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 이해

Search Result 1,54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ext Comprehension of Internet Novels as Interactivity (사용자 참여도에 따른 인터넷 소설의 이해)

  • Lee, Ji-Eun;Lee, Seung-Yong;Kim, Hyuk;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803-809
    • /
    • 2006
  • 이 연구는 인터넷 소설을 읽을 때 사용자의 참여도에 따라 그 내용의 이해도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알아 보고자 한다. 현재 인터넷 소설은 소설의 양식이 인쇄매체에서 인터넷 매체로 옮겨졌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이라는 매체의 특성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인터넷 매체의 여러 특징들 가운데 상호작용성은 인쇄매체에서 인터넷 매체로의 전환을 이룬 다른 장르에서 주요 특징으로 고려되고 있다. 이것은 디지털 스토리텔링에서 사용자의 활동(action)에 관한 부분으로 활동적인(active) 사용자의 참여를 말한다(이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성을 사용자가 매체에 활동을 통한 개입, 사용자 참여도로 조작적 정의를 내린다). 또한 모니터를 통한 글 읽기는 인쇄매체에 비해 가독성이 떨어지고 훑어보는 글읽기(scanning)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인터넷 매체의 특성을 살리면서 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참여도를 독립변인으로 글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실험 1에서는 기존의 단편 추리 소설을 이용해 사용자의 글읽기 과정에서 범인추측의 정도에 차이를 주어 참여도에 변화를 주었다. 그 결과 사용자의 참여도에 따라 이해의 정도가 유의미함을 보였다. 이는 사용자의 참여도가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를 뒷받침하며 인터넷 소설에서 인터넷 매체의 특성을 살린 글의 기재가 글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같은 추리 소설을 이용하되 사용자의 참여도에 따라 소설 내용의 변화를 주었다. 실험 2의 결과 내용 변화에 따른 이해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경로로의 이야기 내용에 궁금증을 보고하며 글의 전체 내용에 관한 관심을 보였다. 이는 사용자의 참여가 글의 이해뿐만 아니라 흥미유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므로 상호작용적인 글읽기와 흥미유발에 관한 추후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또한 기존의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연구가 현 상황에 대한 보고와 구현된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에 국한된 것에 반해 실험 연구로의 변화를 꾀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 PDF

Open Directory Project Extension Scheme to Understand Verb-level User Interests (동사 레벨의 사용자 관심사 이해를 위한 오픈 디렉토리 프로젝트 확장 기법)

  • So, Seulgi;Jung, Daoun;Ryu, Byung-Gul;Le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258-1259
    • /
    • 2011
  • 개인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관심사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많은 연구들이 사용자의 관심사를 이해하기 위하여 오픈 디렉토리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그 관심사를 주제별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관심사를 더욱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명사로 표현되어 있는 오픈 디렉토리 프로젝트를 동사 레벨로 확장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기법이 디렉토리와 연관된 동사를 효과적으로 확장하였음을 입증한다. 확장된 오픈 디렉토리 프로젝트는 사용자의 관심사를 동사 레벨로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에 활용될 것이다.

Efficient Web Document Search based on Users' Understanding Levels (사용자의 이해수준에 따른 효율적인 웹문서 검색)

  • Shim, Sang-Hee;Lee, Soo-Jung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5 no.1
    • /
    • pp.38-46
    • /
    • 2009
  •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Web documents, the problem of information overload is growing more serious in Internet search. In order to ease the problem, researchers are paying attention to personalization, which creates Web environment fittingly for users' preference, but most of search engines produce results focused on users' queries. Thu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thod of producing search results personalized based on a user's understanding level. A characteristic that differentiates this study from previous researches is that it considers users' understanding level and searches documents of difficulty fit for the level first. The difficulty level of a document is adjust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level of users who access the document, and a user's understanding level is updated periodically based on the difficulty of documents accessed by the user. A Web search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ring very useful results to Web users of various age groups.

