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변

Search Result 783,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Voltage Compensation Analysis in Distribution System by EMTP (EMTP를 이용한 수변전계통의 전압보상설비효과 분석기법)

  • 설용태;권혁일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0 no.5
    • /
    • pp.101-107
    • /
    • 1996
  • This paper proposed the voltage compensation analysis method in distribution system by EMTP. SVC (Static Var Compensator) of the thyristor controlled reactor type is used for compensation system. EMTP(E1ectr-o Magnetic Transient Program) model of SVC is proposed to analysis the voltage improvement characteristics at the high voltage system bus. It is composed with three parts ; rms detector, voltage regulator and gate pulse generator. The control signal of TCR is determined by rms value which was measured in system. As the result of EMTP simulation, all of the SVC characteristics like TCR current, firing pulse and bus voltage is very reliable. This method could be used to analysis the planning and the operation of compensation system in the large scale factory.

  • PDF

미국의 ${\ulcorner}수변복원 가이드라인{\urcorner}$의 이해

  • U, Hyo-Seop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S1
    • /
    • pp.571-578
    • /
    • 2000
  • ${\ulcorner}수변복원(水邊 復元, stream restoration){\lrcorner}$은 미 연방정부의 관련 기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1998년 10월 발간한 하천과 그 연변의 복원을 위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이다. 이 책은 "원칙, 과정, 실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이 책의 제작 취지는 연방 정부의 범 기관 차원에서 전국에 악화되가는 하천과 그 연변을 복원하는데 있어 실무자들에게 개념적, 방법적, 기술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 라인의 제작에 참여한 기관은 농무성, 환경청, 상무성, 국방성(공병단), 내무성 등 15개 기관이다. 이를 위하여 각 기관에서 양해 각서를 조인하여 하천 기술자들은 물론, 생물, 생태, 조경, 하천 형태 등 관련 1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연방기관 수변복원 실무그룹'을 구성하여 추진하였다. 이 가이드라인 구조는 3부와 9장, 그리고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색사진과 그림을 강조하며 추후 수정보완을 위해 바인더로 만들어졌다. 이 가이드라인은 기본적으로 손상이 된 하천의 복원 설계보다는 손상이 안된 하천의 구조와 기능 이해에 더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이것 하나만으로 하천 복원에 관한 모든 기술적 지식을 얻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가이드라인 제작팀의 규모와 노력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미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하천 복원과 자연형 하천공법 등의 실무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미국의 ${\ulcorner}수변복원 가이드라인{\urcorner}$의 이해

  • 우효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5a
    • /
    • pp.571-578
    • /
    • 2000
  • $\ulcorner$수변 복원 (水邊 復元), stream restoration)$\lrcorner$은 미 연방정부의 관련 기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1998년 10월 발간한 하천과 그 연변의 복원을 위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이다. 이 책은 “원칙, 과정, 실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이 책의 제작 취지는 연방 정보의 범 기관 차원에서 전국에 악화 되가는 하천과 그 연변을 복원하는데 있어 실무자들에게 개념적, 방법적, 기술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라인의 제작에 참여한 기관은 농무성, 환경청, 상무성, 국방성(공병단), 내무성 등 15개 기관이다. 이를 위하여 각 기관에서 양해 각서를 조인하여 하천 기술자들은 물론, 생물, 생태, 조경, 하천 형태 등 관련 1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연방기관 수변복원 실무그룹’을 구성하여 추진하였다. 이 가이드라인 구조는 3부와 9장, 그리고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색사진과 그림을 강조하며 추후 수정보완을 위해 바인더로 만들어졌다. 이 가이드라인은 기본적으로 손상이 된 하천의 복원 설계보다는 손상이 안된 하천의 구조와 기능 이해에 더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이 것 하나만으로 하천 복원에 관한 모든 기술적 지식을 얻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가이드라인 제작팀의 규모와 노력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미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하천 복원과 자연형 하천공법등의 실무에 상당한 기여을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Conceptual Design of Damage Assessment Inventory in Response to Disaster Risk for Infrastructures Close to River (수변구조물 재해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피해 평가 인벤토리 개념 설계)

