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계경제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comparison of rubber smallholder livelihoods in Cambodia and Laos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소규모 고무 자작농 생계에 관한 비교 연구)

  • Andriesse, Edo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4 no.2
    • /
    • pp.167-206
    • /
    • 2014
  • 메콩 경제권(GMS)의 다양한 개발 현장 속에서 고무 나무로부터 채취하는 라텍스는 캄보디아, 라오스를 포함한 인도 차이나 반도 국가들 사이에서 주요 농업 활동으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대형 플랜테이션은 여러 부정적인 결과들을 낳고 있다. 토지 점유, 계약 농업을 통한 착취 등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농촌의 빈곤은 증가하고 있고 해외 투자자에 대한 재정적, 기술적 의존이 심화되고 환경 파괴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소규모 자작농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무 자작농은 고용을 창출하며 토지 점유를 방지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소규모 고무 자작농들의 생계를 비교하며 고무 호황으로 어떠한 이득을 얻고 어떠한 형태로 생계를 개선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의 Tboung Khmum 구역과 Somsanouk 마을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은 세 가지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하였다. 미시-생계 연구, 글로벌 가치사슬 그리고 GMS에 대한 연구들이다. 실증 분석의 초점은 생계의 변화상과 결과(고용 창출과 빈곤 탈출)이다. 전체적으로 소규모 고무 자작농은 전망이 밝았으나 앞서 언급 된 문제점들로 인해 농촌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은 아니다. 중요한 유사성은 소규모 고무 자작농의 사회경제적 공헌이다. 연구 지역 두 곳에서 자작농들은 고무 농사는 생계를 개선하는 데에 좋은 수단이라고 답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은 교육 수준은 그들의 생계 전략을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 양쪽 지역에서 응답자들은 다른 주민을 따라 고무 농사를 시작했다고 대답했으며 경제, 환경적인 위험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한 다른 유사점으로 소규모 자작농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정부의 개입이 없었다는 것이다. 자금 조달은 고무 농사의 심각한 애로 사항 중 하나였다. 명확한 차이점으로 Tboung Khmum의 자작농들은 중개 상인에게 계약 관계를 맺지 않고 라텍스를 판매했으며 Somsanouk의 경우에는 고무 가격이 국제 시장의 영향을 받음에도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상인에게 농민 전체가 같이 판매를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GMS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근대적인 경제 현상 에 농촌 공동체들이 다양하게 연결 되고 있음을 재확인한다. 게다가 Somsanouk 마을에서는 사이짓기를 하는 경우가 없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작농들에게 사이짓기를 장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Tboung Khmum 마을의 경우 고무와 더불어 고무 이전의 주요 작물이던 카사바를 같이 재배했다. 요약하면, 자작농에 의한 소규모 고무농업은 (비록 농촌의 모든 어려움을 해결할 수는 없지만) 토지점유 등 부정적 현상이 나타나는 대규모 플렌테이션에 비해 유의미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미래를 위한 보다 나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농촌 생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7년 간의 고무 생육기간 동안 농가가 감수해야 하는 사회-경제적 불안정성을 해결하고 대안적 소득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HIV/AIDS 환자의 기초생활수급자 신청 방법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 RED RIBBON
    • /
    • s.60
    • /
    • pp.25-25
    • /
    • 2004
  • 정부는 에이즈 감염인에게 치료와 복지를 위해 생계가 어려운 이들에게 생활비 지원을 모든 감염인/환자들에게 치료비 지원을 하고 있다. 사회적 질환인 에이즈에 감염되면 많은 이들은 그 충격에 직장을 그만두고 삶의 의지를 꺾는 경우가 종종 있다. 만약 그 감염인이 한 가정의 수입을 책임지는 가장이라면 가정경제의 붕괴는 불을 보듯 뻔하다. 스스로 직장을 그만두지 않더라도 건강상의 이유로 직장을 계속 다니지 못할 경우 가족의 생계 혹은 개인의 생계는 큰 어려움에 빠지게 된다. 감염인들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정부에서는 감염인들 중 생활유지가 곤란한 이들에게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 PDF

