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 분류체계

Search Result 52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Framework for Information Industries and Its implications toward Electronic Commerce (전자상거래를 위한 정보산업 분류체계와 활용방안)

  • 임춘성;김상균;박형근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0.08a
    • /
    • pp.245-25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산업형태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정보산업에 대한 다차원적인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정보산업을 구현기술, 업태분류, 그리고 응용계층의 3 가지 관점으로 조망하고 각각 관점에 의하여 분류체계를 설명하였다. 정보산업 분류체계의 활용방안으로서 정보산업의 4 가지 업태, 즉 정보인프라구축산업, 정보제공산업, 정보가공산업, 정보응용산업 각각에 대한 세부적인 분류기준을 도출하여 전자상거래 시대의 새로운 산업과 가치의 이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국방과학기술 정보의 분류체계 고찰

  • Hur, Ara;Ryu, Yeonseung
    • Review of KIISC
    • /
    • v.28 no.6
    • /
    • pp.25-32
    • /
    • 2018
  • 국방과학기술 중 국가안보를 위해 보호해야 하는 기술을 방위산업기술로 정의하고 있다. 방위산업기술보호법의 대상기관은 보유 또는 연구개발 중인 방위산업기술을 식별한 후, 방위산업기술 정보를 적절한 보호등급으로 분류하여 보호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방과학기술 정보의 분류체계 국가 표준이 수립되어야 하지만 아직까지 분류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고 대상기관 별로 자체 내규로 정하도록 지침이 마련 중으로 향후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국방과학기술 정보의 분류체계와 미국 국방부의 과학기술 정보의 분류체계를 비교하고 발전방향을 고찰해본다.

IPTV service configuration using by legacy fulfillment management System (IPTV 서비스 구성정보 관리 시스템 및 구성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Woo, S.W.;Jung, B.D.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570-575
    • /
    • 2006
  • 현재의 우리나라 SI 관련 산업 분류체계는 상세한 수준의 분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산업 및 산업계의 변화를 적시에 반영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지속적인 SI 분야 산업 발전에 따라 보다 정확한 세부분야 별 생산성 및 매출액 등의 데이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수출품목으로의 육성을 위하여 국제적인 분류체계와도 일치성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국내외 SI 산업 분류체계의 장단점을 분석한 후 새로운 SI 분류체계를 제안한다.

  • PDF

An Establishment of Taxonomy for Next-generation Convergent Contents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분류체계 정립)

  • Rim, Myung-hwan;Heo, Pil-sun;Park, Y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1-125
    • /
    • 2010
  • 최근 온라인게임, e-Book, 모바일콘텐츠, 포털 등 IT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 산업으로서 디지털콘텐츠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또한, 과거 엔터테인먼트 위주의 콘텐츠산업이 미래에는 제조, 서비스를 포함한 전 산업영역에 체화융합되어 확산되고, CT 및 IT 기반의 새로운 콘텐츠 산업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융합형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신성장동력으로서의 융합형 콘텐츠 산업에 주목하여, 관련 산업을 발굴육성하는데 정책적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기존의 콘텐츠 분류체계는 영화, 음악, 방송 등 장르 중심적이어서 관련 기술의 발전 및 융합현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미래 정책추진의 기반(base)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콘텐츠 분야의 외연확장을 포괄하는 새로운 분류체계(taxonomy)의 정립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미래 정책추진 및 산업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분류체계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에 대한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chemes of Internet Resources for Industry (산업 분야 인터넷 자원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한상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8 no.3
    • /
    • pp.285-309
    • /
    • 2001
  • The industry information grows faster than any other information resources in the Internet age. Unfortunately,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standard of the classification among the information providers of the industry fields. This may a problematic issue not only in building a continuous and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industry information, but also in the use of the information among the user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well-structured and/or an efficient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industry information to help the users with easy to retrieve the Internet resources. To do this, we analyzed the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domestic industry information on the web sites, which is largely adopted the \"Korean Standard for the Industry Classification\". In addition, we suggested the principle of the subject classification and their hierarchial structu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knowledge and document classification scheme.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an optimized industry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validity test of classification item measured by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ndustry information, which it currently accessible through the Internet. Internet.

