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소에너지 정책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6초

수소 기술-경제체제로의 이행을 위한 장.단기 시나리오 분석 (Long-term and Short-term Scenarios Analysis for Hydrogen Techno-Economic Regime)

  • 최현도;이민규;박상욱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296-305
    • /
    • 2005
  • 최근 수소에너지가 환경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체에너지로 각광받으면서 수소에너지의 사용이 가지고 올 새로운 에너지 체제에 대한 시나리오 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수소 기술-경제체제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제시하는 것은 미래 사회에서 수소가 에너지 운반체로서 담당하게 될 역할을 명확히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에너지라는 거대한 기술-경제체제의 변화를 위해 현재 수행해야 할 에너지 정책과 전략에 대해 큰 시사점을 줄 수 있기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수소의 생산, 저장 및 운반, 그리고 응용분야에서의 다양한 기술의 SWOT 분석을 통해 가능한 시나리오를 단기와 장기로 나누어 제시했다. 그 결과 앞으로의 수소 기술-경제체제의 구조는 기술적 완성도 뿐 아니라 사회적 수용성, 사회적 적응성 등 외부의 환경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받음을 알았다. 그렇기 때문에 수소에너지에 관한 전략과 정책은 이러한 변동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결정돼야 한다.

수소에너지의 에너지전환 활용을 둘러싼 갈등해결 방안: 디자인씽킹 방법론 적용을 중심으로 (Methods to Reduce Conflicts on Energy Transition to Hydro Energy: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Thinking)

  • 김태윤;최한나;김민철
    • 에너지공학
    • /
    • 제29권2호
    • /
    • pp.30-39
    • /
    • 2020
  • 본 논문은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통해 수소에너지를 국가 에너지전환에 활용할 때의 갈등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디자인 씽킹을 통해 갈등 주체와 정부와 이해관계자 간 수소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책의 공동 설계가 가능하며, 이는 공감과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거시적인 접근 방법으로, 정책설계 프로세스에 대한 공감대를 초기에 형성할 수 있다. 수소 에너지 갈등에 대한 이해부터 시작하여 이해관계자의 갈등, 분쟁이나 소송의 결과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수소 에너지전환에 대한 추가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프로토타이핑과 테스트를 통해 아이디어의 실현을 구체화 및 검증하게 된다. 갈등 개선을 위한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업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전환의 관점에서는 이해관계자의 갈등에 대한 공감과 통찰력이 새로운 협업 환경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전환 문제점에 대한 정의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아이디에이션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반영하며, 프로토타입 정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이해관계자 간 갈등 협의의 프로세스에서 지속적인 공감으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통합하여 갈등을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수소에너지 산업인프라 구축을 위한 SWOT 분석 (SWOT Analysis for Infrastructure of Hydrogen Energy Industry in Korea)

  • 김채복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337-345
    • /
    • 2016
  • 화석에너지의 고갈문제와 환경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확보해야하는 중요성이 점차 우리나라에서도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수소에너지 관련 기술 산업의 현황을 고찰하고, 향후 국내 수소에너지 산업인프라 조성에 요구되는 정책적 전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WOT분석을 이용하여 제시할 전략에 적합한 각 세부요인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수소에너지 이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세계 수소에너지 자원의 활용이 높은 국가들의 수소에너지 지원 현황을 살펴보았고, 수소에너지 관련 보고서 및 논문 등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평가요인 도출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70개의 세부속성 요인을 추출한 후 중복성과 편중성, 객관성 등의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학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요인적합성 검증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강점요인인 '사용 및 저장, 운송의 용이성'만 제외되었고 나머지 강점요인 3개, 약점요인 4개, 기회요인 5개, 위협요인 4개 등 총 16개 요인을 수소에너지 산업인프라 조성에 요구되는 정책적 전략방안의 최종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수소충전용 압력용기의 응력 거동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Analysis on the Stress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 Pressure Vessel for Hydrogen Filling by FEM)

  • 조승현;변성광;김윤태;최하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44
    • /
    • 2022
  • 전세계적으로 저탄소 친환경에너지로 다변화 정책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정책 중 하나가 수소경제 활성화이다.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수소 공급을 위한 수소충전소의 보급이 가속화됨에 따라 사고발생의 위험도 커지고 있다. 수소의 폭발사고는 대부분 대형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수소에너지를 사용함에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수소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액화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등에 사용될 수소저장 용기의 안전성 확보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수소충전용 압력용기의 구조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스 압력에 대한 거동특성을 유한요소해석으로 분석하였다. 압력용기의 재료는 SA-372 Grade J / Class 70을 사용하였고, 해석모델은 압력용기가 축대칭 형상이므로 1/4 형상만 고려하여 6면체 메쉬를 적용하였다. 수소가스 압력용기를 사용 최고 압력에서 유한요소해석을 하였으며, 해석 결과인 용기의 von Mises Stress와 변형량, 변형률 에너지 밀도를 관찰하였다.