  • Jo, Yun-Won;Choi, Hyeoung-Wook;Choi, Soo-Young;Jo,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1
    • /
    • pp.144-158
    • /
    • 2014
  • This research presented a conceptual design of damage assessment inventory for efficient response to natural disaster damage of infrastructure close to the river. It consists of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of facilities for accomplishing the conceptual design of inventory for damage of infrastructure close to the river. However, there are arising problems of efficient management on disaster, such as poor management of data facilities and constructions which is managed by the different types of government departments.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ed conceptual models of damage assessment inventory on risks of damage infrastructure close to the river using the United states' HAZUS-MH to analyze damage facilities, type of asset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of domestic facilities and guidelines for computing the value of assets. Conceptual models of inventory this research presented is to be used on the data for damage response on protected inland damage assessment and to increase efficiency for evaluating detailed damage amount of private property by natural disaster and to establish a restoration plan.

The Cenetic Implication of Hydrothermal Alteration of Epithermal Deposits from the Mugeuk Area (무극 지역 천열수 광상 열수변질대의 성인적 의미)

  • 박상준;최선규;이동은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3
    • /
    • pp.265-280
    • /
    • 2003
  • The Mugeuk mineralized area that associated with the pull-apart type Cretaceous Eumseong basin is composed of several gold-silver vein deposits that are emplaced in late Cretaceous biotite granite. The gold-silver deposits in the area show various hydrothermal alteration zones as well as Au/Ag ratios and ore mineralogy. The Geumbong mine showing relatively high gold fineness is composed of multiple veins and show alteration pattern; vein \longrightarrow phyllic \longrightarrow subphyllic \longrightarrow propylitic \longrightarrow subpropylitic zone. In contrast, The Taegeuk mines show the low fineness values, in far southern part are characterized by increasing tendency of simple and/or stockwork veins. The deposit displays alteration pattern; vein \longrightarrow propylitic \longrightarrow subpropylitic zone. Variations of alteration zone with depth show that phyllic zone are dominant in deeper level and propylitic zone sporadically overlapped by argillic zone are dominant in shallow level. The differences of alteration pattern between the gold-silver deposits are reflect the evolution of the hydrothermal fluids; the ore-forming fluids of the Geumbong mine are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highly-evolved meteoric water, developing phyllic zone, the Taegeuk mine containing greater amounts of less-evolved meteoric waters shows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salinity in ore-forming fluids, developing propylitic zone. The various physicochemical environment for gold-silver mineralization in the Mugeuk mineralized area is due to proximity from heat source area (Mugeuk mine) to marginal area (Taegeuk mine) in a geothermal fiel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riteria for project exploration in the area are to focus on the area proximal to heat source and phyllic zone.

Hydrothermal Alteration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in the Bokan Tunnel Area passing through the Yangsan Fault (양산단층을 통과하는 복안터널구간의 열수변질작용과 공학적 특성)

  • Lee, Chang-Sup;Lee, Hyo-Min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1
    • /
    • pp.13-22
    • /
    • 2009
  • The study area is a tunnelling section passing through the Yangsan Fault zone. Kyungbu express highway and national road 35 are located above the tunnel. Previous study showed that fault gouge and fault breccia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tunnelling section with a maximum width of 100 m. From the present study, it is found that sedimentary rocks consisting mainly of shale are distributed at the eastern block of the Yangsan Fault and these rocks are not subject to mechanical fracturing and hydrothermal alteration. On the other hand, dacitic tuff distributed at the western block of the Yangsan Fault is largely affected by mechanical fracturing and hydrothermal alteration. The large fault zone of $50{\sim}130m$ width was formed by complex processes of mechanical fracturing and hydrothermal alterations such as chloritization, sericitization, and kaoliniz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fracturing and hydrothermal alterations, the Yangsan fault zone in the study area is geotechnically classified as four zones: unaltered zone, altered zone, altered fractured zone, and fault gouge zone. These zones show different degrees and aspects in mechanical fracturing and hydrothermal alterations, resulting in different engineering properties.

