%) 순으로 나타났다. 수학교육 전문가들이 직접 논문을 읽고 질적으로 평가한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기계학습 프로그램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많은 인원과 시간이 필요했던 수학교육 연구의 영향력 평가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수학 교육에서 ‘증명의 의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Proof in Mathematics Education)

  • 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73-8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meaning of proof and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based on three levels identified by Kunimune as follows: Level I to think that experimental method is enough for justifying proof, Level II to think that deductive method is necessary for justifying proof, Level III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eductive syste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y 13% of 8th graders and 22% of 9th graders are on level II. Second, although about 50%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hypothesis, conclusion, and proof, they can't understand the necessity of deductive proof. This conclusion implies that the necessity of deductive proof needs to be taught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e of the teaching methods on the necessity of proof is to compare the nature of experimental method and deductive proof method by providing their weak and strong points respectively.

  • PDF

예비수학교사의 문제해결 지도 실행의 교육적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Experiment on Problem Solving Process)

  • 김남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59-175
    • /
    • 2008
  • 문제해결은 우리나라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교수학의 목표, 교수-학습 방법의 제안, 평가의 제안, 교육기자재 활용 목적 등 여러 측면에서 명시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차 현상의 수학수업을 이끌어 갈 예비수학교사들의 문제해결 지도 능력을 실제적으로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과정에서는 사법대학 수학교육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문제해결 지도에 중점을 둔 지도과정을 구성, 실행하도록 안내하였다. 연구의 실행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해결 중심의 지도과정 구성 및 실행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정리하고 문제해결 중심의 지도과정 실행을 통해 에비수학교사들이 수학수업에 대해 갖게될 생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예비수학교사교육을 위한 발전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법대학의 교사교육에서 이론적 지식에 대한 지도 못지않게 방법적 지식에 대한 지도도 중요함을 부각시키고 방법적 지식의 지도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사례를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 PDF

수학과 교수-학습에서 수학사 활용에 교육적 함의: 수월성 교육을 중심으로 한 미적분 지도의 예 (Didactical Meaning of using History of mathematics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 한경혜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6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수학사를 수업에 활용하고자 하는 이론적 근거를 여러 가지 교육적 측면에서 고찰한다. 아울러 수학적 인식에 관한 개인적인 발달과 역사적 발달 사이의 관계를 토대로 수학사 활용의 교육적 유용성을 가장 강력하게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역사 발생 원리의 생성, 전개 과정 및 그 의의와 한계 등을 논한다. 또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고 있는 수학사 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기준과 함께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지금까지 논의된 수학 영재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과 실제를 개관하고 수학사를 접목하는 것에 대한 근거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수학사 활용의 예를 미분개념의 이해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 PDF

개별화 맞춤형 수학 학습을 지원하는 AI 기반 플랫폼 분석 (AI-Based Educational Platform Analysis Supporting Personalized Mathematics Learning)

  • 김세영;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417-43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 맞춤형 수학 학습을 지원하는 AI 기반 플랫폼 활용 시 고려해야 할 교수·학습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플랫폼 5개(똑똑!수학탐험대, 노리AI스쿨수학, 칸 아카데미, MATHia, CENTURY)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AI 기반 수학교육 플랫폼이 개별화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세 가지 요소(PLP, PLN, PLE)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플랫폼에서 구현하고 있는 PLP, PLN, PLE의 특징은 다양했지만, PLP와 PLN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학습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PLE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AI 기반 수학교육 플랫폼을 활용하는 개별화 맞춤형 수학 학습에 대한 이해도와 실천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수학교육에서 수학사적 고찰을 통한 기하학적.대수학적 두 접근 방법의 의의

  • 고상숙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7-96
    • /
    • 2004
  • This article dealt with two approaches, algebraic and geometric approaches in terms of Pythagoreans theorem. As mathematics evolves, many theorems had been developed beginning with geometric approaches. However, the algebraic techniques that survive these days are so powerful and generalized in school curriculum. So, if students have more chances to see mathematical properties in geometrical ways, they can experience how beautiful and meaningful they are through the process of the advent of them. Also, it was to try to develop an insight into their applications to other probl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