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지지

Search Result 2,44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코로나 전담병원 간호사의 사회적 고립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Depression of Nurses in The COVID-19 Specialized Hospitals)

  • 이윤정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7-54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사회적 고립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3개 코로나 전담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3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매개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for SPS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고립감은 사회적 지지(𝛽=-.62, p<.001)와 우울(𝛽=.49, p<.001), 사회적 지지는 우울(𝛽=-.19, p=.028)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사회적 고립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indirect effect=.12, 95% CI=0.02~0.29). 그러므로 간호사의 우울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고립을 감소시키는 중재가 요구되고, 사회적 고립감을 지각하는 간호사의 우울을 완화하기 위해 적절한 개입을 고안할 때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응급실 간호사의 강인성, 사회적지지 및 소진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Hardin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

  • 박미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97-40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강인성과 사회적 지지 및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자가보고식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일지역 종합병원 응급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강인성, 사회적 지지, 소진 측정도구 설문지를 활용하였고, 수집된 설문지 중 115개를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강인성 점수는 평균 2.59점(1.80-3.67점), 사회적 지지 3.29점(1.00-5.00점), 소진 3.16점(1.73-4.63점)이었다. 소진은 강인성 (r=-.390, p<.001), 사회적 지지(r=-.400, p<.001)와 부적 상관성이 있었고 강인성은 사회적 지지(r=.351, p<.001)와 정적 상관성이 있었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강인성(${\beta}=-.325$, p<.001), 사회적 지지(${\beta}=-.213$, p=.023), 응급실 계속희망 여부(${\beta}=-.295$, p=.001)였고 소진에 대한 설명력은 30.6%였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감소를 위해 응급실 근무자는 희망자로 배치하고 강인성과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것을 권한다.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진로결정상태 유형 분석 (Career decision status type analysis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임나영;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0-63
    • /
    • 2015
  •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상태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대상별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경로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배경 현황,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상태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10문항), 사회적 지지(26문항), 진로결정수준(4문항)등 총 4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6권역의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8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진로결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는 진로결정 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모두 진로결정 편안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진로결정과 감정 상태에 있어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다각적인 방향에서 충분한 진로상담이 선행된 후 직업 교육을 실시해야만 직업교육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e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n Job Embeddednes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 김은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2-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 간호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G시에 소재한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9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배태성은 사회적 지지 중 상사 지지, 동료지지, 직무만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모델은 직무배태성의 28.0%를 설명하였고, 이 중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직무만족(β=.33 p<.001)이었으며, 사회적 지지 중 상사지지가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촉진하기 위해 직무만족 및 사회적 지지의 상사지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Da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도정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73-181
    • /
    • 2019
  • 본 연구는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수도권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무용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는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은 진로준비행동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평가적 지지를 제외한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총점은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진로 준비행동에 매우 긍정적으로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경험의 기회가 주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자살예방상담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Suicide Prevention Counselor)

  • 이미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08-318
    • /
    • 2014
  • 본 연구는 자살예방상담원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한편 지각된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사이에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자살예방을 위해서 상담하고 있는 자살예방상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모두 심리적 소진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사회적 지지가 지각된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처럼 사회적 지지는 지각된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완충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살예방상담원들이 업무로 인해 스트레스를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지지를 통해 심리적 소진을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의 관계 : 소외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among Out-of school Adolescents preparing for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High School Degree: Mediating Effects of Alienation)

  • 이정림;조영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90-102
    • /
    • 2017
  • 최근 들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진로문제가 중요한 청소년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의 유형 및 사회적 지지원 간의 관계를 밝히고, 이들의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소외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5개 권역의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과 검정고시 학원의 학교 밖 청소년 20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소외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변인간의 관계와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진로장벽, 소외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진로장벽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과 소외감은 사회적지지 중에서도 부모의 지지와 평가적 지지와 가장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소외감은 부모지지 및 교사 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으며, 친구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소외감은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정서적 사회적 지지의 모든 유형과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는 고졸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경우 부모 및 교사, 친구들이 제공하는 여러 유형의 사회적 지지를 향상하여 소외감을 낮춰줌으로써 진로장벽을 낮춰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on Successful Ag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김정희;박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10-22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성공적 노화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사회적 지지 관계에서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증가는 성공적 노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노화불안 감소와 성공적 노화를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중국 호텔 직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하이 지역 4, 5 성급 호텔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Chinese Hotel Employe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 Focusing on 4, 5 Star Hotels in Shanghai -)

  • 정갑연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9-162
    • /
    • 2018
  • 중국 호텔 산업은 양적, 질적으로 큰 성장을 나타내고 있지만, 직접 고객들과 접촉하면서 호텔을 대표하는 직원들에 대한 관리는 부족한 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상하이에 있는 4, 5 성급 호텔 직원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가 회복탄력성을 높여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중국 호텔 직원들의 사회적 지지를 상사지지, 동료지지, 가족지지 등으로 보고, 직원들의 사회적 지지가 회복탄력성을 향상시켜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중국 상하이의 4. 5성급 호텔 종사원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중국 호텔 직원들의 사회적 지지 중 상사지지와 가족지지는 그들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에 동료지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호텔 직원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지속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가질 수 있는 방안으로 그들의 상사, 동료, 친구의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을 제안함으로써 호텔 관리자들에게 직원들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에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특성에 대한 연구 -자아중심적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Eco-centered Network Analysis of Female Immigrants Married to Korean Men)

  • 노연희;이상균;박현선;이채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2호
    • /
    • pp.159-183
    • /
    • 2012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이 어떤 구조적 특성을 지니며, 이런 특성에 따라 사회적 연결망이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을 사회적 지지를 받는 대상으로서 뿐만 아니라, 지지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인식하고 도움을 받는 연결망과 주는 연결망이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눈덩이표집방식을 통해 표집한 결혼 이주여성 53명의 자아중심적 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결혼이주여성은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주고받았으며, 연결망내에 중복되지 않는 다양한 연계를 갖는 경우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받았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 유형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