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호의복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Clothing-Purchasing Behavior and Preferred Sensation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of Female Consumers (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 행동과 선호감성에 관한 연구)

  • 한경미;나영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9_10
    • /
    • pp.1026-1035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new lifestyle of female consumer of age in the range of 19∼35 and to investigate their clothing-purchasing behavior and preferred sensation by lifestyle group.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on 402 subjects with 31 lifestyle questions, 32 questions of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nd 18 questions of preferred sensation. Through factor, cluster analysis and anova using SPSS, we found that the female consumers were composed of 6 lifestyle groups; Traditional Appearance Pursuit(19.4%), Personal Life Pursuit(15.7%), Outer Beauty Pursuit(15.9%), Active Practical Pursuit(11.4%), Digital Leisure Pursuit(13.4%) and Unconcern(21.6%). The location of 6 lifestyle group were visualized in 2-D as the horizontal axis of 'Internal↔Appearance' and the vertical axis of 'Personal↔Collective'. Six groups by lifestyle showed different clothing-purchasing behavior and preferred sensations, and had different socio statistical parameters, such as age, income, job and education.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through Clothes Image Preferences and Benefit (PartII) (선호 의복이미지와 편익에 의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제2보))

  • 이숙희;임숙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3_4
    • /
    • pp.322-33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gment the consumer market for women's street clothes based on benefit sought. The sample was taken from 1106 middle class women who were in their 30's-40's living in Gwangju city.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honest sought. The groups were practical benefit seeking group(36.7%), multi-benefit seeking group(32.6%) and symbolic/aesthetic benefit seeking group(30.7%). ANOVA, $\chi$$^2$-test revealed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benefit sought, use of information sources, purchasing behavior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As a result of comparison for two market segmentations, benefit segmentation was proven to be more useful than segmentations using clothes image preferenc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among the same benefit segments. Therefore hybrid approach on segmentation using clothes images preferences and benefit sought is neccesary.

The Effects of Gender-Role Identity on Adolescents' Self Esteem, Clothing Behaviors and Favorite Clothing Image -Focused on analysis by adolescent' sex and age variable-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이 자아존중감과 의복행동 및 선호 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성과 연령에 따른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Lee, Mi-Sook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7 no.4
    • /
    • pp.707-72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effects of gender-role identity on adolescents' self esteem, clothing behaviors and favorite clothing image, focusing on analysis by adolescent' sex and age variable. The research method was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447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Daejeon,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measurement instruments (gender-role identity, self-esteem, clothing behaviors, and favorite clothing image) and subject' demographic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X^2$ test, t-test, ANOVA(analysis of varianc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gender-role identity and self- esteem were different by age rather than sex.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presented by undifferentiated type while high school students were represented by androgynous typ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self-esteem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four factors emerged on clothing behaviors(clothing interest & psychological dependence, ostentation, conformity, and comfort), and favorite clothing image(characteristic, neat, active, and romantic image). Third, gender-role identity had important effects on self esteem; androgynous type had higher self esteem than other gender-role identity type. Forth, self-esteem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lothing behaviors and favorite clothing image, and these relationships were different by adolescent' sex and age variable. Fifth, gender-role identity had important effects on clothing behaviors; and rogynous type had more clothing interest, ostentation and comfort than any other gender-role identity type. Sixth, gender-role identity had important effects on favorite clothing images; androgynous type pursued more various clothing images than any other gender-role identity type.

The Analysis of General and Apparel Color Preference and Apparel Possession Color (일반색. 의복색 선호도와 의복색 소유도의 특성 및 차이)

  • 김미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8
    • /
    • pp.1165-1176
    • /
    • 2002
  •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more refined information on color preferences by systematizing the concept of the color preference(general color preference, apparel color preference) and revealing different trends in the color preference and the actual possession of apparels. We collected data from 303 females in the ages between 20 and 40 in Seoul and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nalysis on general color preference, apparel color preference, and apparel possession color revealed that the cold colors such as blue and violet marked higher, and the warm colors such as yellow and orange marked lower in general color preference. For apparel color preference, neutral and brown were among the highest and the rest of the colors were in the same trend as general color preference. Apparel possession color showed defined accordance with apparel color preference. In terms of tones, pale tone marked the highest in general color preference and was followed by vivid, dull, and dark tones in decreasing order. For apparel color preference, pastel, dul1, and dark tones were among the highest. 2. Comparison between general color preference and apparel color preference in terms of hue showed that, except for orange, every hue showed disagreement in general color preference and apparel color preference. Neutral and brown hues marked higher in apparel color preference than in general color preference where as a]1 the other hues marked higher in general color preference. Comparison between apparel color preference and apparel possession color in terms of hue revealed that in most hues, apparel possession color was lower than apparel color preference. In terms of tones, vivid and pale tones marked higher in general color preference than in apparel color preference while dull and dark tones marked higher in apparel color preference than in general color preference.

