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역량

검색결과 1,391건 처리시간 0.027초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심리적 요인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 조영문;강승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339-348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기본심리욕구, 자아통합감, 문화역량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J와 S시, G광역시에 소재한 16곳의 노인종합복지센터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남녀노인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성공적 노화는 기본심리욕구, 자아통합감, 문화역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자아통합감(${\beta}=.372$, p<.001), 문화역량(${\beta}=.410$, p<.001),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변수인 관계성(${\beta}=.168$, p=.003)이 71.1%의 설명력을 보였다. 그러므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자아통합감, 문화역량, 관계성 증진을 위한 사회문화 심리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전략적 관점에서 본 기업 자원과 역량이 자율규제 순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xploratory Study Regarding the Effects of Corporate Resources and Perceptions toward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Willingness to Accept Self-regulation Programs: From Strategic Views)

  • 조춘한;김재근;이태식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4호
    • /
    • pp.81-93
    • /
    • 2013
  • 본 연구는 기업의 전략적 관점에서 본 기업 자원과 역량이 자율규제 순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설명을 하기 위해서 탄소성적표지제도라는 자율규제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기업의 전략수립과 실천이라는 맥락에서 그 순응 의도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잠재적으로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성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자율규제의 경우 그 순응 여부를 결정할 때 기업이 처한 상황에 따라 의사결정의 수준이 달라질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즉 자율규제를 비전략적 과제로 보는 경우 단기적으로 예상되는 기대편익과 비용의 비교를 통해 순응 여부를 결정할 것이며 반면 전략적 과제로 보는 경우 환경규제에 대한 기업 인식의 유형에 따라 결정이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저량(stock)의 개념으로서 기업의 자원과 역량이 특정 규제인식의 조성에 그리고 단기적 기대편익과 비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자원 및 역량은 규범적 그리고 사회적 인식에 정의 영향을 그리고 경제적 인식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규범적 인식만이 순응의도의 의미 있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 PDF

시설 보호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적 역량 프로그램의 효과 ('Social Competence Improvement Program'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Positive Peer Relationship)

  • 유안진;한유진;김진경
    • 아동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9-121
    • /
    • 2003
  • The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4 parts : positive self perception,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emo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competence. Implementation took place once a week In 12 60-90 minutes sessions. The subjects were 33 11- to 13-year old children residing in 2 institutions similar to each other.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1 boys and 7 girls and control group of 7 boys and 8 girls, respectively. Implementation was bracketed by pre- and post-tests. After the 12 weeks intervention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n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didn't improve in self-esteem.

  • PDF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과 역량지각 (Adolescents' Social Network and their Self-Perceived Competence)

  • 최은희;공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63-7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social network and their self-perceived competence. In this study 207 seventh and ninth grade adolescents completed Social Network of Relationships Inventory(NRI) and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SPPC).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iles, t-test,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ocial network of relationships with various social agents made different contributions to the prediction of adolescents'self-perceived competence. 2) In social network of relationships, boys perceived significantly higher than girls for the social support from teacher. In Competence, boys perceived significantly higher than girls for the social acceptance and athletic competence. 3) In social network of relationships, the seventh grader perceiv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inth grader for the social support from mother, father and teacher. In scholastic competence, athletic competence, physical appearance and global self-worth, the seventh grader perceiv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inth grader.

  • PDF

한국 성인의 정신건강역량 : 우울증과 정신분열병을 중심으로 (Mental Health Literacy of the Korean Public: A Comparison between Depression and Schizophrenia)

  • 이선혜;서진환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2호
    • /
    • pp.127-15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의 정신건강역량 수준을 파악하여 우울증과 정신분열병의 예방과 조기 개입을 위한 구체적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80개 지역에서 층화표집된 18세 이상 74세 이하 지역사회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N=1,653), 우리나라 성인의 우울증과 정신분열병의 식별율은 각각 35.2%와 33.5%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원인 지각, 증상 해결방법의 유용성에 대한 신념, 주요 정신건강 정보원에 있어서 우울증과 정신분열병 간에 특징적인 차이점들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유사한 외국 조사결과들과 비교 논의하고, 지역사회정신보건 예방사업에 주는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 조사 (A Study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 손미현;정대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93-703
    • /
    • 2018
  •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 중의 하나는 지식정보처리 역량일 것이다. 지식정보처리역량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이기도 하면서 과학 교과와 매우 관련이 깊다. 역량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지만 수업 내에서의 실천은 교사의 의지에 달려있다. 따라서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과 수업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은 서울의 중학교 교사 32명과 고등학교 교사 32명의 객관식 및 주관식 설문과 지식정보처리역량과 관련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 3인의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해서 모든 교사가 그 중요성을 공감하였으며 정보화 사회라는 시대적 흐름과 과학적 역량 함양이라는 교과 목표와 연관지어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업에서 실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는데, 이는 설문 결과는 수업 시간의 부족으로, 면담 결과에서는 교사의 PCK 부족을 꼽았다. 지식정보처리역량 관련 연수 경험은 절반 정도였으나 대부분 정보활용 교육에 관련된 것으로 수집과 분석 부분에 대한 연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요소별 중요도는 정보수집, 분석, 활용 모두 매우 높았으며 그 중 정보분석이 가장 높았다. 대부분은 중학교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더 컸으나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정보수집 요소에서 정보원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이 유의 수준에서 더 높았다. 지식정보처리역량의 함양을 위해서는 과학 교과 수업시간에 정보처리역량을 강조할 수 있도록 과학 탐구의 의미를 확대하고 타교과와의 연계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이 교과 교육내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제도적 뒷받침과 역량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신제품 개발조직의 지식역량 향상에 관한 연구

