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r decision status type analysis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진로결정상태 유형 분석

  • Received : 2015.02.20
  • Accepted : 2015.03.23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It then uses career decision types to predict the variables which have the impact on emotional aspects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 who feel comfortable or uncomfortable after career decision in order to help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choose their career.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 a total of 809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located in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career decision status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were as follows. Types of career decision status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career decision status and types of emotional state. Results showed the decision-comfort(51.3%), decision-discomfort(25.6%), indecision- discomfort(15.3%), indecision-comfort(1.3%) in order. Social support were selected as variables affecting the comfort and discomfort of two groups and the determining factor which distinguished four groups.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whether it was decision or not and comfort or not. Bu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no big impact on career decision types. Taking all results of this study together, we can see that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feel comfortable and they decide the career, but still many students feel uncomfortable on their decision after deciding their career. It suggests the need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ogram about emotional status of career decision which can help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prepare their career comfortably after they decide on the career, and the need of segmented career counseling approach including social support group.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상태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대상별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경로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배경 현황,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상태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10문항), 사회적 지지(26문항), 진로결정수준(4문항)등 총 4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6권역의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8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진로결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는 진로결정 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모두 진로결정 편안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진로결정과 감정 상태에 있어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다각적인 방향에서 충분한 진로상담이 선행된 후 직업 교육을 실시해야만 직업교육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홍월(2007).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성숙수준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미간행.
  2. 권용미(2003).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 김경욱, 류진혜(2009).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정체감, 심리적 독립이 진로결정에 대한 정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 73-91.
  4. 김민정(2014).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 의사결정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5.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6. 김용재(2014).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경로 및 진로결정 행동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7. 김완수(2005).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김은경(2009). 고등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9. 김지훈(2006).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과 지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미간행.
  10. 노미순(1999).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1. 백지숙(2006). 진로결정상태유형에 따른 진로미결정 이유, 진로성숙도와 대학 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1-10.
  12. 서영자(2011).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 대한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 만족도와 진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3. 신성철(2003).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귀인성향과 자기존중감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4. 유영미(2005). 사회적 지지 지각정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이은경(2000).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이성식(2007).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7. 이종호(2013). 이주노동자의 근로조건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이지현(2001).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망 특성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9. 이현의(2008).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0. 장선철(2004). 대학생의 진로결정 유형 분석. 한국심리학회, 16(3), 533-551.
  21. 조수정(2013). 특성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2. 주리리(2012).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유연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3. 진은아(2007).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4. 최은영(2011).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별특성과 진로효능감 증진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5. 한수현(2003).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6. 홍소정(2013).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7. 황여정(2007).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및 진로정보인지수준 영향요인. 한국사회학연구, 17(1), 131-158.
  28. Cobb. S. (1976). Presidential adres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29.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Reading. MA: Addison-Wesley Publishing.
  30. Kaplan, B. H., Cassel, J. C., & Gore, S. (1997). Social support and health. Medical care, 15(5), 47-58.
  31. Super, D. E. (1957). The psychology of career. New York: Harper & 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