작업부하에대한 심리/환경적 영향 평가기법 개발: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 박창순;조영진;김정룡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40-4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작업자 개인이 느끼는 심리/환경적 부하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척도는 현장의 중간관리자들이 간단한 기구와 직접 관찰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심리적 작업부하 측정은 기존 연구와 현장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타당도가 높다고 인정되는 심리부하 측정 요소를 결정하였고, 문헌과 모의 검사를 통하여 부 담감이나 편의(bias)를 줄일 수 있도록 문항수 및 어휘를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설문은 다양한 문체 중 가장 신뢰도가 높은 형태를 선정하였다. 환경적 작업부하 측정은 문헌 조사를 통하여 측정을 위한 요소를 결덩하였고, KS 규격을 기존으로 새로운 환경부하 측정 지침서를 개발하였고, 현장 예비조사가 실시되었다. 또한, 환경부하 측정결과를 지수화하기 위한 수리적 모델과, 심리적척도와의 통합을 위 한 수리적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설문 문항과 환경조사방법은 작업장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 제로 그 효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이제까지 소홀히 여겨왔던 작업자의 심리적/환경적 부 하를 정량적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정량화한 심리/환경 부하 척도는 이제 까지 주로 조사되었던 생체역학적/생리적 부담도와 더불어 종합적인 작업부하 평가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척도에 의한 결과는 현장 근로자들의 근로여건 개선을 위하여 노/사/ 정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방차원의 안전관리에도 응용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한다.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 PDF

The Cognitive Complexity of Clothing Attributes -Focused on Clothing Involvement- (의류 제품의 속성에 대한 인지적 복잡성에 관한 연구 -의복 관여를 중심으로-)

  • Park S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0 no.4 s.152
    • /
    • pp.497-50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gnitive complexity of clothing attributes, which influence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34 female college students and formal survey methodologies were used for collecting data. Those data were analyzed with SAS program, and various methods such a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onjoint analysis, path analysis of Lisrel were follo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lothing involvement consists of the affective factor and the cognitive factor. 2) The consum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regards to the degree of their clothing involvement. 3)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the cognitive complexity of clothing attributes among these groups.

A Study on the Customer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ong based on the customer's Lifestyle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요 경향 -패션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 Cho, Ha-Kyung;Lee, Joo-H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114-1121
    • /
    • 2009
  • 1990 년대 후반 이후 스마트 의류 연구는 기능성 및 인간 친화적인 측면으로의 접근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기능 및 사용자 중심의 연구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되고 있다다변하는 의류 시장에서 스마트 의류 상품기획은 기존의 의류 상품기획과 같이 소비자 트렌드 중심의 경향과 함께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그 중요성은 날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의류의 연구는 기능성, 사용성 기반의 연구자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소비자 중심, 마켓 중심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 수용도와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 대, 30 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용도와 인지 여부 및 스마트 의류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그 결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감각적 정보추구형, 실용적 기능추구형의 세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유행추구형 집단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구형은 엔터테인먼트 의류군을 선호하였으며, 스마트 의류 속성 중 외관을 다른 집단에 비해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각적 정보추구형은 감성교감의류 및 생체 신호 측정의류의 선호도 및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용적 기능 추구형은 생체 신호 측정의류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하는 의류에 대해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스마트 의류의 필요성을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의류의 인식 및 선호도 등 상품화에 실질적인 평가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스마트 의류의 상용화에 있어 시장 가능성 및 상품화를 위한 스마트 의류 기획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다관능성 에폭사이드로 처리한 모직물의 구김회복성에 관한 연구

  • 문수진;강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334-337
    • /
    • 1998
  • 양모는 흡습성과 보온성이 우수하고 위생적이며 염색성도 좋아서 고급 의류의 소재로서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의복의 경량화와 밝은 색상 선호에 따른 구김 발생문제가 대두되면서, 구김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섬유의 구김회복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견이나 양모에 있어서 에폭사이드 화합물 처리에 관한 여러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1-4].(중략)

  • PDF

Children's Clothing Preference on Animation Character Color -Focusing on Mickey and Mini Mouse- (애니메이션 캐릭터 색채에 대한 유아의 의복 선호도 -미키와 미니마우스를 중심으로-)

  • Sung, Nam-Suk;Choi, Su-Koung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3 no.2
    • /
    • pp.63-7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s clothing preference on animated character color.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mulus and response scales. The stimuli were 30 color pictures, in which gender (boy, girl), type of character (Mickey Mouse, Mini Mouse), hue of character (red, yellow, green, blue, purple), and tone of character (vivid, light, dark) were manipulated. The 5-point scale was used to evaluate children's clothing preferences. Data were obtained from 300 boys and 300 girls living in Seoul, Busan, Jinju, and Changwon in April 2010. For data analysis, ANOVA and Duncan-test were used by using SPSS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ne of character had an independent effect on children's clothing preference.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and hue of the character were found.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and tone of the character were found. Interaction effects of type and tone of the character were fou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