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다양성 증진

Search Result 13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Model of Enhancing Biodiversity through Analysis of Landscape Ecology in Seoul Cultivated Area (도시농경지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모델 - 서울시를 대상으로 -)

  • 송인주;진유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3
    • /
    • pp.249-260
    • /
    • 2002
  • The cultivated lands in metropolitan, such as Seoul, are quasi-natural areas that have been disturbed continuously by human being and is in needs to be preserved and to be managed than to get more crop production in the light of nature experience for civilians through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landscape diversity. However, the cultivated lands in urban areas have decreased rapidly, being changed into developmental areas in its land use. This study is to review change of land use as time change of the cultivated lands in Seoul and to draw th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in the cultivated land after their analysis on the basis of biotope type map in Seoul.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for development of prototype to enhance biodiversity in urban drypaddy culture area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Establishment of Basis Strategy for Health Recovery in Yeongsan River (영산강 건강성 회복을 위한 기본전략 수립)

  • Kim, Seok-Gyu;Kim, Hong-Tae;Ko, Kwang-Yong;Rhew, Doug-Hee;Jing,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44-1747
    • /
    • 2009
  • 하천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수질관리를 통해 모든 생명에 젖줄이 될 수 있는 하천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가용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건천화된 영산강의 유량을 풍부하게 하는 한편, 이상강우에 대비한 고품격 하천설계로 재해로부터 안전한 하천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더욱 생물의 서식지를 복원하고 단절된 하천을 연계하여 BLUE-GREEN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하천의 생물다양성을 증진하여 많은 동 식물들이 활동하고 서식하는 생태적으로 건전한 하천으로 조성하는 방안과 마한 및 백제문화의 산물인 영산강 유역의 역사유적과 황금박쥐 서식처 등과 같은 환경자원을 발굴 연계하여 미래지향적인 지역문화를 재창조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적 인 지역문화를 창조하고 하천의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수질개선을 위해 영산강 유역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점을 발굴하고 맑고 문제점 해결을 위한 대안을 설정하여 수질모델을 이용하여 대안에 따른 수질모델을 이용하여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Developing Loc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s (지자체 생물다양성 관리전략 구축)

  • Kim, Geunhan;Kong, Seok-Jun;Kim, Min-Kyeong;Lee, Moung-Jin;Song, Jiyoon;Jeon, Seong-Woo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3 no.2
    • /
    • pp.3-20
    • /
    • 2014
  • Due to habitat damage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biodiversity has decreased all over the world. In order to prevent further reduction in biodiversit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endeavored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such as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Until now, most biodiversity strategic planning has been led by the national government. However, the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is conservative and its strategic plan is vague.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for managing local biological resources called the Loc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In order to provide the strategic plans and detailed plans for the Loc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the report has examined several cases including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and the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several other countries. As a result, the report demonstrates the survey and protection of bio-species, the designation and monitoring of conservation region, the management of the integrated eco-network, the establishment of biodiversity organizations and capacity building, the methods to promote networking and traditional knowledge, and the strategy for development in bioindustry. Consequently, the implementation of biodiversity management strategies by local governments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eserving and increasing biodiversity by realizing the goals of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 PDF

Assessment of biodiversity in rice paddy ecosystem (논 생태계 내에서의 생물다양성 평가)

  • Park, Kwang-Lai;Jung, Won-Kyo;Choi, Jae-Woong;Kim,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91-291
    • /
    • 2009
  • 쌀 생산관리 방법에 따른 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관행, 우렁이, 투구새우, 심수관개, 오리농법 등으로 구분하여 벼 재배기간 동안 수서생물종과 식물종을 조사하였다. 논물과 토양에 서식하는 생물종을 쿼드라트법을 활용하여 조사한 결과, 토양생물의 풍부도는 이앙기는 관행농법, 분얼기에는 투구새우 농법이 높았으며, 출수기에는 무논, 쌀겨 농법에서 가장 많은 토양생물이 서식하고 있었다. 또한, 줄 채집에 의한 수서생물 종은 분얼기와 출수기, 육상생물은 수확기때 풍부하였으며 관행농법은 분얼기에 가장 출현종이 많았던 반면 오리농법은 전 조사기간 동안 가장 개체수가 적었으며 무논+쌀겨농법이 생물다양성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생물조사 결과 관행보다는 유기재배논에서 종 풍부도가 2배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쌀겨농법은 이앙기~분얼기까지는 쌀겨 분해에 따른 유기산에 의해 수서곤충이 급감되나 분얼기이후 개체수가 회복되어 무논+쌀겨구에서 가장 높았다. 전 조사지점 논둑의 식물 분포는 농법별 유의성이 없었으며 논둑의 우점식물은 쑥, 개망초,질경이, 클로버, 미나리, 미국가막사리, 쇠뜨기, 둑새풀, 미나리 등이었다. 출수기를 전후하여 관행논과 유기논, 그리고 둠벙의 유무로 구분하여 생물종을 조사한 결과, 먼저 관행논과 유기논에서 서식하는 생물종은 비슷하지만 수서생물의 개체수는 유기논이 관행논보다 43-54%나 많았다. 한편, 둠벙의 유무에 의한 생물조사에서는 둠벙이 있는 논이 없는 논보다 서식종이 35-47%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위해서는 낙수기때 수서생물들의 피난처를 확보하여 주는 소규모 둠벙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stimating Willingness to Pay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Mt. Jiri: Focusing on Visitors to Mt. Jiri (지리산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불의사 추정: 지리산 방문객을 대상으로)

