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만예방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35초

일부 성인의 비만과 구강건강 상태의 연관성 (Association of Obesity and Oral Health Status in Adults)

  • 박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96-204
    • /
    • 2018
  • 본 연구는 비만과 구강건강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성인의 구강건강과 비만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3월 10일부터 6월 13일까지 인천 지역에 소재한 'K' 치과에 내원한 환자 중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지 작성에 동의한 환자 22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비만도 조사는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를 이용하였고, 구강상태는 자가인지한 구강건강상태, 치주건강상태, 치아건강상태, 점막건강상태, 상실치아상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문항으로 조사하였다. 체질량지수와 열악한 치주건강 상태는 33.3%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복부비만은 치주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10.9%를 나타냈다. 현존하는 치아가 20개 이하인 군에서 복부비만이 28.6%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체질량지수와 복부비만이 높은 군은 정상인 보다 신체 동통, 심리 불편, 신체적 능력저하, 심리적 능력저하, 사회적 불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만과 치주상태, 입안점막상태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따라서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구강건강습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기적인 검진과 교육 뿐 만 아니라 비만을 예방하고 관리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고지방 식이 섭취로 유발된 비만 쥐의 시상하부 BDNF발현과 렙틴 mRNA 발현, 혈청 렙틴과 항비만과의 관계에 대한 운동트레이닝의 효과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the Relationship with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Expression and Leptin mRNA Expression in Hypothalamus, Serum Leptin, and Anti-obesity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Rats)

  • 우상헌;강성훈;우진희;신기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585-159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방식으로 유도된 비만이 에너지 항상성 조절인자인 신경영양인자와 섭식조절 호르몬인 렙틴 mRNA 발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과 비만 쥐의 시상하부 BDNF 발현과 렙틴 리셉터 mRNA 발현, 혈청 렙틴과 항비만과의 관계에 대한 운동트레이닝과 정상식이로의 전환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8주 후 비만 대조군(HF)에 비해 운동군(HFT), 정상식이군(HFND), 운동 및 정상식이 트레이닝군(HFNDT)에서 각각 유의한 체중 및 혈중 TC 감소를 보였다(P<0.05). 혈중 TG에서는 HF군에 비해 HFNDT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혈중 렙틴은 HF군에 비해 HFT군에서 유의한 감소를(P<0.05), HFT군에 비해 HFND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5), HFND군에 비해 HFNDT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P<0.05). 시상하부 BDNF 단백질 발현은 HF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시상하부 렙틴 리셉터 mRNA는 HF군에 비해 HFT와 HFND군에서 약간의 감소를, HFNDT군에서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 대한 운동트레이닝은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 또는 정상식이의 병행은 식욕과 체중조절에 최적의 비만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관리 요인들에 따른 혈중지질 농도 및 영양소 섭취 상태 비교

  • 남혜원;김은경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 심포지엄
    • /
    • pp.78-78
    • /
    • 2003
  • 심혈관계질환의 예방과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규칙적인 운동 습관과 음주, 흡연, 폐경, 비만 여부에 따라 신체계측치와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cholesterol, LDL-cholesterol 등의 혈청지질 및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체중이나 신장, 비만 정도 및 WHR 등 신체계측지수는 음주나 흡연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중성지방 농도를 유의적으로 상승시켰다. 2)음주군은 비음주군에 비하여 단백질의 열량비율(% RDA)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흡연군은 비타민 A와 나이아신, 비타민 B6,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E의 섭취량에 있어서 비흡연자들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3)운동에 의한 혈청지질 농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남성들의 경우 현재의 체중과 PIBW, Quetlet index, 엉덩이둘레가 비운동자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량에 있어서 남성의 경우 운동군이 비운동군에 비해 콜레스테롤과 나이아신 및 인을 더 섭취하고 있었으며, 당질의 섭취비율은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p<0.05). 여성의 경우에는 불포화지방에 유의적 차이를 보여 비운동군의 불포화지방 섭취량이 더 많았다(p<0.05). 4)폐경한 여성의 경우 폐경 전 여성에 비하여 신장은 더 작고 WHR은 더 높았다. 폐경 이후 estrogen 분비의 변화로 인하여 혈중 지질 성분 중에서는 cholesterol이 198.4$\pm$36.3mg/dl, LDL이 119.5$\pm$34.9mg/dl로 폐경 전의 수치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5)비만 여부는 남자의 경우 콜레스테롤 농도에(p<0.01)), 여자의 경우 중성지방 농도(p<0.01)에 대해 의미있는 설명력을 보이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식이 섭취상태와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생활습관이 신체계측치 및 혈중 지질 농도와 일부 상관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건강위험 요인도 관찰할 수 있었다. 고지혈증은 심혈관계질환의 주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 유발 요인에는 여러 환경적인 요인과 식이 요인이 있다. 또한 생활습관은 영양소의 섭취량에도 영향을준다. 이처럼 식이 요인과 생활습관은 단독 혹은 상호 영향을 주게 되므로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질환을 개선하려면 식사요법과 생활습관 교정을 병행하여야 한다. 고지혈증의 원인 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는 음주와 흡연은 상호 유도작용이 있으므로 금연이나 절주를 하고자 할 경우 두가지를 동시에 자제해야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폐경후 여성들에게 발생 빈도가 높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인 고지혈증을 예방하고자 하는 노력은 폐경후 여성들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균형식 섭취와 운동을 통해 혈중 지질 수준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비만으로의 이행을 방지함으로써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하도록 하여야겠다.

