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활터중심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 건강도시를 중심으로 (The Setting Approaches in Health Promotion Projects)

  • 김건엽;김현지;윤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813-820
    • /
    • 2011
  • 본 연구는 건강도시 지자체를 대상으로 국내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건강증진사업의 성공적인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건강도시에서 실시한 생활터 중심 건강증진사업 자료, 건강도시 현황자료, 보고서, 논문, 워크숍 및 심포지엄 자료집 등 관련 이차자료를 수집하고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08년 수행한 건강도시 총 사업 중 건강한 생활터 사업은 27개 사업(14.7%), 2009년의 경우에는 42개(21.8%)였다. 생활터 종류를 살펴보면 2008년에는 마을과 학교가 각각 6개(22.2%)로 가장 많았다. 2009년에는 학교 12개(28.6%), 아파트 8개(19.0%), 마을 6개(14.3%), 어린이집 5개(11.9%), 직장 및 경로당이 각각 4개(9.5%), 시장 3개(7.1%)의 순이었다. 대도시 지역의 경우 학교, 아파트를 중심으로 생활터 접근을 하고 있고, 농촌 지역의 경우 마을이나 경로당을 중심으로 생활터 접근을 하고 있다. 국내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 사례를 건강증진학교, 건강한 작업장, 건강마을과 건강한 아파트, 건강증진병원, 건강한 시장, 건강경로당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생활터'와 '건강증진'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이를 위해 생활터가 건강한 도시(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맨체스터의 노동계층의 공간 구조: 『메리바튼』과 『영국 노동계층의 상태』를 중심으로 (Spatial Structure for Laboring Classes in Manchester: Mary Barton and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Class in England)

  • 이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209-214
    • /
    • 2024
  • 본 연구는 19세기의 맨체스터의 노동 계층의 생활 공간 구조를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맨체스터에는 대표적인 노동 계층이 집단 거주하는 구역이 있었다. 엘리자베스 개스켈의 『메리바튼』은 노동자 계층의 비좁고 비위생적인 거주 여건을 묘사함으로써 그들의 비참한 생활환경을 드러낸다. 영국의 산업지대에서의 노동 계층의 생활을 분석한 엥겔스의 『영국 노동계층의 상태』는 특히 맨체스터를 주로 분석한다. 획일적으로 형성된 노동계층의 거주 구역은 부르주아의 거주 지역과는 분리되어 있었다. 도심의 상업 지구를 둘러싼 열악한 구시가지에 노동자 거주지역이 있었고, 그 주변에 중산층 거주 지역이 있었으며, 외곽에는 상류층의 주거지가 있었다. 분리와 차별로 특징지어지는 산업도시로서의 맨체스터의 형성을 추동한 것은 지배이데올로기이다.

생활터 중심 아동의 단기계속구강관리 효과분석 (Effect analysis of short-term oral health care on children at community care centers)

  • 김영진;김설악;최은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6-157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hort-term oral health care on children at community care centers, in order to allow them to maintain good oral health. Methods :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dow Version 18.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e children's present conditions of oral health; their ability to maintain good oral health; their general knowledge about oral health; changes in their oral health awareness; habit formations concerning oral health;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oral health education. Results : 1. While the average number of teeth before the program is 19.84(6.19), that of teeth after the program is 21.33(6.10). 2. Average test scores on oral health information of post-program are improved more than those of pre-program. 3. The 8th measurement of O'Leary plaque index is 3.27, which shows significant changes. 4. Satisfaction level with the program is 4.75(0.45), which shows that children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Conclusions : The paper shows that in order to maintain the oral health of children at community care centers, their habit formation and practice for the oral health is important. It also shows that cooperation among communities and public health centers is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like the program.

생활터 중심의 건강마을 만들기 사업 (The Healthy Village Projects Centered on the Living Site)

  • 최영미;김지은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33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problems in the community by providing healthy village projects centered and based on the actual living site and to enhance the empowerment of the community related to health.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00 people who lived in one of the 5 villages under the jurisdiction of one Primary Health Care Post (PHCP) in D city.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CHP) carried out the projects to increase geographical and temporal accessibility by building infrastructures through connecting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in the community. The health leaders who were trained through the project consistently managed, and periodically checked the residents' health status. Results: The participants in the projects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depression, routine stress,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disorders, an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healthy village projects centered on the living site led to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the residents, improve HRQoL and enhanced empowerment of community.

