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료작물

Search Result 1,02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Guideline for Basic Standard for Organic Rice Cultivation (유기벼 재배 기본규약의 기준)

  • Jeong, Jin-Young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10 no.4
    • /
    • pp.1-7
    • /
    • 2002
  • CODEX의 유기농업기준에 대하여 기본적으로는 공감하고 있으나, 아시아적 기후의 특성과 농가당 소유면적이 유럽이나 미주$\cdot$오세아니아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너무 협소한 점을 감안하여 아시아의 유기벼 재배농가들에게 과중한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는 선에서의 유연성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윤작이나 휴경의 경우, 지역에 따라 벼-딸기 등의 과채류-벼-토마토 등 과채류-벼 행태나, 병-보리 또는 호밀 등의 사료 또는 녹비작물-벼-자운영 등의 사료 또는 녹비작물-벼 행태의 윤작 또는 녹비작물 재배형태의 윤작 또한 유기재배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완충지배 역시, 일정거리 보다는 경계선상에 주작물보다 상당히 키가 큰 다른 식용이나 녹비용 작물을 재배하면서 이웃 관행농장으로부터의 영농화학물질의 비산을 막아줄 수 있는 조처만으로도 유기재배 인증획득이 가능토록 해야 할 것이다. 제체작업 또한 오리를 이용할 경우, 기본적인 제초효과는 물론 해충포식이 이루어지며, 배설물에 의한 자연적인 시비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볏대를 튼튼하게 자극시켜주며, 고랑사이의 공기유통 촉진과 흙탕물에 의한 잡초 발아억제 효과 등 다양한 부대효과를 올리 수 있게 된다. 왕우렁이 제초법 또한 논의 건조와 백로 등 조류의 접근만 차단해 주면 완벽한 제초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불시 경운에 의한 제초법도 유기농업 실천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는 중이다.

  • PDF

유럽의 '가축사료 안전한 이용을 위한 가이드 라인'

  • 정완태
    • Feed Journal
    • /
    • v.3 no.4 s.20
    • /
    • pp.101-103
    • /
    • 2005
  • 가축사료가 인간의 건강 위해의 잠재적 원인의 하나라고 생각되지 않았던 것이, 치근 다양한 식품안전 위기로부터 사료도 식품안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소해면상뇌증(일명 광우병)의 발생이 반추동물에 포유동물 육골분사료 급여와 관련되어 인간의 CJD 와의 관련가능성, 1998년 citrus pulp의 다이옥신 오염사례, 2001년의 사료의 다이옥신 오염과 농장에 영향을 미친 가축사료의 호르몬(MPA) 오염 등이 가축사료 안전성과 관련된 사례가 유럽 도처에 있었다. 이러한 사건의 모두는 가축사료의 안전에 대한 주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정의 문제 외에 가축사료와 관련하는 잠재적 위해를 주는 것은 마이코톡신(사료원료의 곰팡이 생성으로 인한)을 포함하여 살모넬라균속과 같은 전염성 물질, 제초제, 살균제등의 농약잔류 및 산업/환경 등에 의한 다른 외부 오염물(수은, PCB, 납, 카드뮴) 등이 있다. 가축과 인간의 건강에 잠재적인 영향과 사료품질은 농장에서 사료 원인 작물의 성장에서부터 곡물 수확 시까지 모든 단계에서 좋은 상황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농장에서부터 철저하게 관리하는 사료의 안전한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설정되어 있다.

  • PDF

Study on the Forage Cropping System Linked to Whole Crop Rice and Winter Crop in Southern Region (남부지역에서 사료용 벼와 동계작물을 연계한 조사료 생산 체계 연구)

  • Kim, Jong Geun;Liu, Chang;Zhao, Guoqiang;Kim, Hak Jin;Kim, Meing Joong;Kim, Cheong Man;Ahn, Eok 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38 no.4
    • /
    • pp.202-209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nual productivity of whole crop rice and winter crops in paddy field of southern region in Korean peninsular. Whole crop rice (WCR) varieti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Suwon 605, Yeongwoo, and Mogwoo br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and Rye (Gogwoo), Italian ryegrass(IRG, Greenfarm) and Triticale (Choseong) were used as winter crops. Each crop was cultivated using the standard cultivation method and harvesting of whole rice was carried out about 30 days after heading date. The dry matter (DM) content was the lowest in Italian ryegrass (p<0.05), and the highest value was 29.4% in triticale. The dry matter yield of rye was the highest (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talian ryegrass and triticale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forage quality among seeding time of each species, but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 species (p<0.05). In particular, rye showed lower CP, IVDMD, TDN and RFV values than other species. The average dry matter production of whole crop rice was 18,484 kg/h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ultivars (p>0.05). Crude protein (CP)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Mogwoo than other and TDN and RFV values were the highest in Mogwoo. In the annual productivity evaluation, combination of rye-Suwon 605 showed the highest DM yield at 26,515kg/ha.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bination of Suwon 605-rye (Gogwoo) was the most effective cropping system for annual forage production using whole crop rice and winter crop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r.

