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체인식 시스템

검색결과 434건 처리시간 0.024초

생체 기반 시각정보처리 동작인식 모델링 (A Bio-Inspired Modeling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for Action Recognition)

  • 김진옥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8호
    • /
    • pp.299-308
    • /
    • 2014
  • 신체 동작, 얼굴 표정과 같이 아주 복잡한 생체 패턴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인간의 능력을 모방한 정보처리 컴퓨팅 관련 연구가 최근 다수 등장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비전 분야에서는 인간의 뛰어난 인지 능력 중 상황정보 없이 시각시퀀스에서 동작을 분류하는 기능을 통해 시공간적 패턴 코딩과 빠른 인식 방법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비디오 시퀀스상의 동작인식에 생물학적 시각인지과정의 영향을 받은 생체 기반 컴퓨터비전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안 모델은 이미지 시퀀스에서 동작을 검출하고 시각 패턴을 판별하는 데 생체 시각처리과정의 신경망 구조 단계를 반영하였다. 실험을 통해 생체 기반 동작인식 모델이 인간 시각인지 처리의 여러 가지 속성을 고려했을 뿐 아니라 기존 동작인식시스템에 비해 시간 정합성이 뛰어나며 시간 변화에 강건한 분류 능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제안 모델은 지능형 로봇 에이전트와 같은 생체 기반 시각정보처리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얼굴 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재분류 방법 (Re-classifying Method for Face Recognition)

  • 배경률
    • 지능정보연구
    • /
    • 제10권3호
    • /
    • pp.105-114
    • /
    • 2004
  • 최근 생체인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출입 통제나 사용자 인증과 같은 보안 분야에 적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얼굴인식은 생체인식 기술 중 사용자 편의성과 접촉 거부감이 적어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타 인식기술에 비해 인식 결과의 정확성과 재시도율(Re-attempt Rate)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데이터 분류 방법(Data Classification Algorithm)으로 인식 결과를 재분류(Re-Classification)하는 접근법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실험을 위해서 대표적인 형상 기반(Appearance-based) 알고리즘인 PCA를 사용하였고, 200명(총 얼굴 영상 200장)을 대상으로 제안한 재분류 접근법을 적용한 결과 재인식의 경우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얼굴의 기하학적 분석과 유사도 비교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Geometric Analysis and Similarity Comparison))

  • 최내원;류동엽;지정규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9호
    • /
    • pp.1269-1278
    • /
    • 2002
  • 정보화에 의한 지식사회가 점점 고도화 되어갈 수록 사람의 신체에 의한 개인 식별 기술이 많이 요구되고 있다. 지문인식이나 홍채인식 등의 생체인식은 이미 상용화되어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사람의 얼굴을 이용한 인식이나 인증분야는 아직 충분한 성능이 나오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생체인식이나 얼굴인식에 대한 응용은 점점 그 비중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을 각각의 개체단위로 분할한 후 각 개체의 비율적인 특징을 계산하고 특정 계산식에 가중치를 부여하며 분할된 눈과 입의 유사도 검색을 통해 유사성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실험하고 그 결과의 분석을 통해 인식률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항공안전 향상을 위한 생체인식 기반 항공보안시스템 도입 및 국제표준화 활성화 연구 (A Research on the Analyzing Biometric Aviation Security System and Proposing Global Standardization to Improve Aviation Safety)

  • 조성환;윤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637-647
    • /
    • 2020
  • 테러리즘 양상의 변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항공보안 분야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에 따라 각 국가는 공항 및 항공관련 기관에 생체인식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도입하고 있다. 항공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ICAO 항공보안계획은 글로벌 항공운송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전제로써 생체인식을 기반으로한 항공보안 시스템 구축 및 향상 방안을 강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인식기술을 도입하여 각 국가 간 균질적인 항공보안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의 생체인식기반 보안시스템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법적·제도적 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ICAO 회원국들이 항공테러를 사전에 예방하고 항공보안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해 항공여객의 생체인식정보 활용을 위한 ICAO 회원국 간 표준화 방향 및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항공안전을 향상하기 위해 항공보안시스템에서 생체정보의 활용은 이제 거의 모든 국가에서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적 흐름이 되었다. ICAO 차원에서 국제적 표준 기준이 제시 된다면 글로벌 항공운송산업의 안전 향상 위한 생체정보 활용 시, 회원국 간 실시간적인 정보 공유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항공안전 위협 요소 또는 예상되는 보안사고를 일관성 있게 대처 할 수 있을 것이다.

지문인식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한 손상된 지문의 특이점 추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inutiae Extract of Stain Fingerprint for Improve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 김용식;조범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상)
    • /
    • pp.236-23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많은 잡음으로 인해 손상된 지문으로부터 향상된 특이점 추출에 관한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들어 주민등록증 뒷면의 지문 이미지와 본인의 생체 지문을 비교하여 본인임을 판단하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지고 있다. 그런데 생체지문 인식 장치를 통해 입력받은 지문 이미지는 왜곡과 잡음이 없는데 반해 주민등륵증상의 지문이미지는 입력 당시 잉크를 통해 회전날인 방식으로 입력받아 잡음과 왜곡이 심하여 두 이미지간의 인증율이 좋지 않다. 이에 주민등록증의 지문 이미지에 대한 잡음과 왜곡보정 필터링과 오류 특이점 제거 등을 통하여 향상된 지문인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개선된 전처리 과정을 통한 지문인식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gerprint Identification Algorithm Using Improved Preprocessing)

