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 척도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32초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척도 개발과 타당화 (Scale Development and Validity on Obsessive Compulsiv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o Enhance Life Care)

  • 유정인;정주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97-306
    • /
    • 2019
  • 본 연구는 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을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는 먼저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문항탐색과 적절성 평정을 실시한 후 예비판에 기초하여 확정판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구성개념 타당도를 점검하는 절차로 수행되었다. 예비판에 대한 요인분석을 거쳐 2차로 38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사회적 강박(4문항), 심리적 강박(3문항), 신체적 강박(3문항)으로 총 3개 요인 10문항의 최종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확정된 척도에 대하여 성별 및 수업만족에 따른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여 외적 관계검토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는 .856에서 .907까지 높은 신뢰수준을 보였을 뿐 아니라, 타당성이 확보되어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 척도로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척도를 활용하여 학교 체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체육수업 강박 측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원 생물학 강좌에서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CIM)의 적용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 유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of 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 to a Biology Class in the Graduate School and Its Effect in Chang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Motivation Types)

  • 오순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295-306
    • /
    • 2011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 교수자 주도의 강의, 세미나, 토론 수업 모두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일정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이 오순애(2010)에 의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DCIM을 대학원 생물 교과에 적용하였을 때, 대학원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측정 검사 도구로는 유귀옥(1997)이 번안한 West & Bentley(1990)의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 척도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인인 학습 동기 척도 측정에는 오순애(2001)가 번안한 Hayamizu (199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K 대학교 2010년 1학기 2개 대학원생 생물 수업을 대상으로 DCIM이 적용되었으며, 수업 전 후에 척도를 이용한 검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교수자 주도의 일방적 강의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에 비해 DCIM 적용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학습 동기는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원 수업에 DCIM의 적용이 대학원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 PDF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ith Project-Based Learning for Strengthen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Teaching Abilities)

  • 강은영;신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47-5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액션러닝을 활용한 교사양성과정 수업을 통하여 예비특수 교사들(n = 39)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평균 6.76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5가지 실천적 교수역량의 하위 척도 중에서 수업계획 및 조직(1.49점), 의사소통(1.49점), 학생과 상호작용(0.49점), 교수 학습 환경조성(2.49점), 성의와 열의(0.89점) 순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대응표본 t 검정 결과 예비특수교사 들은 실천적 교수역량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 정도를 보였다(p < 0.01). 전체 5가지 실천적 교수역량 하위 척도 중 '교수 학습 환경 조성', '의사소통', '수업계획 및 조직'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은 유의미한 향상 정도를 보였다. 실천적 교수역량 하위 척도 간의 상관관계는 0.64-0.90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된 비대면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Learn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Non-face-to-face Classes Applied to Computer Programming Classes)

  • 안유정;김경아;김지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261-263
    • /
    • 2021
  • 비대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도 대면 수업에서와 유사한 학습 실재감을 느낄 수 있는 수업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2020학년도 1학기부터 2년에 걸쳐 실시간 화상수업과 미리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업 방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해보았다. 두 방법의 공통점은 중요한 단원을 공부하는 4주 동안은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예습 동영상을 제공하고 본 수업은 실시간 화상수업으로 진행하면서 예습확인 퀴즈를 실시하고 심화수업으로 운영하였다. 각 수업 학기말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5점 척도 방식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수업 내용의 이해도, 수업에 대한 흥미도 그리고 수업 참여의 적극성에 대한 학습 효과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세 가지 학습 영역 모두 실시간 화상수업 방식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창의와 인성 함양을 위한 수업척도 고찰에 관한 연구 - 중등 수학 수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riteria for Lessons that Build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 Focused on Secondary Mathematics Classes -)

  • 이은주;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4
    • /
    • 2013
  • This study focuses on the criteria for lessons that develop secondary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 mathematics classes. Literature used in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e.g., Core competenc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structivism education) and intent of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Lesson criteria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clude educa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real-world contexts, use of tools and resources,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problem-solving skills, teachers' attitudes, and the classroom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lement mathematics lessons that build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성인간호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for Real-Time Online Classes in Adult Nursing)

  • 함미영;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80-87
    • /
    • 2021
  •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성인간호학 수업에 대한 학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간호학 교과목의 온라인 강의 설계 및 운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준비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 간호학과에서 실시간 온라인 성인간호학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3학년 105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20일부터 7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학습몰입은 3.07점(5점 척도), 수업참여는 3.46점(5점 척도), 학습만족도는 3.88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r=.41, p<.001), 수업참여(r=.56,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수업참여(��=.47), 성인간호학 수업에 대한 흥미정도에서 매우 높음(��=.21), 높음(��=.20)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34%로 분석되었다(F=14.53, p<.001).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요인은 수업참여로,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 및 교육방법을 개발하여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 및 학습목표의 효율적인 달성을 기대해 본다.

