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Criteria for Lessons that Build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 Focused on Secondary Mathematics Classes -

창의와 인성 함양을 위한 수업척도 고찰에 관한 연구 - 중등 수학 수업을 중심으로 -

  • 이은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 이재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3.02.27
  • Accepted : 2013.04.16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criteria for lessons that develop secondary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 mathematics classes. Literature used in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e.g., Core competenc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structivism education) and intent of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Lesson criteria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clude educa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real-world contexts, use of tools and resources,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problem-solving skills, teachers' attitudes, and the classroom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lement mathematics lessons that build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교육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안), 2011.
  2. 김도한 외, 창의중심의 수학 수업 내실화 및 평가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0.
  3. 남소라,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과 수업 지도 방안. 한양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11.
  4. 류희찬 외, 외국의 수학교육현황 조사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정책연구보고서, 2012.
  5. 문용린 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6. 박춘성, 창의.인성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발현을 위한 방안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10권 2호, 2010.
  7. 박인우 외,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향하는 미래교실 구성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2006.
  8. 백영균 외,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서울, 2010.
  9. 신이섭 외,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1.
  10. 장혜원, 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 CCSSM의 수학적 실천에 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2권 4호, 2012.
  11. 정주자, 초등학교 수학 학습 환경에 관한 인식 및 선호 조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충북, 2008.
  12. Long, P., & Ehrmann, S. Future of the Learning Space: Breaking Outof the Box, EDUCAUSE Review, 40권 4호, 2005.
  13.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necies: Executive Summary. DeSeCo Project. OECD, 2005.

Cited by

  1. 수학수업에서 인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vol.29, pp.2, 2013, https://doi.org/10.7468/jksmee.2015.29.2.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