Conservation and Status of Waterbirds on Sihwa Reclaimed Area (시화간척지에 도래하는 물새류 현황 및 보전 방안)

  • Lee, Si-Wan;Song, Min Jung;Lee, Hansoo;Choe, Jong I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6 no.1
    • /
    • pp.73-87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Sihwa reclaimed area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3. We observed total 169,351 individuals of 70 species(22 species of waders, 9 species of egrets and 5 species of gulls). Waterbird population was the largest in March(95,465 individuals) and was the smallest from April to June(less than 7,000 individual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Pintail(Anas acuta: 58,627 individuals, 34.6%) and other species were Mallards(Anas platyrhynchos: 24.5%), Common Pochards(Aythya ferina: 13.8%), Black-tailed Gulls(Larus crassirostris: 6.1%), Spotbill Ducks(Anas poecilorhyncha: 5.0%) and Greater Scaups(Aythya marila: 2.69%). Sihwa reclaimed area supported many kinds of protected species such as Chinese egrets(Egretta eulophotes), Black-faced Spoonbills(Platalea minor), Eurasian Spoonbills(Platalea leucorodia), Mute Swans(Cygnus olor), Whooper Swans(Cygnus cygnus), and Eurasian Oystercatchers(Haematopus ostralegus). They foraged at waterside of Sihwa lake and rested at reclaimed area. Particularly, Eurasian Oystercatchers bred in habitats with Salicornia herbacea and Suaeda japonica. Reclamation of mud flats and construction of roads, transmission towers and tide embankments disturbed waterbirds in breeding and foraging. We suggest that waterbirds are protected in different action plans according to their status such as breeding, passaging and wintering birds. Maintaining of waterside and swamps in Sihwa reclaimed area will be useful for breeding waterbirds. It is needed to make a protect zone for ecological connecting belt from Oeji isarea, Hyeong isarea, Eum isarea to upper channel on Sihwa lake.

  • PDF

Development of vegetation model for Restoration of Degraded stream Landscape (훼손된 하천 경관을 복원하기 위한 식생 복원 모델 개발)

  • Lee, Chang-Seok;Cho, Yong-Chan;Oh, Woo-Seok;Park, Sung-Ae;Seol, Eun-S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45-1148
    • /
    • 2007
  • 한국을 비롯하여 논농사 중심지역에서는 하천 주변이 과거에는 농경지로, 그리고 오늘날은 도시지역으로 개발되어 하천의 원형이 거의 유지되지 못하고 있다. 하천은 수역과 수변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여러 개의 이질적 생태적 공간이 이어지는 복합생태계로서 하나의 경관으로 볼 수 있다. 하천이 하나의 온전한 생태적 계로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하천의 원형이 복원되어야 한다. 현존하는 하천복원사업이 수변 구역의 복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진정한 복원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온전한 강변 식생의 복원이 선결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적군락의 형태로 잔존하는 강변 식생을 조사하여 식생복원 모델로 삼고자 한다. 수위와 침수체제에 의해 하천의 횡단구조를 수변, 홍수터 및 제방으로 구분한 후 각 지소의 적합한 식생단위를 구분하여 생태적 복원을 실현하기 위한 정보를 구축하였다. 수변식생으로는 달뿌리풀군락과 갈대군락이 자주 출현하고, 홍수터에는 갯버들군락과 키버들군락이 우세하였다. 그 중 전자의 식물군락은 하상재료가 거친 입자의 지소에 성립하고, 후자의 것은 미세한 입자의 지소에 성립하는 경향이었다. 제방역에는 버드나무군락, 다릅나무군락, 귀룽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산사나무군락, 신나무군락(한탄강 지류), 참느릅나무군락, 물푸레나무-갈참나무군락(한탄강 본류), 오리나무군락(민통선 북방지역), 소나무군락, 황철나무군락, 느릅나무군락(소양강 상류), 왕버들군락(금강 중류) 등이 성립하였다. 이러한 식생정보를 하천의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 구분하였고, 생태적 복원 시 도입식물을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삼기 위해 각 식생단위를 이루는 종 조성을 정보 체계화하였다.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Solar Unit으로부터 나오는 전기를 중전기에서 밧데리로 축전을 시키고 완전 충전 후에는 나머지 전기는 방전이 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였다. 사통수문 자원조사 결과에 의하면 현재 저수지에 물공급을 하는 수문은 취수탑 형식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30%의 사통수문 중 원형수문비가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대체에너지를 사용하는 저수지 사통수문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력을 사용하는 사통도 조사결과에 의하면 20% 이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수리시설 개보수시 적은 예산으로 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사통수문의 설치방향의 지표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수리시설의 운영관리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분류되었다. 지표 유거가 많아 배수등급이 매우양호로 분류되던 토양은 정 등(1995)의 분류와 비교하여 대부분 강우 유출 가능성이 큰 쪽으로 조정되었다.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이용할 경우 낮은 토심에서 암반층이 발견되는 산림토양이 분포한 유역이나 산림, 밭 등에 식질 토양이 많이 분포하는 유역에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보다 강우 유출량이 높게 평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강우 유출량 실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지속적인 보정을 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불투수층의 존재시 일괄적으로 D유형으로 분류된 토양의 경우 깊이에 따라 C 또는 D 유형으로 세분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가 있었다. 에틸아세테이트분회물의 경우 디글로로메탄 분회물에 비해 다소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지만 250 ${\mu}$g/ml 농도에서 약 60%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

