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적 변화

검색결과 1,128건 처리시간 0.089초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통계적 변이성 개념의 이해와 그 지도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of the Statistical Variation Concept of Elementary School 5th Graders and Study on its Lesson Plans)

  • 김영미;박영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21-24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 통계적 변이성 개념과 관련하여 가지고 있는 수학적 지식의 특성과 이것이 수업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 통계적 변이성 개념과 관련하여 가지고 있는 수학적 지식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드러난 학생들의 수학적 지식의 특성 중 미흡한 측면은 바로 잡고, 잘된 점은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통계적 변이성 수업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변이성수업 후 학생들은 최적 값의 빈도수나 편중성, 평균, 예측 가능한 안정적인 성향 대신 통계적 변이성 개념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표 그래프 그리기 수업을 통해 이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여 표와 그래프가 혼합된 문제를 바르게 해석하였다. 전체적인 분포, 범위가 비슷한 집합을 비교하는 상황에서는 평균을 함께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답을 구했다.

  • PDF

산파법의 이해와 적용을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 연수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of Teachers for the Understanding and Applying of Socratic Method)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941-95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3년 중등학교 1급 정교사 자격 연수에 참가한 수학 교사 68명을 대상으로 산파법의 이해와 적용을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 연수 과정을 실행하였다. 총 3차시로 구성된 연수 강의에서 산파법의 개요와 특징, 산파법 수업 실행 사례 분석, 산파법 실행 실습, 산파법 대본 사례 검토, 선행 연구에서 드러난 산파법의 교육적 적용 방안을 다루었다. 연수 실행 전 후로 실시된 설문 조사의 기록 과정을 통해, 교사들이 자신의 지식에 대한 반성적 검토의 기회를 갖고 산파법 구사를 위해 더 공부해야 할 부분이나 극복해야 할 과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조사기록지의 기록물 자료를 바탕으로 산파법의 교육적 적용과 관련된 현직 교사들의 지식 및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서 함의된 교사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유방영상시스템에서 수학적 모의피폭체를 이용한 선량평가 (Dose Evaluation Using Mathematical Simulation of Radiation Exposure Body in Mammography System)

  • 이진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55-161
    • /
    • 2014
  • 유방촬영의 경우 대부분 양쪽 유방에 대해 연속촬영이 시행되고 있으며, 검사 시 규정하고 있는 3 mGy의 평균유선선량 보다 낮다 하더라도 추가 검사 및 연속촬영으로 인해 실제는 더 많은 선량을 받게 된다. 또한 검사 유방 외에 주변장기선량에 대해 인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영상시스템에서 수학적 모의피폭체를 이용하여 필터의 두께 변화(25, 30, $50{\mu}m$)에 따른 주변장기 선량분포와 검사측 유방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흡수선량률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검사 반대 유방의 선량이 검사 유방을 기준으로 79.26~86.31%정도로 많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o/Mo, W/Rh 조합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필터 두께 $30{\mu}m$, $50{\mu}m$ 보다 얇은 $25{\mu}m$를 사용했을 때 검사 반대 유방과 주변장기의 상대적 흡수선량률이 낮게 나타났다.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 및 수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제언 (Suggestions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Mathematical Thinking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박상우;조정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5-187
    • /
    • 2022
  • 오늘날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교육 패러다임의 급격한 변화로 인공지능(이하 AI) 교육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사회에서 필요한 기초소양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AI 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 AI 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 및 수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컴퓨팅 사고력 교육 측면에서 학생들이 AI 개념과 원리를 잘 이해하고 실생활의 문제해결을 위한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수 원리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AI를 이해하기 위한 수학적 사고력 측면의 요소로서 학생들이 수식을 이용한 알고리즘과 컴퓨터가 인간처럼 사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원리를 습득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향후 연구 과제로 교수자와 학습자의 관계에서 나올 수 있는 역량있는 학습 효과성 분석을 통한 기대치에 관한 연구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

평균변화율 및 유일성을 통한 진화 프로그래밍에서 레비 돌연변이 연산 분석 (Analysis of the Levy Mutation Operations in the Evolutionary prograamming using Mean Square Displacement and distinctness)