학교시설 복합화의 교육프로그램과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화성시 복합화 이음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ducational Program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ixed-use School Facilities C - Focusing on 'Eumteo' of Hwaseong-si, Gyeonggi-do -)

  • 서유정;심은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3권1호
    • /
    • pp.1-11
    • /
    • 2024
  • 우리나라는 인구감소와 시민들의 문화 및 복지에 대한 수요 증가로 학교시설의 복합화 사업을 통해 공공시설에 대한 기대와 수요를 충족 하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범사례인 화성시 '이음터'를 기반으로 학교시설 복합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교육프로그램 및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례연구의 대상은 화성시의 7개의 이음터를 선정하여, 현장답사 및 시설운영자를 대상으로 현장 관찰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로 교육프로그램 유형은 학습 나눔, 공동 소통, 평생 배움으로 도출하였다. 학습 나눔은 교육과 체육시설로 지역사회의 연대감과 교류를 증진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주민들의 높은 이용률과 활성화된 지역사회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동 소통은 커뮤니티, 편의시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커뮤니티시설로는 다목적홀과 소통홀, 편의시설로는 주차장과 카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평생 배움은 다양한 문화시설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화성시만의 차별화된 특화 프로그램으로 이음터 중 가장 활발히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다원화된 사용자 계층에 따른 적합한 교육프로그램과 운영을 위한 학교와 복합화의 일체형 연계유형 연구도 필요하다.

『논어(論語)』의 커뮤니케이션 속성고(屬性考) (A Study of Communication Factor in Lunyu)

  • 이범수
    • 동양고전연구
    • /
    • 제36호
    • /
    • pp.85-104
    • /
    • 2009
  • 본 연구는 "논어(論語)"라는 커뮤니케이션 텍스트에서 커뮤니케이터, 수용자, 메시지 등 세 가지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축으로 하여, 커뮤니케이션 속성의 근거를 찾고자 한 것이다. 여기에는 기존 논어 관련 커뮤니케이션학적 연구의 한계 극복과 학제간 연구의 당위성 및 필요성 제고 의도 또한 포함되고 있다. "논어"가 커뮤니케이션 텍스트인 이유는 문답이라는 인간의 대표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 사용, 학문 정치 도덕 등과 같은 생활세계의 커뮤니케이션 현상이라는 콘텐츠 특성, 후세에 끼친 영향력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기존 논어 관련 커뮤니케이션 학적 연구의 문제들은 연구 대상과 연구틀 간 학문적 정합성 논의가 미흡하고, 시론적 속성 기축성(基軸性) 배제 등이 있다. 때문에 본 연구방식을 사용하면 특정 주제 중심의 텍스트 발췌 및 그 재해석을 통해 해결 가능할 것이다. "논어"속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속성은 신실한 윤리성과 논리 및 실천력 등 커뮤니케이터의 요건이 있고,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 도덕적 인간의 이상형으로서 군자(君子) 등이 있다. 또한 어떠한 상황에서도 적절한 메시지 구사 능력 및 선별 판단 능력 그리고 상호 커뮤니케이션 상황의 주도력 등과 같은 수용자 필요조건, 윤리와 이치에 맞으면서 반드시 실천되어야 하는 커뮤니케이션 윤리 실천의 객체인 메시지의 덕목 등이 있다.

점농어 (Lateofabrax sp.)의 자어기 동안 소화기관의 구조.기능적 분화

  • 이정식;박정준;강승완;주용석;정관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13-314
    • /
    • 2001
  • 어류의 성장에 따른 소화관 조직상의 분화ㆍ발달을 구명하는 것은 각 성장시기에 어류 소화기능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어류의 초기생활사 동안 소화기관의 발달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있는데, 그 결과 소화기관 각 부위의 완성 시기는 어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 가운데 Gadus morhua(Pedersen and Falk-Petersen, 1992), Hippoglossus hippoglossus(Kj$\Phi$rsvik and Reiersen, 1992), Solea solea(Boulhic and Gabaudan, 1992), Paralichthys dentatus (Bisbal and Bengtson, 1995),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Lee et al., 1998) 그리고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Lee et al., 2000)의 경우는 치어기 (juvenile stage)를 중심으로 기능적인 위가 완성되므로 이들 어류의 실질적이고 완전한 소화ㆍ흡수기능의 시작은 이때부터라고 보고되고 있다. (중략)