  • Park, So-Hee;YOUN, Yeo-Ch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8 no.1
    • /
    • pp.77-87
    • /
    • 2019
  • While the expansion of protected areas in accordance with Korea's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contributions to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it incurs economic losses and poses threats to the livelihoods of local residents.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 compensates local residents for their economic damages in a sustainable manner. To assess feasibility of PES, there is a need to estimate the general public's benefits from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protected areas.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visitors' willingness to pay (WTP)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Mt. Jiri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 WTP of respondents for the expansion of protected areas to increase biodiversity conservation was estimated at 16,103 KRW per household per year and this equates to a total of 316.8 billion KRW for all the households in Korea. The higher a respondent's age,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level, the more willing he or she is to pay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Likewise, respondents who are aware of Mt. Jiri's designation as an Ecosystem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are more willing to pay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Moreover, the higher the importance placed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policy,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pay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To enhance the feasibility of PES schem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general public's knowledge and awareness of biodiversity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more information on biodiversity and biodiversity policies.

생태조경과 생태복원(ⅩII) - 빗물을 이용한 생태연못(1)

  • Jo, Dong-Gil
    • Landscaping Tree
    • /
    • v.80 no.5_6
    • /
    • pp.31-33
    • /
    • 2004
  • 이번 글부터는 다시 도시지역에서의 복원 기법과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지난 글에서는 서울 공고 생태연못을 대상으로 하여 소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도심내부에서 소규모로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험사업이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물론, 최초로 조성된 사업이기 때문에 보완해야 할 것도 많은 곳이었다. (중략)

  • PDF

The City Ecological Soundness Index Development Based on the City Biodiversity Index (CBI) and Korean City Characteristics (우리나라 도시 특성을 고려한 도시생물다양성지수 적용성 검토 및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 개발)

  • Yun, Hyerngdu;Lee, Jangho;Choi, Intae;Park, Seokcheol;Han, Bongho;Kim, Myungj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6
    • /
    • pp.442-456
    • /
    • 2016
  • The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CBD) encourages the use of the City Biodiversity Index (CBI) as a monitoring tool to assist local authorities in evaluating their progress in urban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CBI has been applied to conserve the city biodiversity.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ity Ecological Soundness Index (CESI) based on the CBI and Korean city characteristics. The CESI includes total of 12 indicators grouped in three categories, which are 'biodiversity,' 'ecosystem services' and 'governance and management.' 85 cities in Kore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ity size and type. 18 cities have applicable biotope map, which were analyzed in the CESI pilot study. The CESI will contribute to collect and manage biodiversity data systematically and to promote biodiversity-related actions.

Study on Improvement Measure for Ecosystem Health of Samcheonpo Stream (삼천포천의 수생태계 건강성 향상 방안 연구)

  • Gilsang Jeong;Hansu Cho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6 no.4
    • /
    • pp.414-419
    • /
    • 2023
  • Aquatic ecosystem is composed of various organic and inorganic matters. Its health is essential for sustaining its members such as vegetations, mammals, birds, fishes and invertebrates. Samcheonpo stream is one of candidate streams in Sacheon area of ecological restor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nducted to build up a data base for future comparison. The results shows that biodiversity of Epilithic Diatoms and Invertebrates is below average which means that human impacts such as artificial structures and activities have been negatively related to stream health. Consequently, we suggest several key factors when ecological restoration is performed in the stream.

Industrialization of Jeju Plant Resources (제주 자원식물의 산업소재화)

  • Jung,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4
    • /
    • 2019
  •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인해 화장품을 비롯한 향장품산업, 기능성식품 및 천연물 신약 등에 대한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질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자원식물을 활용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은 국민의 건강증진 뿐만 아니라 국제경쟁력 강화나 윤택한 삶의 추구에도 절대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따라 제주의 특산 또는 우수 자원식물을 활용한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총 4,500여 종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작성되어 있으며 제주의 생물자원 중 관속식물은 해발 1,950m 한라산의 영향으로 2,200여 종이 분포한다고 최근 기록되고 있다. 이 중 식용 및 약용으로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식물자원들도 약 800여 종이 분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들 자원은 대한약전, 생약규격집, 중약본초, 중약대사전 등 문헌에 근거한 자원으로 공정서에 수록된 약용식물 약 500여 종 중 제주 분포 약용식물도 217종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제주의 약용식물 자원은 다양한 한의약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민간약으로 활용되는 약용식물도 170여 종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자원전쟁이 시작되어 자원식물을 포함한 생물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어 각 지역마다 자생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자체연구소인 생물종다양성연구소에서도 제주에 분포하는 자원식물들에 대한 주권 확립을 위한 생태사진 900여 종, 표본 1,400여 종, 유전자 정보 800여 종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추출물 2,000점을 확보하여 산업소재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저자는 여기에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하여 화장품 원료등재, 건강기능식품개별인증 소재 및 천연의약품 소재 등 산업소재화 연구를 수행했었던 생물종다양성연구소의 연구 결과를 소개함으로써 유사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 연구소 및 기업으로의 정보를 제공하여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한 산업소재화 분야에 작은 도움이나마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