  • 이창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8권11호
    • /
    • pp.833-84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진화프로그래밍에서 레비 확률분포(Levy probability distribution)를 사용한 돌연변이 연산의 유용성을 레비 돌연변이 연산 후의 변수의 평균변화율(mean square displacement) 및 유일성(distinctness)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레비 확률분포는 무한의 분산(infinite second moment을 가지는 확률분포로 쪽거리(fractal)와 연계되어 최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확률분포이다. 레비 확률분포를 사용한 레비 돌연변이 연산은 변화가 작은 자손(offspring)뿐만 아니라 기존의 정규분포를 사용한 돌연변이 연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변화가 큰 자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레비 돌연변이 연산은 보다 넓은 탐색 공간을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음을 평균변화율 및 유일성 등의 조사를 통하여 수학적으로 증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진화 프로그래밍에서 레비 확률분포에 기초한 돌연변이 연산이 정규분포를 사용한 돌연변이 연산보다 다변량 함수의 최적화의 경우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연산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7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에 대한 의견 조사 (High School Teachers' Opinions on Mathematics Section in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pplied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조성민;김재홍;양성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69-186
    • /
    • 2015
  • 대입 제도가 변화하고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2009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이 처음으로 적용됨에 따라 수학 영역은 시험의 성격을 재조명하고 출제와 관련된 세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취지에 부합하면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상적 운영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고등학교 2,338개교 중 시 도교육청별 유층표집을 통하여 312개 학교를 추출하고 해당 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에 대한 성격과 역할을 재조명하고 수학 영역의 선택 과목별 문항 배분을 비롯한 출제와 관련한 세부 사항을 탐색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수학 교과서와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lessons in Korea and the U.S.)

  • 박경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59-478
    • /
    • 2013
  • 교수학적 변환은 '학문 수학'을 '학교 수학'으로 변화시키는 다차원적인 변용의 과정을 다룬다. 본 연구는 학문 수학에서 출발하여 수학 교육과정, 수학 교과서, 수학 수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교수학적 변환의 예로 FOIL 방법, 삼각함수의 정의(한국 교과서), 연산의 순서, 원의 넓이와 원주, 미터법의 단위, 삼각함수의 정의(미국 수업), 정수의 연산, 정다면체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고, 그 특징 및 변환의 의도에 따라 기억법, 직관화/구체화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한국과 미국 수학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변환의 적절성과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교수학적 변환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극단적인 교수학적 현상인 '메타-인지 이동'을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PDF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를 통한 예비 교사들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변화 (The Change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by Teaching Practicum and Discussion about Lessons)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9-281
    • /
    • 2016
  • 교육실습은 예비 교사들이 배운 이론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이는 대학과 연계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기간에 실행했던 수학 수업에 대해서 대학 강의 시간에 다시 논의하는 시간을 제공하였고, 교육실습 및 논의를 통하여 예비 교사들의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들은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 이후에 수학 수업요소 중 수학적 담화 측면에 더욱 주목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을 모두 고려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경향과 수업 상황에 대한 견해를 밝히면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까지 제시하려는 노력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예비 교사들의 자기 평가 결과와도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을 신장하는 방안 및 예비 교사 교육에서 교육실습을 지도하는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스토리텔링 내용 분석 (A Content Analysis of Storytelling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urriculum)

  • 고정랑;손홍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29-447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2007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세 출판사에서 출판된 12권의 고등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수학' 또는 '수학 1', '수학 2' 교과서의 스토리텔링을 탐구하였다. 스토리텔링 결과 분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양적인 측면에서의 스토리텔링은 2015 개정 교과서로 오면서 점차 증가하였다. 둘째, 스토리텔링 유형으로는 실생활연계형과 학문융합형이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수학사탐구형, 의사결정형, 도구활용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토리텔링은 교과서 내용 구성 측면에서 '전개'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도입', '학습자료', '평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수학사탐구형을 비롯하여 특히 의사결정형과 도구활용형의 스토리텔링 내용의 개발이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도입'에 단편적으로 제시되는 스토리텔링은 단원의 전체를 관통하며 마지막까지 활용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명 현상의 해석을 위한 와우의 전기적 모델 (Cochlear Electrical Model for the Interpretation of Tinnitus Phenomenon)

  • 이영주;이낙범;임재중;강희용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99
    • /
    • 2001
  • 청각기관에서 소리가 전달되어지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전기/기계적 모델이 이루어진다면 이명환자의 분류 및 전기자극을 이용한 치료방법의 선택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청각기관의 모델에 대한 장단점을 파악하여 이를 보완하는 실제의 시스템에 가장 근접한 모델을 수립하고, 청각시스템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이론적인 배경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즉, 유모세포의 상면을 질량을 가진 성분으로 가정하고 그러한 질량의 경도와 제동을 위한 소자들을 첨가하여 새롭게 청각 모델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수립된 모델을 수학적으로 해석하여 전달함수의 영점이 극점보다 작게 나타남으로써 신경 조율 데이터를 이용한 기존의 연구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제동주파수와 극점 주파수의 관계에 대한 가정들이 정당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