Study on Forage Cropping System Using Summer Forage Crops with Italian Ryegrass at Paddy Land of Gangjin Region in South Korea (남부지역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하계 사료작물을 연계한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 Jeong Sung Jung;Se Young Lee;Mirae Oh;Hyung Soo Park;Ana Yun;Ki Choon Cho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43 no.1
    • /
    • pp.35-41
    • /
    • 2023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double cropping system using Italian ryegrass (IRG) 'Kowinearly', whole crop rice 'Yeongwoo' and barnyard millet 'Jeju native' during the Oct. 2020 to Oct. 2022. Three kinds of forage crops were cultivated at paddy field in Livestock Institut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Jeollanamdo, South Korea. Whole crop rice (WCR) was sown in late May and barnyard millet (BM) sown early June each year after harvesting IRG. We examined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forage crops depending on harvest time of forage cro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plant height in heading stage of IRG ranged from 108 to 112cm and dry matter yield ranged from 6,783 to 11,530 kg ha-1. The crude protein (CP) of IRG ranged from 6.0 to 8.44%, acid detergent fiber (ADF) ranged from 55.6 to 60.2%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ranged from 32.58 to 36.7%, The dry matter yield of WCR increased as the harvest stage was delayed (14,310 kg ha-1 in milk, 16,167 kg ha-1 in yellow ripen, and 18,891 kg ha-1 in mature). Similar to results of dry matter yield of WCR, dry matter yield of BM increased as the harvest stage was delayed (11,194 kg ha-1 in late heading. and 14,308 kg ha-1 in mature), However nutrient content of WCR and BM showed a decreasing trend. As shown in above results, the productivity of WCR after harvesting IRG was shown to be high at paddy field in the southern region. However, BM also was appeared to have potential as summer forage crops.

Physiology of Forage Crops (사료작물 생리)

  • 이호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12 no.3
    • /
    • pp.70-73
    • /
    • 1992
  • 사료작물 저온발아성(低溫發芽性)은 수수 $\times$ 수단그라스잡종들이 좋았고 옥수수와 수단그라스는 비교적 저조하였고 PGE에 종자침지처리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저온발아에 효과적이었다. 간척지의 수수파종시 염해 방지에는 모래를 파종후 피복하여 제염(除鹽) 효과를 얻을수 있었다. 수수류의 토양수분조건에 대한 광합성 연구는 포장용수량의 $60\sim80%$의 조건에서 광합성이 가장 왕성하였고 건물수량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옥수수의 광이용과 초형과의 관계연구는 이삭상부 엽각의 직립화는 밀식 조건에서 광이용성이 증가되었고 건물 및 종실수량에서 종수가 있었다. 또 밀식화에 따라 직립화 경향이 현저하였으며 옥수수의 다수성초형의 육성이 요청되었다. 질소시비에 대한 청예류의 생장 반응 연구들은 수단그라스에서 10a당 40Kg까지는 건물수량생산을 증가시켰으나 80Kg/10a 사용시는 질산태질소함량이 중독위험치를 초과하였다. 이러한 질산태질소의 중독위험은 6엽기까지 존재하였고 청산중독의 위험농도는 4엽기 이전까지, 또 18/$8^{\circ}C$의 저온조건에서 나타났다. 옥수수의 적정재식 밀도는 10a당 16.600본까지 밀식할수록 증가되었으나 가소화수량과 종실수량은 5.500본과 10Kg/10a 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질소 추비 효과는 대관령 같은 고산지대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맥류의 총체(總體)사료 이용성은 호밀, 밀, 보리 순(順)으로 저하하였고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성이 향상되었으며 수확적기는 출수후 24일경이었다. 호밀의 청예이용에는 월동후 2회예취와 12cm높이가 건물수량과 TDN수량을 높힐 수 있었다. 수수$\times$ 수단잡종의 출수기 이전 예취는 고사 경비율을 줄일 수 있었고 년 2회 예취와 예취높이 10cm가 가장 좋았다. 유채는 생육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량은 증가하였고 소화율의 감소도 현저하지 않았다.

  • PDF

Evaluation of Productivity and Silage Quality for Domestically Developed Forage Crops in Korea (국내 육성 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 평가)

  • Kim, Jong Geun;Park, Hyung Soo;Lee, Sang Hoon;Jung, Jeong Sung;Lee, Ki Won;Ko, Han J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35 no.2
    • /
    • pp.145-151
    • /
    • 201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ductivity and silage quality of domestically developed forage crops in Korea. A variety of rye ("Gogu"), oat ("Samhan"), three Italian ryegrass ("Kogreen", "Kospeed" and "Kowinearly") and two barley ("Yuyeon" and "Youngyang") were evaluated at an experimental field of Grassland and Forag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in Korea. Gogu showed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among the forage crop but the lowest was Samhan. Crude protein (CP) was higher in the oat and Italian ryegrass varieties.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 levels were similar with the except for the rye. The acidity (pH) of the oat silage was the lowest among forage crop species. Higher lactic acid content levels were found in the Kogreen and Samhan compared to the other varieties (p<0.05). According to Flieg's score, all of the silages were assigned a $1^{st}$ quality grade with the exception of the Gogu.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mestically developed forage crop varieties show high performance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silage quality, and are therefore recommendable forage crop varieties for Korea.

