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by Teaching Practicum and Discussion about Lessons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를 통한 예비 교사들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변화

  •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수학교육)) ;
  • 선우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Received : 2016.04.15
  • Accepted : 2016.05.22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eaching practicum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because it provides pre-service teachers with an opportunity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 actual teaching contexts. As such, it needs to be conducted in terms of close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school. Given that, in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the prospective teachers in this study had an opportunity to discuss mathematics lessons they had implemented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This paper analyzed in what ways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were changed through this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late comment the teachers tended to focus more on mathematical discourse, consider not only the teacher of the lesson but also students, and suggest alternative approaches on the classroom events they had noticed. It is noticeable that the results analyzed by researchers were consistent with prospective teachers' self-assessment. Building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implications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o enhance prospective teachers' ability to analyze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교육실습은 예비 교사들이 배운 이론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이는 대학과 연계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기간에 실행했던 수학 수업에 대해서 대학 강의 시간에 다시 논의하는 시간을 제공하였고, 교육실습 및 논의를 통하여 예비 교사들의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들은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 이후에 수학 수업요소 중 수학적 담화 측면에 더욱 주목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을 모두 고려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경향과 수업 상황에 대한 견해를 밝히면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까지 제시하려는 노력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예비 교사들의 자기 평가 결과와도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을 신장하는 방안 및 예비 교사 교육에서 교육실습을 지도하는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성룡 (2011). 수학 수업 준비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333-359.
  2. 권종겸 (2014). 반성적 수업 분석지를 활용한 교육실습에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교수행동 및 인식 변화. 한국수학사학회지, 27(5), 365-384. https://doi.org/10.14477/jhm.2014.27.5.365
  3. 김선희 (2012). 실습과 반성을 통한 수학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수학교육학연구, 22(2), 277-292.
  4. 김현진, 김진수, 최성욱, 박영민, 이광호, 이혁규 외 3인 (2010).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0-16.
  5. 남윤석, 전평국 (2006).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우는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 45(1), 75-96.
  6. 문효영, 권성룡 (2010). 교육실습에서의 수학 수업이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487-521.
  7. 방정숙 (2014). 예비 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기술과 비평의 변화.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399-424.
  8. 방정숙, 선우진 (2015).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625-647.
  9. 심상길, 이강섭 (2013). 예비수학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수학교육, 52(4), 517-529.
  10. 심상길, 이강섭 (2015). 학교현장실습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 수학교육, 54(4), 351-363,
  11. 엄미리, 엄준용 (2010).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실습전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17(1), 127-149.
  12. 이영혜, 권종겸, 이봉주 (2013). 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 수학교육학연구, 23(4), 407-422.
  13. 정종진 (2009). 호주 초등교사양성과정의 교육실습 현황과 시사점: 퀸즐랜드 주(州) 그리피스대학교 초등 교육학사 학위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117-142.
  14. 정혜영 (2009). 초등 교육실습 기간 확대 및 내용 강화를 적용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241-260.
  15. 주미경, 양성관 (2007). 사범대학-현장학교 협력관계에 기반한 교육실습 사례 분석: 중등교원을 위한 교육실습 확대 방안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363-384.
  16. 한혜숙 (2014). 수학과 수학실습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관한 교육실습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747-769.
  17. Goodwin, C. (1994). Professional vision. American Anthropologist, 96(3), 606-633. https://doi.org/10.1525/aa.1994.96.3.02a00100
  18. Hill, H. C., Ball, D. L., & Schilling, S. G. (2008). Unpack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eachers' topic-specific knowledge of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4), 372-400.
  19. Leatham, K. R., Peterson, B. E., Stockero, S. L., & Van Zoest, L. R. (2015). Conceptualizing mathematically significant pedagogical opportunities to build on student think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1), 88-124. https://doi.org/10.5951/jresematheduc.46.1.0088
  20. Mena, J., Garcia, M., Clarke, A., & Barkatsas, A. (2016). An analysis of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student teacher mentoring and their impact on knowledge generation in practicum setting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9(1), 53-76. https://doi.org/10.1080/02619768.2015.1011269
  21. Pang, J. S. (2011). Case-based pedagogy for prospective teachers to learn how to teach elementary mathematics in Korea. ZDM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3(6), 777-789. https://doi.org/10.1007/s11858-011-0352-3
  22. Peterson, B. E., & Williams, S. R. (2008). Learning mathematics for teaching in the students teaching.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9(4), 381-400. https://doi.org/10.1007/s10857-006-9013-9
  23. Ponte, J. P., & Chapman, O. (2016).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learning and knowledge for teaching. In L. D. English, & D. Kirshner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275-296). New York: Routledge.
  24. Rhoads, K., Radu, I., & Weber, K. (2011). Teacher internship experiences of prospective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9(4), 975-998. https://doi.org/10.1007/s10763-010-9266-8
  25. Sherin, M. G., & van Es, E. A. (2009). Effects of video club participation on teachers' professional vis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1), 20-3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8155
  26. Stockero, S. L., & van Zoest, L. R. (2013). Characterizing pivotal teaching moments in beginning mathematics teachers' practi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6(2), 125-147. https://doi.org/10.1007/s10857-012-9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