  • PDF

Timing of the Hydrothermal Alteration Associated with the Fault Activities along the Ulsan Fault Bone, Southeast Korea (울산단층대의 단층활동에 수반된 열수변질작용시기)

  • 조규환;다카기히데오;이와무라아키라;아와지도타;장태우;손승완;이타야테츠마루;오카다도시노리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4 no.6
    • /
    • pp.583-593
    • /
    • 2001
  • Clay minerals are common component of fault gouge and have been used to determine the fault activity age using K-Ar dating technique. We carried out XRD and K-Ar analyses of the mica clay minerals from the fault gouge along the Ulsan Fault Zone, southeastern Korea to estimate the timing of the major fault activity. Mica clay minerals for four grain size fractions of 5-2 Um, 2-1 $\mu$m, 1-0.35$\mu$m, and 0.35-0.05 $\mu$m were separated from the gouge samples in the three locations by the hydraulic elutriation and contrifugal separator. Fault gouges are composed of smectite, mica clay minerals, kaolinite, chlorite, quartz, and feldspar. The illite crystallinity of mica clay minerals is the highest in the finest grained fraction with lM polytype, indicating that the aulhigenic mica clay mineral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fraction. K-Ar ages give some variation from 46 to 35 Ma (330-2), 45 to 39 Ma (16Ww), and 32 to 15 Ma (102Ws) and are the youngest in the finest grained f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ydrothermal alteration associated with the major fault activities along the Ulsan fault Zone took place twice at 39-35 Ma and 15 Ma.

  • PDF

Role of Aquatic Macrophytes as Refuge of Zooplankton on Physical Distribution (Summer Rainfall) in Shallow Wetlands (물리적인 교란 (여름 강우)에 대한 동물플랑크톤 서식처로서 수생식물의 중요성)

  • Choi, Jong-Yun;Kim, Seong-Ki;Kim, Dong-Hwan;Joo, Gea-Jae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9 no.4
    • /
    • pp.308-319
    • /
    • 2016
  • In order to evaluate the role of macrophytes as refuge of zooplankton on physical distribution (i.e. summer rainfall), we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factors, macrophytes, and zooplankton in waterside zones (macrophytes zones) and open water zones of 17 wetlands from May and August, 2011. In this study, a total of 51 zooplankton species were identified, and Polyarthra sp. and Diaphanosoma brachyurum were found to be the most dominant species. Waterside area of each wetland were occupied by a total of 10 macrophyte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dry weight) were different in the survey sites. Zooplankton was more abundant in waterside zone than open water zones lacking macrophytes (One-way ANOVA, df=2, F=27.1, P<0.05), in particular, waterside zone of 1, 8, 9, 10, and 11 wetland were supported by high zooplankton density after summer rainfall. This wetlands were developed by various macrophyte species than other wetland, and submerged plant commonly presented. Waterside zones with various macrophyte species provides complexity to the habitat structure, should be utilized as refuge to avoid disturbance such as summer rainfall. The results indicate that macrophytes are the key components to enhance bio-diversity include zooplankton, and the inclusion of diverse plant species in wetland construction or restoration schemes will result in ecologically healthy food we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