  • PDF

나복자, 의이인, 백복령, 다엽, 차전자피로 구성된 혼합분말제(HP)와 진피, 산사, 옥미수, 양총피로 구성된 혼합열수추출물(HE)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마우스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Herbal Mixture Powder and Water Extracts in Mice Fed a High Fat Diet)

  • 연제동;최윤희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1-144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obesity effects of mixed-Powder(Raphani Semen, Coicis Semen, Poria, Plantaginis Testa & Theae folium)(HP) & mixed water extract(Citri Pericarpium, Crataegi Fructus, Maydis Stigma, Allium Skin) (HE) in mice fed a high-fat diet. Method : 50 Female ICR mice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group (Ve), high-fat diet group (Po), Po+HP(0.6g/kg) group(HP), Po+HE(1g/kg) group(HE), Po+(HP+HE) group(HPE), Po+(HP+HE)*2 group(DHPE). For 8 weeks, these groups were fed their respective diets. Body weight, liver weight and weights of adipose tissues, GOT/GPT index changes & Blood Glucose index changes were measured respectively. Lipid profiles in serum were analyzed by kit of blood. Results : Groups HP, HE, HPE, DHPE had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liver weight, adipose tissue weights and GOT/GPT index, blood glucose index compared to the Po group. Also,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compared to the Po group. Group G1 had significantly increased high density lipoprotein levels. Conclusion : Mixed powder (HP) & mixed water extract (HE) show anti-obesity effects in mice fed a high-fat diet.

갈근이 비만 랫드 간조직의 비만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ueraria lobata extract on gene expression in liver tissue of rat with estrogen-deficient obesity)

  • 신윤상;황귀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7-128
    • /
    • 2014
  • Objective : It is known that Pueriaria lobata has an anti-osteoporetic effect, anti-cancer effect, anti-pyretic effect, and anti-diabetic effe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obesity effect of Pueriaria lobata extract (PLE), and elucidate the effect of it on gene expression related to lipid metabolism. Method :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the use of ovariectomized rats as estrogen-deficient obesity model. They were grouped NC (normal control), OC (estrogen-deficient control), PLH (100mg/kg of PLE), PLL (20mg/kg). PLE was orally administered for 6 weeks. Body weights and serum lipid level were estimated, and real-time PCR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E on gene expression in liver. Results : PLE decreased the body weight and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but increased HDL-cholesterol. And PLE increased leptin, CYP27, CPT1, CYP8B1, ACAT2, LDLR, and SCD1, but reduced $PPAR{\gamma}$, PGC1A, HMG-CoA-R, ACAT1, SCD1, and APoB gene expression in liver tissue of rat with estrogen-deficient obesity.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Pueriaria lobata reduced body weight, and its effect was expressed by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related to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estrogen-deficient obesity.

한국 성인의 식생활평가지수 및 복부비만의 관계: 고감도 C-반응 단백질의 매개효과 (Association between Korean Healthy Eating Index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 윤진아;신다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88-104
    • /
    • 2024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5년부터 2018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의 KHEI와 복부비만의 관련성 및 hs-CRP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한국 성인 남성의 경우 허리둘레 90 cm 이상, 여성은 허리둘레 85 cm 이상인 경우에 복부비만군으로 정의하였다. 남성에서 복부비만군은 2,587명, 정상군은 5,007명이였고 여성의 복부비만군은 2,869명, 정상군은 7,307명이였다. KHEI, hs-CRP, 복부비만의 연관성 분석에서는 모든 공변량을 보정하였을 때 남성의 KHEI는 복부비만과 유의한 연관이 없었지만, hs-CRP와 음의 연관성이 있었다. 여성의 경우, 복부비만과 hs-CRP 모두 음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남성과 여성에서 hs-CRP 위험군 (> 1.0 mg/L) 이 hs-CRP 정상군 (≤ 1.0 mg/L)보다 복부비만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Bootstrapping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KHEI와 복부비만 관계에서 hs-CRP가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변량을 단계적으로 보정하였을때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균형잡힌 식생활를 통한 높은 식사의 질이 hs-CRP에 영향을 미쳐 복부비만 예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자전거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염증관련인자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cycle Exercise on Inflammation Related Factor and Growth Hormone in Obese Middle aged Women)