  • PDF

수변문화공학의 새로운 모델 (Model for Cultual Engineering on Water Front)

  • 홍길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7-107
    • /
    • 2011
  • 인류가 수렵생활에서 농경문화로 정착됨에 따라, 물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하천이나 호소의 수변공간을 활용하여 고대문명이 형성되어 왔다. 이와 같은 고대문명이 근대 산업화에 의한 새로 운 문명으로 이어지면서, 종래의 하천이나 호소의 수변공간을 이용한 생활과 문화로부터 대외지향적인 해안공간을 중심으로, 그것이 확장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최근의 세계화에 수반되어 많은 국가들이 대외지향의 편리성 도모를 위하여, 일종의 제2의 도시국가형태의 문화가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형태의 문명이 태동하고 있는 듯하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우리나라는 저 출산 고령화 사회라고 하는 새로운 조류가 긴박하게 진전되고, 도시화율이 90%, GDP의 대외 의존도가 80%에 육박하고 있는 등으로, 고도의 수변공간을 활용하는 세계 유수의 도시국가의 형태로 이행되고 있는 듯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하천 호소 해안 등의 수변공간의 이용을 위하여 발전시켜온 하천공학이나 해안 항만공학만으로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가가 미흡하고, 더욱이, 20세기후반으로부터 시작된 환경적요인의 도입에는 아직까지 혼란이 야기되고 있어, 새로이 형성시켜가야 할 수변문화의 효율성제고의 도구로서의 새로운 공학의 발전이 모색되어야한다. 이는 수변공간의 이용 안전 환경이라고 하는 큰 틀로서의 문화 문명을 만들어 갈수 있는 공학이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수공학 위주의 공학개념에서 종합공학 또는 공학종합의 학문으로서 인문사회, 첨단과학기술까지의 대융합을 고려한, 장소나 공간이라고 하는 "것(물(物))"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장면, 상황, 규칙 만들기라고 하는 "일(사(事))"의 디자인까지도 포함되는 공학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주요내용으로서는, 새로운 수면문화조성을 촉진하여, 지속가능한 인류문명이 유지 될 수 있도록 지금까지의 터 무늬 또는 자취를 최대한 살리면서, 최근의 하천 해안을 중심으로 한 외부의존형 대도시권형의 국토이용에서, 지식산업단지 생산녹지 등을 최대한 아우를 수 있는 소위 글로발형의 국토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수변문화공학의 모델을 제안한다.

  • PDF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민화 미술관 기획 연구 -제페토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ning of Minhwa Museum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 Focusing on Zepeto Case)

  • 최은진;이영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3-74
    • /
    • 2021
  • 메타버스는 스마트폰을 상시 휴대하는 MZ세대의 생활 패턴과 자신의 정체성을 중요시하는 성향에 잘 맞는 가상공간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전통문화 예술인 민화를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에서 미술관으로 개발하는 기획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징인 오픈월드, 샌드박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아바타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제페토에 민화 미술관을 개장하는 기획 아이템으로 발전시킨다. 한국 전통예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면서, MZ세대의 뉴트로 감성에 맞는 메타버스 기획 개발 모델로서의 연구 가치가 있다.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Social Percep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Big Data)

  • 강민정;유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62-171
    • /
    • 2020
  • 본 연구는 Textom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을 살펴보고 유아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17년 까지 포털 웹사이트에서 '유아+재난+안전교육'을 키워드로 온라인 텍스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원자료는 1차와 2차 데이터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빈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단어 50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키워드는 매트릭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재난안전교육과 함께 가장 높은 빈도로 등장한 키워드로는 '교육'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체험', '유치원', '예방', '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 역시 '교육', '체험', '예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방', '생활', '대피' 키워드는 빈도순위보다 연결중심성에서 높은 순위가 나타나 단어들 간의 연결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의 재난안전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기에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기관에서 '예방'과 '체험'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