Study on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apacity building toward the livelihood assets of ethnic minority Villages in the northern part of Vietnam (역량강화사업이 베트남 북부 소수부족민 마을의 생계자산에 끼친 긍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Sun Ho;Nguyen, Thi Minh Hie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3 no.4
    • /
    • pp.1-13
    • /
    • 2017
  • 베트남 북부 산악지형에 거주하는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개선이 베트남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사업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지속가능한 개발 및 인적자원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베트남 경제사회개발정책(2011~2020)의 하위전략인 신농촌 개발정책(New Rural Development)에 의한 사업들이 적절히 수행되고 있는지 의문이 대두되었다. 한편, 베트남 라오까이성 행복프로그램은 한국 코이카 재원으로 새마을운동 경험과 정신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심각한 빈곤상태에 있는 성내 8개 소수부족민 마을에 마을특성과 주민 의견이 반영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실행의 주체인 마을주민들과 현장 공무원에게 다양한 훈련 사업들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생계개선에 대한 이론 고찰과 함께 한국 및 베트남의 농촌개발 경험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다양한 역량강화 사업들이 8개 소수부족 주민들의 의식변화와 생계자산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다양한 역량강화 훈련들이 주민의식의 긍정적인 변화와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자산에 대하여 상당한 만족도를 가져왔는바, 신농촌 개발정책은 직접자재 위주의 지원을 줄이는 대신 주민들의 자신감 고취를 위한 주민의식 교육과 주민들의 생계활동 능력향상을 위한 다양한 훈련 사업을 확대해야 함을 보여준다.

Poverty and Informal Economy in Post-socialist Eastern Europe (바뀐 체제, 바뀌지 않은 생계 수단: 포스트-사회주의 동유럽 빈곤한 일상과 지하 경제(informal economy))

  • Oh, Seung Eun
    • East European & Balkan Studies
    • /
    • v.36
    • /
    • pp.247-268
    • /
    • 2013
  • The ever-increasing informal economy in post-socialist Eastern Europe forces one to wonder about what transition to post-socialism is for and about. Informal economy, which refers to unregistered work and services to was rampant in the socialist period across Eastern Europe and the Soviet Union. It was considered as a pathological phenomenon of the socialist system and exposing the rigidity and inefficiency of the command economy amongst the socialist regimes. The ordinary people of the Eastern bloc had to resort to all sorts of informal channels to get hold of goods and services constantly in short supply, especially at the last decade of the really existing socialism. However, it is ironical to observe the same old informal economy, considered pathological, even more thriving in the new era of post-socialism in Eastern Europe. After all, the system has changed into the capitalism, the antipode to socialism.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e function of informal economy is seen to be even more intensified, from a means to make living better in the socialist time to a means for survival and sustenance in the post-socialist period. It follows from the socialist experience that the deficiency of the ruling system could not be indefinitely borne out. Real remedies should be sought out before it will be too late.

Patterns of Subsistence Production in the Early Bronze Age in the Seoul/Gyeonggi Region (서울·경기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생계자원(生計資源) 생산방식)

  • LEE Minyo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3
    • /
    • pp.22-44
    • /
    • 2023
  • The subsistence economics of the early Bronze Age has focused on explaining the intensity of agricultural practices without sufficiently taking into account the diversity of production methods that may arise from cultural types or environmental factors. The problem appears to stem from paying insufficient attention to the question whether we should understand the transition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Bronze Age as continuous or discrete. This has hitherto blocked an avenue to investigate the gradual changes in subsistence resource production methods. Taking as its premise that changes in the production methods of subsistence resources in the Bronze Age have been continuous and gradual, this paper seeks to restore the production patterns of subsistence resources according to the variety of factors that may have influenced the early Bronze Age production method. With diverse cultural patterns and ecological spaces of the early Bronze Age being confirmed, the work of restoring the production methods of subsistence resources in a specific period is difficult to achieve with one or two stand-alone analyses. A more appropriate method would involve separating a number of different aspect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subsistence resources, analyzing and interpreting each, and in the final stage, synthesizing the analyses. The specific research method employed in this paper checked for compositional differences in stone production tools, functionally categorized according to a variety of factors that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oduction of subsistence resources: cultural-environmental factors and cultural patterns,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factors, soil productivity, and size of settle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or the early Bronze Age production pattern of subsistence resource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while no substantive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respect to cultural type,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location, the resul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production tools according to settlement size and soil productivity. Also, with an increasing ratio of settlement size and total production soil, increases in hunting and armoring tools, woodworking tools, and harvesting tools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when it came to the ratio of fishing tools, the opposite relationship was observed. While a correlation between settlement size or crop cultivation productivity and dependence on hunting or farming was expecte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settlement size and soil productivity ratios do not have mutu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The results thus illustrate that patterns of production differ according to a variety of factors, and no single factor is decisive in the adoption of subsistence resource production methods by a specific settlement. Therefore, the paper emphasizes the ne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patterns of subsistence resources according to the variety of 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make up settlements in early Bronze Age society.

