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화효소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31초

메주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처리가 탈지 우유 단백질의 응고물 형성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Modifications of Skim Milk Protein by Meju Protease and Its Effect on Acid Clotting and Digestibility)

  • 이진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8호
    • /
    • pp.998-1005
    • /
    • 1993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zymatic modification of milk protein with Meju protease on its acid clotting and digestibility. The proteases used in this study were isolated from Meju(fermented soybeans) and had specific acticity of 250 units/mg protein at pH 7.0. These proteases were found to be at least 3 different isoenzymes of different pH optima(pH 4.0, 6.0, 10.0). The optimum temperature was 5$0^{\circ}C$. Hydrolyzed skim milk showed 30.5% degree of hydrolysis for 1 hr. and 36.4% degree of hydrolysis for 3.5 hrs. of protease treatment at pH 7.0. Upon acidification to pH 4.0, skim milk produced large and dense coagulum, but the coagulum was getting smaller by protease treatment. Generally, digestability of skim milk at pH 4.0 was lower than pH 2.0. At pH 4.0, native skim milk and control group had problem with hydrolysis of skim milk protein. Among protease treated groups, 1 hour treated skim milk was most effectively hyrolyzed at pH 4.0.

  • PDF

Cromakalim 및 Pinacidil에 의한 개의 관상 동맥평활근 세포의 이완반응기전에 대한 연구

  • 임병용;김화순;하철봉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44-44
    • /
    • 1992
  • 최근 $K^{+}$ channel openers인 cromakalim과 Pinacidil이 새로운 종류의 혈관확장제로서 항고혈압 치료제로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들 약물의 이완 효과와 새포내 작용기전은 분명치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의 관상 동맥에서 얻은 평활근 세포에서 $K^{+}$ channel openers에 의한 이완의 세포내 기전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혈관 평할근 세포(dispersed smooth muscle cells)를 collagenase를 이용한 효소소화(enzymatic digestion)에 의해 분리하고, saponin을 이용하여 permeabilize되게 하였다. frypan blue exclusion과 전자 현미경적 관찰에 의하여 세포의 viability를 확인하였다. Dispersed intact cells은 phenylephrine (PE)에 의하여 용량의존 수축반응을 보였고 ED$_{50}$는 2.3 $\times$ $10^{-12}$ M이었다. 이러한 PE에 의한 수축반응은 cromakalim과 pinacidil (ED$_{50}$, 1.2 $\times$ $10^{-12}$ M)의 용량에 의존하여 억제되었다.

  • PDF

사료첨가제 제조기술과 시장동향 분석 (Analysis for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Market Trend of Feed Additive)

  • 이종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9-410
    • /
    • 2014
  • 사료첨가제는 배합사료에 첨가되어 소화력 향상, 병원균 저감, 지방 대사 개선, 항산화 효과, 독성 물질 제거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종류에는 보존제,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생균제, 효소제 등이 있다. 국내외 시장성장률을 보면 각각 5.1%, 3.5%를 나타내며, 국내시장은 해외시장의 약 2%를 차지한다. 사료첨가제는 소득 수준과, 육류 소비량, 애완 동물 수요 증가에 영향을 받는 산업이며, 해외 주요 업체들은 합병과 통합을 통해 관련 사업을 수직/수평 계열화하고 있다. 기술적인 흐름을 살펴보면, 천연 추출물에 의한 제품 개발, 저가 제품, 복합 기능성 맞춤형 첨가제 등의 니즈에 따라 관련 제품의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PDF

창란젓갈의 포장에 관한 연구 1. 병포장 젓갈의 품질유지기한

  • 윤지혜;이원동;장동석;강지희;이명숙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99-100
    • /
    • 2001
  • 창란젓갈은 명태의 내장을 원재료로 만든 젓갈로서 자가소화효소나 미생물의 초기 오염도가 높고, 특히 저염양념젓갈은 다른 젓갈에 비해 변패가 빠른 편이며, 냉장조건에서도 유통기한이 40일 정도로 짧아, 콜드체인시스템을 잘 지키지 않는 국내 유통 특성상 고온의 외기에 제품이 노출될 기회가 많아 반품발생률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창란젓갈을 비롯한 젓갈류는 대부분 병포장이나 필름포장인 PE(low density polyethylene)를 사용하고 있는데, 병포장한 창란젓갈의 문제점은 압력이 증가할 경우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어 냄새나 액즙이 누설되고 심하면 포장이 파손되기도 하고, 가물은 소비자가 병 뚜껑을 개방할 때 파열음과 함께 내용물이 유출되는 등 상품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중략)