  • 김종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49-456
    • /
    • 2018
  • 본 연구는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자전거 운동을 통한 염증관련인자와 성장호르몬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자전거 운동의 효과를 규명하고 효율적인 운동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5명의 비만 중년 여성들은 자전거 운동군과 통제군으로 구분하여 8주간 주당 3회 60분간 자전거를 이용한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인으로는 염증관련인자와 성장호르몬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염증관련인자는에서 $TNF-{\alpha}$ 및 IL-6는 운동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통제군에서 증가하였다. 성장호르몬은 운동군에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통제군에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자전거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들의 심혈관계 및 만성질환을 예방 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이라고 사료된다.

홍삼류의 섭취가 비만과 혈중 지질의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aking of Red Ginseng Products on Cor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Blood Lipids)

  • 박화진;이정희;이소진;함혜선;조현정;임창률;유영빈;박기현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3-260
    • /
    • 2000
  • 비만은 동맥경화의 위험인자로서 혈중에 triglyceride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HDL-Cholesterol의 농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수축기 혈압을 상승시킨다. 본 연구에서 홍삼제품류를 4년 또는 5년 동안 복용해 온 건강한 사람 (ginseng군)과 홍삼제품을 복용하지 않은 건강한 사람 (control군)을 대상으로 하여 신체 계측치로부터 비만지수를 구하고 이것과 혈중의 triglyceride (TG) 농도, TG/HDL-Cholesterol ratio 및 수축기 혈압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한 바, ginseng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혈중의 TG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TG/HDL-Cholesterol ratio 및 수축기 혈압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ginseng군에서 기호품으로 alcohol을 섭취하거나, 흡연을 한 경우에도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 결과는 홍삼제품류를 장기 복용하면 비만의 저하 및 고혈압 또는 동맥경화의 위험인자가 억제될 수 있고, 결론적으로 비만, 고혈압 및 동맥경화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 PDF

가족특성이 고등학생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 (Family Factors and Obesity in High School Students)

  • 이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84-9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비만에 영향하는 가족특성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I광역시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84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서술적 조사연구가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5년 2월부터 4월까지 설문조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체중, 키, 개인특성과 가족특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인 경우(aOR = 4.37; 95% CI [1.26, 15.16]), 아버지의 직업이 비정규직인 경우(aOR = 3.10; 95% CI [1.15, 8.40])와 양부모 가정이 아닌 경우(aOR = 3.52; 95% CI [1.29, 9.61])가 비만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을 받아왔던 남학생의 비만의 위험성과 건강한 체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향상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비만 예방과 관리를 위해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불완전한 가족구조의 고위험 가족특성을 가진 청소년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검정콩 된장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Black Soybean Doenjang in C57BL/6 Mice)

  • 김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86-1493
    • /
    • 2017
  • 된장은 콩 발효식품으로 주원료인 콩류에 Bacillus subtilis, Rizopus, Mucor와 Aspergillus species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메주를 소금물과 혼합하여 숙성 시킨 한국의 전통적인 발효식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실험을 통하여 검정콩 된장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항비만 효과의 확인은 혈중 TG, TC, 아디포넥틴과 렙틴의 레벨을 측정함과 동시에 지방합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SREBP-1c과 PPAR-g의 mRNA와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고지방 식이에 검정콩 된장을 첨가한 그룹에서는 고지방식이로 인해 증가된 체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혈중 중성지방, 콜레스테롤과 렙틴의 레벨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 비하여 검정콩 된장을 섭취한 마우스에서 감소하였으며 아디포넥틴의 분비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지방 생성의 억제로부터 유도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지방 합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SREBP-1c과PPAR-g의 mRNA양과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검정콩 된장을 섭취한 마우스에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검정 콩 된장의 섭취가 지방대사와 지방 전사 인자의 활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검정콩 된장이 비만의 예방과 진행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