친환경 선박 개발에 따른 해외 그린수소 수입에 대한 탄소 배출 영향 및 수소 단가 분석 (Analysis of Carbon Emission Effects and Hydrogen Prices for Overseas Green Hydrogen Imports by Development of Green Ship)

  • 김도형;최예빈;오지현;박철호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13
    • /
    • 2024
  • Hydrogen is emerging as an essential material for carbon neutrality. In particular, Korea needs 22.9 million tons of imported clean hydrogen by 2050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However, a large amount of carbon is emitted during the import process, and market regulations are being discussed. This research estimates the carbon emissions of importing green hydrogen from Vietnam, Australia,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to Korea, and calculates imported green hydrogen prices under carbon emission market regulations.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기 소재부품 개발 동향과 뿌리기술 적용 방안

  • 김영수
    • 한국태양광발전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2-28
    • /
    • 2021
  • 최근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이상 기후로 탄소 중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과 수소 경제 활성화에 대한 정책을 연일 발표하면서 많은 국책 과제들이 추진되고 있다. 잉여 재생에너지를 수소 가스로 변환하여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다시 전기로 사용하거나, 수소 가스 자체를 타 산업에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 기술이 수전해 기술이다. 다양한 수전해 기술 중에 PEM 수전해 기술은 재생에너지의 빠른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재생에너지 확산과 더불어 최근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비싼 촉매와 내부식성이 필요한 핵심 부품들이 국산화 되어 있지 않아 장치의 가격이 높은 상황이다. 그에 따라 아직은 수전해를 통해 생산된 수소 단가가 다른 기술을 통해 생산된 수소들 보다 가격이 높아 상업화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정밀 가공, 열처리, 코팅 등의 뿌리 기술들을 이용하면 PEM 수전해기의 핵심 부품인 bipolar plate나 end plate, 분리판 등을 국산화 하여 수소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여지는 충분하다. 탄소 중립에 반드시 필요한 그린 수소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산업간 기술 협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수소 산업 발전을 위한 국내외 정책 및 기술 동향 분석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y and Technology Trends for Hydrogen Industry Development)

  • 김채현;김건우;김한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22-131
    • /
    • 2023
  • Currently,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Europe,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have established policy and technology goals by 2050 to achieve the hydrogen economy. In line with this, Korea is also preparing to leap forward as a leading country in the world's best hydrogen economy by establishing a technology development target by 2050. In this paper, by examining and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policy and technology trends to date, implications for domestic hydrogen policy and technology trends are discussed, and major issues and future contents are summarized.

수소 정책 동향과 밸류체인별 수소 기술 개발 현황 (Hydrogen Policy Trends and Current Status of Hydrogen Technology Development by Value Chain)

  • 신재은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562-574
    • /
    • 2023
  • Carbon neutrality has been suggested to overcome the global climate crisis caused by global climate change. Hydrogen energy is a major way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and the developments and policies of hydrogen technology have been proposed to achieve this goal. To commercialize hydrogen energy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verall value chain composed of hydrogen production, storage, and utilization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this paper the hydrogen strategies of major countries, including Europe,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nd South Korea will be analyzed, and hydrogen technologies by value chain will also be explain.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overall hydrogen policy and technology, as both policy and technology are summarized.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소 산업 투자 확대의 배경 조사와 수소 정책 및 프로젝트 분석 (Investigation of Background and Analysis of Policies and Projects for the Expansion of Hydrogen Industry Investments in Saudi Arabia)

  • 김호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69-279
    • /
    • 2024
  • Saudi Arabia is transitioning from its traditional oil-dependent economy to become a leader in the hydrogen industry. This paper explores the kingdom's strategic investments in hydrogen production and infrastructure as key components of its energy diversification and sustainability efforts. The focus is on enhancing green hydrogen production to meet domestic needs and strengthen its position in the global market. The urgency of diversifying energy sources is emphasized, with projects like the NEOM Green Hydrogen Project illustrating Saudi Arabia's commitment to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These initiatives are positioned to centralize Saudi Arabia in the global shift toward sustainable energy, signaling a significant pivot in its economic and environmental policies.

국제에너지 현황 및 수소에너지 연구개발 동향 (Analysis of the World Energy Status and Hydrogen Energy Technology R&D of Foreign Countries)

  • 강석훈;최상진;김종욱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16-223
    • /
    • 2007
  • The present carbon-based energy system will not last long due to its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drawbacks. Hydrogen energy attracts more attention recently and seems to have large ripple effect on economy providing its technical,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problems are solved. This paper analyses the situation changed from fossil to non-fossil energy system and the R&D policies of advanced countries by reviewing the world energy status and the energy policy of foreign countries. Finally, the R&D strategy of hydrogen energy technology was developed through analyzing the present states of energy research policy and programs of major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