호밀건초에 대한 NaOH 첨가 처리가 사료가치 증진에 미치는 효과

  • 한성윤;김대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Conference
    • /
    • 1999.06a
    • /
    • pp.86-86
    • /
    • 1999
  • 본 시험은 고랭지역에 적합한 다수확 사료 작물 작부체계와 섬유질 사료 생산성 및 이용성 향상을 구명하고자 수행과정 중 얻어진 결과로서 하계작인 옥수수 뒷그루 2모작으로 재배 생산한 호밀건초를 무처리 호밀짚은 면양에 의한 in vivo 대사시험으로 영양 평가하는 한편 NaOH 첨가 처리 호밀 건초 Pellet은 in vitro 소화시험으로 소화율 및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중략)

  • PDF

Effects of Salty Irrigation Water on Soil Properties and Crop Yields (염분 관개용수가 토양의 성질과 작물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 ;Hanks, R. J.;Willardson, L.S.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29 no.4
    • /
    • pp.106-116
    • /
    • 1987
  • 미국 Utah주의 huntington 화력발전소에서 냉각수를 사용하고 버리는 염분농도가 4mmhos/cm 정도로 높아 자연하천으로 그대로 방류 시킬 수 없으며, 미 환경법에 따라 안전처리후 방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염분발생 처리방법의 하나로 보리, 밀, 옥수수, 감자 그리고 알팔파등 사료작물의 관개용수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장기간 시험연구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이 방법이 경제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이 염분폐수로 인한 토양의 성질변화 작용의 생산량 감소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1977년에 시작하여 8년 연속 연구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 8년간(1977~1984년)의 관측.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염분 관개용수가 장기적으로 생산량 추정과 계획예측을 위한 자발성과 토양수분변화를 추정할 수 있는 모형에 의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EC 4mmhos/cm의 염분 관개용수로 8년간 장기간 추출한 결과, 추출용수의 양에 관계내 염분축적은 예상보다 서서히 진행되었으며, 이 염분축적이 작물의 생산량 감소의 주원인은 아니었다. 2. 지난 2년간의 관측 결과, 염분 관개용수에 함유된 10ppm정도의 요소가 작물 특히 보리, 옥수수, 감자등의 생산량 감소의 주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염분용수 진개구에는 하천수 보다 20배가 많은 요소가 축적돼 있었으며, 이는 요소가 토양내에 잘 침투되며, 토양으로 부터 요소를 용달시키려는 염분을 용달시킬 때 보다 후러씬 더 많은 용달용수를 필요로함을 뜻한 작물들의 면요소성을 구명하기위한 모형개발이 요구된다. 3. 염분관개용수로 관개할 때 보리, 옥수수, 감자등의 작물 생산량과 풍작물 생산량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보리, 옥수수의 염분용수에 의한 생산량과 하천수에 의한 생산량과의 비는 풍건물의 경우 0.6, 매물의 경우 0.5였으며 감자의 경우는 0.2이하였다. 4. 염분용수 관개구와 하천수 관개구의 모든작물에서 풍건물 생산량과 축배량 사이에는 강한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다. 보리, 감자의 작물 생산량과 축배량사이에도 선형의 관계가 성립되었으나, 밀과 옥수수의 매물 생산량과 축배량사이에는 곡선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Harvesting Time on Yield and Forage Value of a Winter Wheat Cultivar 'Cheongwoo' (청우밀의 수확시기가 생산성 및 조사료 가치에 미치는 영향)

  • Seo Young Oh;Jong Ho Seo;Jisu Choi;Tae Hee Kim;Seong Hwan Oh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5 no.3
    • /
    • pp.172-181
    • /
    • 2023
  • In order to raise the self-sufficiency rate of domestic forage and obtain informations necessary for production of high-quality winter forage, forage yield and feeding value were analyzed in the above-ground parts of a winter wheat 'Cheongwoo' harvested at five different growth stages, and the appropriate harvest time was determined. The yield increased until 30 days after heading, and then decreased afterwards. The proportion of spike in the above-ground part was less than 40% until 30 days after heading, but increased to more than 60% afterward. At 30 days after heading, the protein content and relative feed value (RFV) also reached peaks, while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were low. The mineral nutrient contents are within the standard range required for feeding ruminant livestock or do not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level. Therefore, the best time to harvest above-ground parts of a winter wheat 'Cheongwoo' for use as a forage for feeding ruminant livestock is around 30 days after heading, when considering forage yield and feed values. As a result it would match well in time with the transplantation of rice seedlings or the sowing of rice-alternative field crops in the double cropp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