Analyzing user satisfaction factors for mobile health apps (모바일 헬스케어 앱 사용자 경험 요인 분석)

  • Kim, Guyeop;Kim, Hyun K.;Shin, Yuan;Park, Gyuwon;Park, Sunyoung;Lee, Yu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29-13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사용자 경험 요인을 분석하여 제안하는 데 있다. 의료 관련 앱은 주로 의료 서비스 제공자 중심의 기능으로 디자인되어 개인의 서비스 접근성이 낮으며, 데이터 활용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개인이 주도적으로 건강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인 - 건강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고려한 앱 개발이 필수적이며, 이와 관련된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사용 편의성, 사용 만족도, 정보 구조, 유용성, 정보 품질, 심미성 6가지 사용자 경험 요인을 수집하였다. 이후, '나의건강기록' 앱을 대상으로 사용자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모바일 헬스케어 앱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심층인터뷰 결과, 사용자 경험 요인에 정보의 이해용이성 요인이 새롭게 도출되었다. 정보의 이해용이성은 건강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어려움 없이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관련이 높다. 각 도출된 요인은 정보 주체(사용자)의 편의성, 활용성, 유지율을 높일 수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앱을 디자인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Cancel key function and spatialization metaphor in mobile (모바일 폰에서 [이전]기능과 사용자 공간 은유에 관한 연구)

  • Seo, Kyung-Ja;Song, Hyun-Chu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59-1063
    • /
    • 2009
  • 모바일 폰의 메뉴 구조는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며 링크의 연결로 페이지 정보를 전달하거나 하부 카테고리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모바일 폰 사용자는 메뉴 조작을 통해 기능을 실행하며, 이 과정에서 선형구조, 계층형 구조, 대화형 구조, 데이터베이스 구조, 혼합구조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경험하게 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면서 추상적 개념의 공간 인지를 구체적인 공간으로 이해하려 한다. 즉 UI, GUI에서 제시하고 있는 Label이나 방향표시를 따라 상하좌우라는 공간적 개념으로 은유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하드키 단말의 경우는 상하좌우키를 이용하여 공간을 이해했다면 최근에는 터치 및 제스처 동작 인식이 가능한 폰이 등장하면서 좌우 flick, 상하 flick 등과 같은 구체적인 행동으로 디바이스 화면에서 공간이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자의 공간 은유를 이해하기 위해 상위 depth로 이동하는 [이전] 키의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방법보다는 [취소]를 이용하여 depth를 이동하는 것이 사용자의 모바일 폰의 공간 은유 파악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기 때문이다. 둘째, [이전], [취소]라는 Label이 가지고 있는 모호성 때문이다. 모바일 폰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이전]는 전체 사용에 있어 아주 작은 요소에 불과하지만 사용자는 정해진 순서의 process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때와는 다르게 역 방향 Process를 사용하면서 모바일 폰의 구조를 이해하고 모바일 공간을 인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으로 돌아가는 [이전]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메뉴의 층위 구조 및 공간 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모바일 폰을 자주 사용하고 있는 20~30대 남녀 10명의 피험자에게 전화번호부, 앨범, 문자메시지의 목록화면과 상세보기 화면을 제시한 후 마지막 상세보기 화면에서 실험에서 제시하는 제시어를 보고 어느 화면으로 이동하게 될 것인지를 예상하는 질문을 하였으며, 그러한 이유에 대해서는 인터뷰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폰 공간인지는 동일한 레벨의 단계 즉 상세보기의 경우는 수평의 관계라고 보고 있으며, 목록화면과 상세화면의 관계는 상하의 관계라고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를 인터뷰를 통해 질문하였을 때, 상세화면에서 좌우 방향표시가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높았으며, 상세보기 화면이 좌우라고 인식하면 목록화면은 상하의 관계로 이해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즉 하나의 정해진 공간인지를 통해 다른 공간을 유추하여 생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실제 단말에서 [이전] 기능을 상위 depth로 이동하도록 설계하였다면 [한단계위]라는 Label 또는 e번과 같은 상위의 개념을 포함한 아이콘을 사용한다면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논문에서는 [이전]라는 기능으로만 사용자의 공간 개념을 예측할 수 있었지만, 터치스크린의 등장과 함께 플릭과 같은 다양한 제스처에 의한 인터렉션이 가능한 현 시점에서 추상적인 공간은 방향성을 가진 제스처에 의해 구체적인 물리적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용자의 공간인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Label과 방향성 표시는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며, 이후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의 공간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예상된다.