  • 김형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권4호
    • /
    • pp.47-75
    • /
    • 1999
  • 지식사회, 지식경제의 등장과 더불어 기업의 자원으로서 지식(knowledge)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마케팅 전략의 한 분야로서의 신제품 전략에서도 신제품 개발과정에 있어 기업(혹은 신제품 개발 팀)의 지식과 지식의 활용 능력을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가 중요한 전략적 이슈(issue)가 된다.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불확실성-시장 불확실성과 기술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와 지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기업내의 다양한 조직-특히 R&D, 생산, 마케팅-과의 지식공유·통합과정이 중요시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기업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제품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이 신제품 개발(New Product Development; NPD)과정이며 구체화 과정에서 개발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둘째, 기존의 신제품 성과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많은 요인들을 '지식역량(knowledge competence)'의 개념으로 정리하고 이러한 지식 역량과 신제품 경쟁우위 간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신제품 경쟁우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셋째 신제품 개발조직의 지식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기업을 지식의 결집체로 인식하고 있는 지식거점관점(knowledge based perspective)과 이러한 지식자원의 활용에 초점을 맞춘 조직학습(organizational learning) 이론 그리고 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분산된 인지이론(distributed cognition theory)을 활용한다.

  • PDF

'부분' 대 '전체' - 사회적 약자와 전체 인구의 삶의 질 지역 격차의 비교 - ('Part' vs. 'Whole': Comparison between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the Whole Population in Terms of Inter-regional Disparities in Quality of Life)

  • 박인권
    • 지역연구
    • /
    • 제36권1호
    • /
    • pp.17-36
    • /
    • 2020
  • 이 연구는 역량 접근법을 기반으로 수도권-비수도권 간 삶의 질 격차의 측면에서 사회적 약자 계층과전체 인구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득, 주거, 건강, 사회관계 등 역량의 9개 차원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여 사회적 약자 계층과 전체 인구에 대해 각각 지표 값을 산출하고, 이를 표준화한 후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과 SUR 모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약자 대 전체 인구 사이에는 수도권-비수도권 격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비수도권의 사회적 약자에게 가장 불리한 방향으로 대체로 일관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인구 평균의 관점에서 보면 수도권-비수도권 격차는 크지 않지만, 사회적 약자의 관점에서 보면 지역 격차는 아직도 상당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전체 인구의 평균에 대한 분석에 기초한 '평균적' 지역정책이 갖는 한계를 보여주고, 지역문제 분석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생태학적 오류를 보여주는 의의를 갖는다.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개인적 감성능력과 상회적 감성능력이 팀웍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the Self-Emotional Ability and Social-Emotional Ability on the Teamwork Capability of the Airline Flight Attendants)

  • 정민주;장대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18-329
    • /
    • 2012
  • 항공서비스에 있어서 인적서비스 품질은 고객만족과 고객인지가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최근, 서비스 직원의 서비스 역량 가운데 하나로 감성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또한 서비스 기업에서 팀 중심의 업무 수행이 증가되고 개인의 팀웍역량이 서비스 품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으로서 서비스 직원을 채용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팀웍역량 또한 중요한 자질로 평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항공사 승무원이 자신의 감성을 인식하고 조절하는 개인적 감성능력과 타인의 감성을 이해하고 관계를 맺는 사회적 감성능력이 객실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팀웍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 감성능력이 높을수록 팀웍역량 또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서비스 직원의 감성능력을 개발하고 강화함으로서 고객과의 상호 작용품질 및 팀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 개선 방안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855-86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계기로 핵심역량은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됨으로써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국외 사례수집과 더불어,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과 수업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외국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과학 수업에서 핵심역량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이 기대되는지를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활동과 학생중심 학습을 강조하고, 교과내용 중심의 기존 교육과정에 비해 수업에서 학생들 간의 집단 활동이나 협력을 중시하며, 교과 간 또는 과학영역 간 통합수업이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과학교사들은 핵심역량은 결국 수업방법을 통해 구현되어야 하며, 과학적 사고력을 길러줄 수 있는 탐구경험을 제공하고, 실제 세계와의 연계를 강조하며, 핵심역량을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교과 간 통합수업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이나 수업에 핵심역량을 통합할 경우 예상되는 어려움이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