  • PDF

수산 식품의 가공

  • 한봉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997년도 추계 학술심포지움
    • /
    • pp.519-529
    • /
    • 1997
  • 젓갈류는 우리 고유의 수산발효식품으로서 아미노산이나 무기물 성분이 풍부하고 소화흡수도 양호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다. 그러나 식염농도가 지나치게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풍미는 서구식 식생활에 익숙해진 미래세대로부터는 외면 당하고 있어서 사실상 대량소비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젓갈로부터 분리한 단백분해활성이 강한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고정화시켜, 다단계 가수분해법으로 가수분해액을 얻고 여기에 천연의 첨가물과 gum류를 첨가함으로써 새로운 풍미의 액젓류와 페이스트형 젓갈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품의 저장안전성을 위하여 액젓의 경우에는 전기저항가열법으로, 그리고 페이스트형 젓갈은 고압 증기가열법으로 살균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보다 다양한 풍미의 제품의 다품종 소량생산을 위하여서는 앞으로 적절한 풍미의 발현을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믿어진다.

  • PDF

잔디 예지물의 혐기소화에서 사일리지 저장기간이 메탄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age storage period of grass clippings on methane production by anaerobic digestion)

  • 여진;김태희;김창규;이서영;윤영만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4호
    • /
    • pp.13-2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초본계 바이오매스인 잔디 예지물의 혐기소화 원료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잔디 3종 (Poa pratensis, PP; Zoysia japonica, ZJ; Agrostis stolonifera, AS)의 생화학적 메탄퍼텐셜을 측정하였으며, 사일리지 저장기간 (0, 30, 60, 90, 120, 180일)에 따른 잔디 예지물 (PP)의 생화학적 메탄퍼텐셜 변화를 분석하여 사일리지 저장기간이 잔디 예지물의 혐기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Parallel first-order kinetics model에 의한 생화학적 메탄퍼텐셜 (Bu-P)은 PP, ZJ, AS에서 각각 0.330, 0.297, 0.261 Nm3/kg-VSadded이었으며, PP의 잔디 예지물이 메탄생산을 위한 혐기소화 원료로서 가장 적합하였다. PP의 잔디 예지물 사일리지의 Bu-P는 저장기간 0일 0.269 Nm3/kg-VSadded에서 저장기간 180일 0.217 Nm3/kg-VSadded로 약 19% 감소하였다. 또한, 잔디 예지물 사일리지 저장기간 0일에 NDF, ADF, BP 함량은 각각 67.59, 39.68, 3.02%인 반면, 180일에는 각각 77.12, 54.65, 6.24%로 나타나 저장기간 180일에 잔디 예지물 사일리지에서 세포벽 구성 물질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잔디 예지물을 효율적으로 혐기소화 하기 위해서는 사일리지 저장 방식 외에도 사일리지 제조과정에서 초기 수분함량, 효소 또는 알칼리 처리와 같은 전처리 방법, 잔류 농약에 의한 혐기소화 저해 영향 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식물 추출물, 한방 발효물, 유산균의 단독 및 혼합 첨가 급여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 or Mixed Supplements of Plant Extract, Fermented Medicinal Plants and Lactobacillus on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 김동욱;김상호;유동조;강근호;김지혁;강환구;장병귀;나재천;서옥석;장인석;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7-196
    • /
    • 2007
  • 본 연구는 식물 추출물, 한방 발효물 및 유산균을 육계에 단독 또는 혼합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혈액 특성, 맹장 미생물 균총 및 소장 내 소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이들의 성장 촉진용 항생제(AGP) 대체 가능성 및 효과적인 이용 방법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 strain) 840수를 공시하여 7처리 4반복 반복당 3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구는 항생제 무첨가구(NC)와 항생제 첨가구(PC)를 대조구로 하였으며, 시험 사료에 식물 추출물, 한방 발효물 및 유산균을 0.1% 수준으로 첨가한 처리구(PE, FMP 및 LB)와 유산균 0.1%를 혼합한 시험사료에 식물 추출물 및 한방 발효물을 0.1%씩 첨가한 처리구(PE+LB 및 FMP+LB)를 두었다. 5주 종료 체중 및 증체량은 무항생제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거나(P<0.05)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 요구율에 있어서도 무항생제 대조구(NC)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개선되었다(P<0.05). 그러나 식물 추출물 0.1% 첨가구(PE)을 제외한 다른 처리구에서는 항생제 대조구(PC)와 비교해서 생산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물 추출물 및 한방 발효물과 유산균 혼합에 따른 상승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Albumin : globulin 비율은 대조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백혈구 조성에 있어서 스트레스 지표인 림프구/호중구 비율이 역시 무항생제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아졌다(P<0.05). 맹장 내 총 균수 및 Lactobacillus 수에 있어서 처리구 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및 Salmonella의 수는 한방 발효물 0.1% 및 유산균 0.1% 단독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소장 내 소화 효소 활성은 sucrase를 제외한 다른 소화 효소의 활성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식물 추출물 및 유산균 급여는 육계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혈액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메리카동애등에 장내세균 동정과 생리적 특징 (Identifica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s of Intestinal Bacteria of the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 김은성;박지영;이상훈;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5-26
    • /
    • 2014
  • 다양한 먹이 조건에서 생활하는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는 장내 세균의 의존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종령 유충의 소화관에 존재하는 세균을 분리, 동정하고 효소활성 및 항균 능력을 분석하였다. 종령 유충의 소화관은 몸 체장에 약 7 배의 길이를 나타냈다. 한 개체의 소화관 내 존재하는 세균 수는 $5.0{\times}10^6$ cfu로 98% 이상이 후장에 존재했다. 소화관에는 3 종류의 상이한 세균이 존재했고, 미생물 동정 장치는 이들이 각각 Morganella morganii, Providencia rettgeri 및 Bacillus halodurans로 동정하였다. 이들 소화관 세균을 16S rDNA 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 외에 Proteus mirabilis, Providencia alcalifaciens, Providencia sp.를 검출하였다. 이들 장내세균은 항생제 내성을 보였고, 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또한 섬유소, 지질,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분해 능력을 보유하였다. 본 연구 결과들은 아메리카동애등에 소화관에 유용성이 높은 세균을 보유하고 있다고 제시하였다.