  • 신의재;조성원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46-249
    • /
    • 2001
  • 본 연구는 온라인 지문 인식 기법의 속도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여 기존의 지문 인식 기법과 비교하여 개선된 전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적은 계산량으로 보다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여 궁극적으로 지문 인식 및 대조 시스템이 적합한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방향성이미지에서 방향성추출에서는 4$\times$4화소를 하나의 Block으로 나눈 후, 3$\times$3의 Sobel 연산자를 이용하였고, 이 방향성 정보를 이용하여 지문영상의 품질 측정과 배경 분리를 하였으며, 또한 부분 영역간의 밝기 차이 등으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진화 수행 과정에서 가장 애로점인 임계치(threshold value) 설정을 지문의 대상 영역의 밝기 등에 적응하여 스스로 변하도록 할 수 있게 Slit sum의 방법을 응용한 적응 이진화를 하였다. 세선화와 특징점 추출에서는 VHN(Vertical & horizontal Number)값을 이용하여 보정(Interpolation)효과를 주어 오류특징점을 배제하고, 자동 지문 인식 시스템의 인식성능을 향상시켰다.

  • PDF

WWW 기반 지문을 이용한 미아방지시스템 구축 (WWW based on Missing-Child Prevention System Construction using Fingerprint)

  • 송영옥;김성영;조용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64-7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사회문제 중 하나인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미아발생부분에서 미아발생시 보호자를 손쉽게 찾기 위한 해결방안으로 WWW를 기반으로 어느곳에서나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하고 안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지문인식을 비롯한 생체인식기술은 이미 오랜 시간동안 연구가 계속되고 있고 많은 분야에서 생체 인식을 이용한 개인 인증이 실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 인식 중 가장 일반화되고 있고 사람마다 고유의 특성차이를 나타내는 지문을 영상 처리 방법으로 인식하여 본인 여부를 판단하는 지문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미아나 장애인 보호를 위한 WWW 기반 미아방지시스템(NomiaSys)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본 시스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생체 모방 로봇을 이용한 관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Pipeline Monitoring System Using Bio-memetic Robots)

  • 신대정;나승유;김진영;정주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1호
    • /
    • pp.33-4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생체 모방 로봇을 이용한 관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생체 모방 로봇은 관로를 이동하며 온도, 습도, 진동 등 다양한 정보를 획득한다. 관로를 이동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능은 로봇이 이동하여야 할 관로의 형태를 인식하는 것이다. 관로의 형태 인식을 위한 센서로 적외선 거리 측정 센서를 사용하며, 모터에 연결된 센서는 회전 운동을 하며 측정된 각도 및 거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로의 형태, 각도 등을 인식한다. 관로의 형태 인식은 모터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적외선 거리 측정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관로의 개수와 위치에 의한다. 한번 스캔된 데이터에서 감지되는 관로의 수에 따라 별도의 퍼지 분류기를 이용하여 형태 및 관로의 휘어진 각도 등을 추정하며, 다양한 형태의 관로에 대해 실제 측정된 데이터를 통하여 제안된 시스템이 효율적임을 확인한다.

BioAPI를 이용한 웹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설계 (A Design of Web-based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using BioAPI)

  • 윤성근;김성훈;박충식;전병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037-1040
    • /
    • 2001
  • 생체인식 기술이 차세대 보안 기술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나 대부분의 생체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어, 표준화 노력의 일환으로 세계적인 생체인식협회인 BioAPI Consortium에서 표준 BioAPI version 1.1이 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BioAPI에서 제안한 명세서를 토대로 하여 클라이언트-서버구조로서 웹기반 사용자 인증시스템을 설계한다. 클라이언트는 입력 장치 및 BSP에 따른 Hybrid기법을 적용함으로서 신뢰성을 부여하여 웹 상에서 사용자의 취득 가능한 여러 생체 정보를 검증 자료로 사용하고, 실 시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ActiveX를 사용하여 객체의 크기를 작게 한다. 서버는 생체검증의 기본기능인 등록, 인증, 검증을 할 수 있도록 BioAP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BSP에 따른 기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증하게 되며,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 접근 방법을 사용한 서명과 ID 및 password 의 조합을 검증기로서 사용하게 된다. 개방형 네트워크인 웹 상에서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검증시스템은 전자 상거래 등의 신원확인이 필요한 분야에 신뢰성을 제공한다.

  • PDF

심전도기반 u-Healthcare 시스템을 위한 파형추출 방법 (Development of Signal Detection Methods for ECG (Electrocardiogram) based u-Healthcare Systems)

  • 민철홍;김태선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6호
    • /
    • pp.18-2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심전도 기반의 u헬스케어시스템을 위한 다용도 신호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심전도 기반의 u헬스케어시스템 구현을 위해서는 심장질환 진단을 위한 QRS파형의 추출기술이 필수적이다. 또한, 보안성 및 편의성을 위하여 u헬스케어시스템에서 ECG신호와 같은 생체신호에서 직접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생체인식기능을 보유하고 있다면 매우 유용하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리드II 파형으로부터 QRS파형을 추출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노화 및 질환에 따른 변동에 강건한 리드III 파형으로부터 생체인식을 위한 신호추출법을 제안한다. 리드II 파형으로부터 QRS신호추출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MIT-BIH 데이터베이스의 심전도신호가 사용되었고 99.36%의 정확도 및 99.68%의 민감도성능을 보였다. 또한 생체인식용 신호추출성능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측정환경을 고려하기 위해 음주, 흡연 및 운동 직후 리드III파형이 측정되었고 99.92%의 정확도 및 99.97%의 민감도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