Study for Desirable Immigrants Policy in Public Project(Dam) (공공사업(댐)에 있어 바람직한 이주민 대책)

  • Kim, Tae-Yong;Park, Doo-Ho;Lee, Kw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52-656
    • /
    • 2006
  • 보다 바람직한 댐 개발을 위하여 이주민 생계대책에 대한 접근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주민 생계대책 프로세스에 관한 고찰을 통해서 이주, 보상-생활회복-개발의 개념과 규범적 상황을 검토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댐건설과 이주민의 생활변화를 파악하고, 접근방식의 문제점과 해결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주민생계대책을 위한 정책적 해결범위 및 비즈니스 방향을 구조화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댐건설과 이주대책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논하였다.

  • PDF

A Review on The Korean Grooved Adze (유구석부 재검토)

  • Ro Hyuk-Jin
    • KOMUNHWA
    • /
    • no.57
    • /
    • pp.3-24
    • /
    • 2001
  • In terms of Typology, Korean Grooved Adzes are mainly grouped into two major types with some variations. Type 1 is characterized by such basic attributes as slant edge; trapezoidal groove; and rectangular or trapezoidal cross-section of a body. Whereas, T

  • PDF

The Condition of Labor Market and Unemployment Rates in Chonbuk Province after the Economic Crisis (IMF관리체제이후 전북지역의 노동시장 동향과 실업)

  • 남춘호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2
    • /
    • pp.121-161
    • /
    • 1999
  • 1997년 11월 대외지불 불능사태로 시작된 외환위기가 경제위기로 확산되면서 97년 4/4분기에는 2.5%에 불과하던 전북지역의 실업률은 99년 2월 8.4%로 피크를 이루었으나 그후로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전북지역 노동시장의 전반적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실업률 통계로는 파악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준실업상태에 있는 실망노동자와 불완전취업자의 증가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산업별 취업자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면 제조업과 건설업의 취업자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농업부문이나 생계형 서비스업은 실업대란 시대에 완충역할을 해줄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고용흡수력이 예상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과 실업 및 비경제활동 사이의 노동력 전이률을 살펴보면 남성과 핵심연령층에서는 취업정착률이 높지만 일단 실업자가 되면 실업으로부터의 탈출률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여성의 경우에는 실망노동자(discouraged sorkers)효과로 인하여 실업률은 낮고 비경제활동으로의 이동이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업이나 비경활상태로부터의 (재)취업시에는 압도적으로 임시고/일고로의 취업이 많아서 98년 하반기 이후 전북지역에서 창출된 일자리가 주로 임시고/일고 위주로 이루어져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한편 여성실업자의 경우 50%이상이 생계주책임자이며, 특히 여성가장 실업자의 경우에는 90%이상이 생계책임자이나 그들 대부분이 빈곤선이하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리고 전북지역에서는 전국수준에 비해서 장기실업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저학력층과 고령층, 생산직, 임시고일고등의 비정규직 실업자들의 구직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이 장기화되면 전반적으로 기간의존성효과(duration dependence effect)나 이질성효과(heterogeneity effect)로 인하여 재취업의 가능성은 더욱 떨어진다. 생산적복지(workfare)가 그 이름에 값하는 것이기 위해서는 시장경쟁력이 약한 취약계층에 대해서 직업훈련과 취업알선 및 채용장려, 공공근로 등의 제반 정책들이 가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자연순환식 유회수선 개발에 관한 연구

  • 이귀주;김경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62-163
    • /
    • 2002
  • 기름의 하역 및 선적작업이 이루어지는 유조선의 입ㆍ출항이 빈번한 정유시설 인접항은 누유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크므로 사고에 대비한 효과적인 방제장비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유출사고는 어민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어 그들의 생계를 위협할 수 있으므로 유출기름은 신속하게 방제되어야 한다. (중략)

  • PDF

The Level of Supporting Fathers' Care Work in 15 OECD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Family Policy (부모.부성휴가를 통해본 남성 돌봄 노동참여 지원정책 비교 : 경제협력개발기구 15개국을 중심으로)

  • Yoon, Hong-Si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8 no.2
    • /
    • pp.223-24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OECD countries in regard to levels of supporting fathers' care work. Several meaningful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examining the level of supporting fathers' care work and the strength of the traditional bread-winner model, OECD countries can be classified into 5 different clusters. The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mainstream typology of welfare states and suggests the new typology of welfare states. Second, the level of supporting fathers' care work and the strength of the traditional bread-winner model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otal fertility rates and wom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rates. Third, in regard to the level of supporting fathers' care work, Korea was the lowest among OECD countries. This result points to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to the low level of total fertility rat, and low rate of wom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