천연색소 소재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Natural Color Resources)

  • 황초롱;탁현민;강민정;서화진;권오운;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33-641
    • /
    • 2014
  • 천연색소로 사용되는 식물류 11종(쪽, 아카시아, 코치닐, 아선약, 포도과피, 태수, 헤나, 국화, 붉은백단향, 대황, 서양꼭두서니)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해 열수 추출 분말을 제조하여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아선약 추출물이 348.23 mg/g으로 가장 높았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FRAP법에 의한 환원력도 아선약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beta}$-carotene linole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소화효소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93.93%로 가장 높았고, ${\alpha}$-amylase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64.53%로 가장 높았다. Trypsin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alpha}$-chymotrypsin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4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ip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52.73%로 가장 높았다. 3T3-L1 세포에 대한 지방 축적률은 아선약 추출물이 55.8%로 가장 낮아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물류 색소원료의 중 아선약 추출물과 아카시아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분해효소 저해에도 상당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페놀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아선약 추출물의 경우 지방세포 분화 억제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이 되며 그와 관련된 메커니즘 연구는 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mylase와 Protease의 활성이 높은 현미 발효 미생물의 선별 (Screening for Fermentative Microorganisms that Grow on Brown Rice with High Amylase and Pretense Activities)

  • 김기연;김희규;송병철;차창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0-163
    • /
    • 2006
  •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식품영양학적 가치 및 식이섬유의 함유량이 높은 쌀겨 및 배아를 포함하고 있으나 소화가 잘되지 않는 단점 이 있다. 따라서 발효현미는 소화력을 높임과 동시에 좋은 영양 공급원이 될 수 있으므로 높은 amylase와 pretense의 활성으로 현미를 발효할 수 있는 미생물을 선별하였다. 2.5%(w/v)의 현미분말을 유일한 영양원으로 한 액체배지를 생장배지로 사용하여 생장능력과 효소 생산능력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8종의 Bacillus 와 11종의 유산균 중에서 모든 Bacillus 균주와 두 종의 유산균이 생장과 효소활성을 보였다. 생균수는 $10^7CFU/mL$을 초과하였으며 Bacillus sp. Bacillus sp. B2, Bacillus sp. B11, Leuconostoc gelidum, Pediococcus pentosaceus 가 생산하는 최고 amylase 활성은 각각 17.85, 17.50, 17.10, 17.10, 3.24 U/ml이었고, 최고 pretense 활성은 각각 22.48, 22.04, 23.76, 12.13, 3.80 U/ml이었다. 따라서 이 균주들은 발효 현미 제조를 위한 접종균주로서 이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