  • PDF

Effects of Easy Understanding of Library User Interface on the Use of Electronic Materials in a Virtual Academic Library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이해용이성이 전자도서관 자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 Yoo, Jae-Ok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1
    • /
    • pp.59-72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easy understanding of user interface could affect the use of electronic materials in a virtual academic library. The user interface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was analysed in terms of label description and array of menus. The frequencies of menu use were collected by analysis of use log files after modified user interface was applied. Clear label descriptions of link menus and sub-menus of electronic material search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number of user clicks on the modified menu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more clearly menu labels are described, the more frequently users click the menus on the academic library user interface.

A Study on Personas Models for Car Navigation Developing (자동차 내비게이션 개발을 위한 페르소나 모델 연구)

  • Oh, See-Hyung;Kim, Jung-Hee;Choi, Hak-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8
    • /
    • pp.163-171
    • /
    • 2010
  • This research has studied developing the persona model based on alan cooper's user oriented design which is newly in the limelight in the field of product design process. As developing the persona model, In-depth interview and FGI(focus group interview) has been conducted for extracting car navigation user group's motivation and using attribute. Based on research, three different car navigation user group were divided-low using & understanding the function group, medium using & well understanding the function group, heavy using & well understanding the function group. This research yielded the foundation for setting the persona model and this persona gives the key factor for producing the user oriented user Interface design after al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Nielsen's Usability Heuristics for Computer Engineers and Designers without Human Computer Interaction Background (비 HCI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Nielsen의 Usability Heuristics에 대한 이해 정도 평가)

  • Jeong, YoungJoo;Sim, InSook;Jeong, GooCheo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2 no.2
    • /
    • pp.165-171
    • /
    • 2010
  • Usability heuristics("heuristics") are general principles for usability evaluation during user interface design. Our ultimate goal is to extend the practice of usability evaluation methods to a wider audience(e.g. user interface designers and engineers) than Human Computer Interaction(HCI) professionals. To this end, we explored the degree to which Jakob Nielsen's ten usability heuristics are understood by professors and students in design and computer engineering. None of the subjects received formal training in HCI, though some may have had an awareness of some HCI principles. The study identified easy-to-understand heuristics, examined the reasons for the ambiguities in others, and discovered differences between the respons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to the heuristics. In the course of the study, the subjects showed an increased tendency to think in terms of user-centric design. Furthermore, the findings in this study offer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se heuristics to resolve ambiguities and to extend their practice for user interface designers and engineers.

  • PDF

Persuasive Effects Depending on the Type of Creative Ads in Social Media and User Sensitivity and Empathy (SNS 미디어의 크리에이티브 유형과 사용자의 민감성 및 공감적 이해에 따른 설득 효과)

  • Kim, J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5
    • /
    • pp.145-15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advertising effect of visual rhetoric type of Facebook ads depending on the user sensitivity and level of empathy.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s a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visual rhetoric type) × 2 (brand sensitivity) × 2 (level of empathic understand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performed to analyze the strategies of Facebook ads for ads effectiven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three-way interaction effect for persuasive effects was found among the type of visual rhetoric, brand sensitivity, and empathic understanding for both types of visual rhetoric. Breaking down it by type of rhetoric, no interacting effect was observed between brand sensitivity and empathic understanding levels for the visual simile ads in most of the dependent variables. For the visual metaphor ads, however, the brand sensitivity and empathic understanding levels were found to have interaction effect in all dependent variables.

수자원 공학에서의 최적화 기법의 활용(III)

  • Kim Seung-Gwon
    • Water for future
    • /
    • v.39 no.9 s.158
    • /
    • pp.83-94
    • /
    • 2006
  • 1900년대 초부터 수자원공학에서의 최적화 기법은 상당한 기대 속에서 많이 활용되어 왔다. 최적화 모형은 시뮬레이션 모형에 비하여 상당히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실패한 사례도 많지만, 성공적인 사례도 많이 나오고 있다. 실패하는 이유는 개발자에게 더 많은 책임이 있지만, 모형에 대한 이해부족에 따른 사용자의 잘못도 있다 최적화 모형은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많으므로 그 한계를 확실히 이해하고, 개발자는 물론 사용자도 실제 활용에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무리하게 사용하게 되면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는 것 보다 종종 못한 결과가 나을 수도 있다. 최적화 모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부족하지만, 수자원 공학에서 최적화 모형의 활용에 관련된 내용을 세 번에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