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용적 양육행동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초등학생 부모의 양육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hild Rear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장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355-136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부모양육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시에 소재한 초등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의 부모양육행동, 심리적 안녕감, 다문화 수용성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부모양육행동, 심리적 안녕감, 다문화수용성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부모양육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일반가정에서 다문화에 대한 수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부모들의 양육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변화되어야 하며, 다문화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일반 가정 학생과 다문화가정 학생 모두 더불어 살아가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어머니의 낙관성 및 수용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her's Acceptance Parenting Attitude and Optimism on Children's Self-Regulation)

  • 김미향;이현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7-1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낙관성 및 수용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아교육기관 재원 중인 만3, 4, 5세 유아 361명과 그들의 어머니 361명이었다. 어머니의 낙관성 및 수용적 양육태도는 자기 보고식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자기조절(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은 부모 평정을 통하여 측정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이 연령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인지조절과 행동조절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서조절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낙관성의 하위요인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조절의 하위요인별로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낙관성 하위요인 중 지속성만이 자기조절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어머니 수용적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조절의 하위요인별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수용적 양육태도 하위요인인 애정성과 권리가 자기조절의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독특성은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긍정적인 심리적 태도와 자녀에 대한 수용적인 자세가 유아의 자기조절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해준다.

부모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녀양육행동과의 관계 (Level of parental differentiation from family of origin : relationship to child-rearing behaviors)

  • 정문자;최난경
    • 아동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87-99
    • /
    • 2004
  • The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393 fourth and fif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parents of these children. The level of fathers' emotional separation from the family of origin was higher than that of mothers'. Mothers were more warm acceptant and rejective restrictive than fathers; fathers were more permissive neglectful than mothers. Both fathers and mothers were more rejective restrictive of girls than of boys. Mothers with high scores in emotional separation from family of origin were more warm acceptant to their children and less rejective restrictive than those with low scores. Fathers with high scores in emotional cut off from the family of origin were more permissive neglectful behavior of their children than fathers with low scores.

  • PDF

냉담-무정서 특질이 소년범죄에 미치는 영향: 부모양육행동, 사회경제적 지위의 효과 (The Impacts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on Juvenile Crime: The effect of Parenting and Socioeconomic Status)

  • 전세진;이주영
    • 한국심리학회지:법
    • /
    • 제11권2호
    • /
    • pp.117-134
    • /
    • 2020
  • 본 연구는 냉담-무정서 특질의 하위요인인 냉담성, 부주의/무신경, 감정표현결여와 부모양육행동, 사회경제적 지위가 소년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6년 7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서울 소재 보호관찰소에서 만 15~17세의 소년법 위반 청소년 103명, 2018년 7월에 수도권 소재 고등학교 1, 2학년 123명의 자기보고식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범죄 유무에 따라 주요 변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범죄 집단이 일반 집단에 비해 냉담-무정서 특질의 부주의/무신경이 더 높았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더 낮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냉담-무정서 특질 중 유일하게 부주의/무신경이 부모의 수용, 일상생활 모니터링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부주의/무신경과 가정의 경제 수준이 소년범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냉담-무정서 특질이 높은 청소년은 범죄 유무와 상관없이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적게 지각함을 보여주며, 부주의/무신경과 가정의 경제 수준이 소년범죄의 발생에 기여하는 잠재적 요인임을 시사한다.

  • PDF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School-Aged Children's Self-Regulation Competence and Its Related Variables)

  • 최해주;문수백
    • 아동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3-4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of school-aged children's self-regulation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and mother's acceptive parenting.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44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 randomly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Ulsan-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MOS 19.0. The results showed that 1) children's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affect children's self-regulation competence directly. 2) children's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competence mediated by children's self-determination. 3) mother's acceptive parenting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competence mediated by children's self-efficacy or children's self-determination.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유아기 어머니 수용감과 또래 수용감의 직렬 매개효과 검증 (The Longitudinal Effect of Maternal Warmth on School Adjustment of First Grade Children: Testing the Serial Mediation Model of Perceived Maternal Acceptance and Peer Acceptance During Preschool Years)