선행조직자로서의 저작권 의식 측정 척도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easuring Scale of Copyright Consciousness as an Advance Organizer)

  • 홍지연;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41-251
    • /
    • 2010
  • 지식 정보화 사회의 발전과 사회문화의 다양화에 따라 저작물의 가치와 중요성, 그리고 저작자의 권리 보호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의 경우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거나 자신의 저작권을 침해당할 소지에 쉽게 노출되어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저작권 수업의 도입단계에서 아동들이 경험하는 척도는 수업의 선행조직자로서의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학습자는 저작권의 내용을 기존의 인지구조에 쉽게 통합할 수 있으며 수업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조직자로서의 저작권 의식 측정 척도를 개발하여 학생의 저작권 의식을 측정하고 측정치를 활용하여 저작권 보호 의식을 고취하는 수업에 활용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저작권 의식 척도를 경험한 집단에서 저작권 의식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척도를 활용한 저작권 교육이 저작권 의식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창의수업활동이 대학생의 학업동기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NFTM-TRIZ 창의 교육 모형을 기반으로 (Effects of Creativity Instruction Activities on Academic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 Based on NFTM-TRIZ Creativity Education Model)

  • 김훈희;최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277-286
    • /
    • 2015
  • 본 연구는 창의수업활동이 대학생의 학업동기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및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 학기 동안 NFTM-TRIZ 창의 교육 모형을 기반으로 한 창의 교양 수업을 수강한 대학교 1, 2, 3, 4학년 남 녀 학생들 73명이었다. 측정도구는 학업동기 검사의 자기효능감 척도와 실패내성 척도, 진로성숙도 검사의 태도척도를 활용하여 15주 수업 전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1.0을, 분석 방법은 백분율, t-검증,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첫째, 창의수업활동은 대학생들의 학업동기와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선호수준, 진로 결정성과 타협성 등에서 유의미한 효과(p<.01)가 있었다. 둘째, 학업동기와 진로성숙도 두 변인 사이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p<.05)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및 시사점,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예비특수교사의 체육교수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xiety Scale for Preservice Special Teacher)

  • 이용국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3호
    • /
    • pp.375-389
    • /
    • 2018
  • 이 연구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들의 체육교수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3단계에 따라 이루어졌다. 1단계에서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의 체육교수불안 구성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00명의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한 예비문항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응답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도출된 체육교수불안 구성 요인을 바탕으로 100명의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통해 문항들의 이론구조에 적합한지 검증을 통하여 구인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에서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구인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t-test 차이검증을 실시하여 척도의 외적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된 내용을 중심으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의 체육교수불안 척도는 수업지식(4문항), 학생이해(4문항), 수업환경(3문항), 수업관리(3)문항으로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방사선학 전공 학생의 비대면 전공 실습 수업에 대한 학습효과와 만족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of Practical Classes for Students Majoring in Radiology in a Non-face-to-face Class Environment)

  • 강성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995-1006
    • /
    • 2022
  • 본 연구는 방사선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환경에서의 실습 교과 운영 현황과 학습 효과,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현재 비대면 환경에서의 학습 참여실태, 학습 만족도, 학습 성과, 개선 및 요구사항의 5개 영역 총 3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5단계 또는 5점 척도로 구조화된 응답 방식과 응답자 본인의 의견을 반영하는 개방형 답변방식을 입력하는 혼합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설문 응답에 대한 분석은 각 항목에 대한 응답 빈도와 비율, 척도 등을 빈도 분석하였고,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비대면 학습 참여실태, 학습 성과, 학습 만족도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이용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개선 및 요구사항은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단어의 빈도를 질적 분석하였다. 총 397개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 참여 실태 응답 항목 중에서는 비대면 실습수업 시 집중도를 묻는 항목은 3학년 학생들에게서 수업 집중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p=0.00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 성과는, 1학년과 3학년 학생에서 비대면 실습수업으로 인한 학습 성과 저하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1학년 p=0.012, 3학년 p=0.02), 특히 3학년 학생들의 경우 대면 실습 대비 비대면 실습수업의 효과 비율이 50% 이하라고 응답하는 경향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통학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비대면 실습수업에 대해 학습 성과 향상으로 응답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p=0.032). 다른 항목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p>0.05). 설문 결과를 통해 향후 비대면 환경에서의 실습수업의 설계 및 개발의 방향성과 효율적 운영에 대한 기초 정보와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효율적인 비대면 실습수업 운영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