  • PDF

An Analysis of SI Taxonomy and A New Suggestion for SI Industry Classification (SI 산업 분류체계 분석 및 신규분류방안)

  • Kim, Hyun-Soo;Park, Soo-Hyun;Lee, Hyung-Ja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6a
    • /
    • pp.341-346
    • /
    • 2002
  • 현재의 우리나라 SI 관련 산업 분류체계는 상세한 수준의 분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기술 및 산업계의 변화를 적시에 반영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SI 분야 산업 발전에 따라 보다 정확한 세부분야 별 생산성 및 매출액 등의 데이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수출품목으로의 육성을 위하여 국제적인 분류체계와도 일관성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 외 SI 산업 분류체계의 장단점을 분석한 후 목적중심적인 새로운 SI 분류체계를 제안한다.

  • PDF

A Proposal for a New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 by Service Economy Perspective (서비스경제 관점의 산업분류체계 개선 제안)

  • Chae, Jongdae;Kim, Hyunso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8 no.1
    • /
    • pp.89-102
    • /
    • 2018
  •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 is a systematic taxonomy of industrial activities and the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is used in all country by their own a consistent classification method. Therefore, it is employed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industry affairs using statistical investigations in terms industrial activities for making industrial policies and to compare industrial activity among countries. Since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the need for the homogenous standard of industrial classification among countries emerged as the economic and industrial exchanges between the countries have became more active. In 1940, Colin Clark who british economist divided the industry into the first (primitive), second (processed), and third (service) industries. Based on this, the United Nations Office for Statistics (UNSD) established 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ISIC) in 1948, which most countries invoke it. ISIC(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and the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s of countries have reached the present after several revisions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In the 2000s, the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is amended to reflect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and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mainly featuring the creation and segmentation of sections in the tertiary industry domains. It also shows that primary and secondary sectors are shifting to tertiary industry. In this study, the causes of these common phenomena are systematically identified and the problems present classification systems have been analyzed. Also proposed is the direction of formation of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 from a service economy point of view and the conceptual model of the new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through this study and to carry out various new classification system studies.

A Review and Literature Survey of Control Charts Using New Classification Schemes (새로운 분류체계를 이용한 관리도의 문헌고찰과 검토)

  • 최성운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16 no.27
    • /
    • pp.51-71
    • /
    • 1993
  • 본 논문은 새로운 3차원 분류체계를 이용해서 관리도의 문헌을 고찰하고 검토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1차원 분류체계는 시간에 따른 연속된 관측치의 관계가 독립인가 자동상판인가로 나누어지며 2차원 분류체계는 독립관측치인 경우 가중치 방법에 따라 Shewart, MA EWMA, CUSUM Charts로 분류되며 자동상관된 관측치인 경우 모델링 방법에 따라 ARIMA, Spectral Charts로 분류된다. 3차원 분류체계는 품질특성인 변수의 수와 종속관계에 따라 일변량과 다변량으로 나누어 진다. 재래식 생산, 자동화 생산, 혹은 장치산업에 적용될 수 있는 관리도가 이 분류체계에 따라 장으로 구분되어 고찰된다. 이는 실무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창업기업 업종 분류체계의 개선방안 연구

  • Park, Dae-Han;Seong, Chang-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39-47
    • /
    • 2018
  •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서 창업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는 창업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정부의 실효성 있는 지원과 체계적인 창업 육성정책 수립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새롭게 변화하는 창업 트렌드와 창업기업의 특성에 적합한 창업업종 분류기준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창업 육성정책 수립을 위하여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에 떠오르는 융합기술기반 창업 트렌드를 반영한 새로운 창업업종 분류체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창업 생태계 동향과 창업업종 분류 체계의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창업업종 분류체계를 개선하였다. 연구결과 창업업종 분류는 크게 기술창업과 일반창업으로 구분하고, 기술창업은 ICT 서비스, ICT 제조, 일반제조, 문화콘텐츠, 바이오 분야로 로 구분하며 일반창업은 유통과 서비스로 재분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 산업별 분류체계에서 벗어나 창업기업의 업종 분류체계의 새로운 기준을 마련하여, 향후 창업 트렌드를 반영한 효율적인 창업지원정책 마련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Standard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Culture Technology - Analysis of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s and Demand Survey (문화기술(CT) 분류체계 및 표준화에 관한 연구 -기술분류체계 및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 Cho, Yong-Rae;Kim, Won-J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7
    • /
    • pp.184-192
    • /
    • 2009
  • CT(Culture Technology) became one of the leading industries with fast growth in its contribution to an economy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world. This study suggests policy direction and priority of CT in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standardization and its classification.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a new 'CT Classification' using the value chain concepts contrary to previous classification. In addition, we suggest standardization priority, especially, in the sectors of 'CT Distribution/Service', 'CT Marketing', 'General CT management' based on our survey research of production side. Consequently, our research suggests an important strategic bases for decision makers in CT policy and development both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