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 to a Biology Class in the Graduate School and Its Effect in Chang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Motivation Types

대학원 생물학 강좌에서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CIM)의 적용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 유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11.04
  • Accepted : 2011.12.12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before. It is well-known that traditional teacher-directed lecture class, seminar-like oral presentation class, and even discussion/debate class have not been enough to enfor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students. To resolve the problem, a new 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 was developed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nd a basic frame of DCIM was published by Oh (2010). Here, it is examined if the application of DCIM to a biology class of graduate school can caus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this,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West & Bentley, 1990) translated by Ryu (1997) and motivation scale (Hayamizu. 1997) translated by Oh (2001) were employed, and then measurements performed with the translated scales were done in the beginning and the last of two DCIM-adapted graduate biology classes at K university, Daegu, South Korea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year 2010. The results show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uld be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the DCIM-adapted class, compared to the result of a teacher-directed lecture class as a control group. With respect to the motivation, there was not foun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 groups of graduate students. The present study seems to be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work proving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graduate students through the DCIM-adapted classes.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 교수자 주도의 강의, 세미나, 토론 수업 모두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일정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이 오순애(2010)에 의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DCIM을 대학원 생물 교과에 적용하였을 때, 대학원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측정 검사 도구로는 유귀옥(1997)이 번안한 West & Bentley(1990)의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 척도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인인 학습 동기 척도 측정에는 오순애(2001)가 번안한 Hayamizu (199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K 대학교 2010년 1학기 2개 대학원생 생물 수업을 대상으로 DCIM이 적용되었으며, 수업 전 후에 척도를 이용한 검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교수자 주도의 일방적 강의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에 비해 DCIM 적용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학습 동기는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원 수업에 DCIM의 적용이 대학원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