  • 문영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3-61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perceived maternal acceptance and peer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warmth and first grad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979 seven-year-old children(498 boys, 481 girls) recruited for the Korea Child Panel Study. Data were analyzed by analyz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significance of serial mediation pathways using SPSS 18.0 and PROCESS Macro 3.4. Results: Maternal warmth at age five effected perception of maternal acceptance at age six. Perceived maternal acceptance at age six effected perceived peer acceptance at age six. Perceived peer acceptance at age six effected school adjustment at age seven. Lastly, perceived maternal acceptance and peer acceptance at age six had a serial mediation effect between maternal warmth at age five and school adjustment at age seven. Conclusion/Implications: Perceived social acceptance during preschool years should be emphasized in order to promote school adjustment for first grade children. Parent education for promoting better parent child relationships should be considered and teachers should encourage peer play interaction to help children perceive acceptance from their peers.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 (THE SOCIAL SKILLS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 한은선;이양희;안동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79-93
    • /
    • 2001
  • 목 적: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아동들은 또래관계를 영위하는데 필요한 것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기술에 결함을 보인다. 이들의 치료에 약물치료를 포함한 부모훈련, 교육적 접근 등이 필요하지만 이와 함께 이들에 대한 사회기술훈련이 시도되고 있다. 이들에게서 사회기술훈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방 법:ADHD로 진단 받은 초등학교 아동 5명과 그들의 부모 5명을 대상으로 Pfiffner와 McBurnett이 제안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사회기술, 문제행동,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 프로그램 만족도를 비교해 보았다. 결 과:교사와 부모가 평가한 내용이 다소 달랐는데, 교사는 사회기술과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에서, 부모는 문제행동의 감소에서 유의미한 호전을 보고하였다. 부모들은 양육태도에서는 별 변화가 없었지만 양육스트레스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고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는 상당히 높았다. 결 론:ADHD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은 최근에, 주로 보조적이거나 매우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상당히 많은 아동들이 사회기술의 결함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통합적 접근에서 이들의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 PDF

공감과 수용에 초점을 둔 부모놀이치료의 추후효과 (Follow-up Effects of Filial Play Therapy : Empathy and Acceptance)

  • 최영희
    • 아동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5-59
    • /
    • 2007
  • This study included 12 mothers and their 5-year-old children. Over 5 weeks, mothers participated in 2 hours filial therapy training twice a week, and 30 minutes special play at home once a week. Each mother was videotaped playing with her child and completed three self-report instruments : Parental Acceptance Scale(Porter, 1954), Parenting Stress Index(Abidin, 1990), and Child Behavior Checklist(Oh et al., 1997). These measurements were taken three times :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8 weeks after the program. Enhanced empathic interaction and parental acceptance level through filial play therapy training was maintained 8 weeks after the training. Eight weeks after the training, child's behavior problem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comparison to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 PDF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효능감 및 부모-아동 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 주도 가정 기반 음악프로그램의 실행 가능성 (Feasibility of a Parent-Led Home-Based Music Program to Enhance Parental Competence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SD)

  • 양혜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2호
    • /
    • pp.89-11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ASD 아동 부모가 자녀와 함께 가정에서 음악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하는 것이 양육효능감과 부모-아동 관계 증진에 도움이 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만 3세-9세 사이의 ASD 아동의 부모 10명이 참여하였고, 각 부모는 주 1회, 30분씩 개별로 이루어진 사전 교육에 참여한 후 총 5주간 가정 기반 음악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가정 기반 음악 프로그램은 부모가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악을 적용한 활동을 구성하고, 아동과의 상호작용이나 부모가 활동에 관하여 결정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수준을 수용적인 수준에서부터 능동적, 자율적 수준까지 총 3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ASD 아동 부모가 한 주간 음악 활동을 실행한 평균 횟수는 2.5회, 평균 진행 시간 9.2분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가 지각하는 '편안함'과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도움이 된 정도'의 인식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효능감, 부모-아동의 '친밀감' 영역에서도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대상자들은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SD 아동의 가족을 지원할 때, 가족의 고유한 특성과 필요를 고려하는 중요성과 다양한 음악 활용 방안을 지원하는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 및 부모의 보고 내용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추후 가정 기반 음악 활동 및 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한 수준과 범위, 고려 사항을 제안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교육으로서의 부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iveness of Filial Play Therapy as Parent Education)

  • 최영희
    • 아동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17
    • /
    • 2006
  • This study on filial play therapy training as parent education included 12 experimental group mothers, 11 control group mothers, and their 5-year-old children. Over 5 weeks, experimental group mothers received 2 hours filial therapy training 10 times, twice a week, and 30 minutes home special play 4 times, once a week. Each mother was videotaped playing with her child and completed three self-report instruments : Parental Acceptance Scale(Porter, 1954), Parenting Stress Index(Abidin, 1990), and Child Behavior Checklist(Oh et al., 1997)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re- and post-test data was analyzed by paired-t test. Filial play therapy training enhanced empathy in adult-child interaction during free play. Significant increases appeared in parental acceptance level of child's feeling and autonom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