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북한 교과서 비교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1초

북한의 학교수학 용어의 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ctual State of School Mathematics Terms in North Korea)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1호
    • /
    • pp.1-15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최근의 북한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학교수학 용어에서 찾을 수 있는 외형적 특징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북한의 맞춤법에 따라 용어를 표기하고 있고, 많은 수의 한자 용어를 한글 용어로 바꾸어 사용하고 있지만, 한자용어도 여전히 많이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용어와 북한 용어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이것은 장차 우리나라 용어와 북한 용어를 통합하는 일이 비교적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자 용어를 한글화하는 것이 수학 교수$\cdot$학습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믿어지고 있으나, 북한의 사례를 볼 때, 한자 용어의 한글화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용어와 완전히 다른 북한 용어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용어와 북한 용어의 의미론적인 분석과 함께 선호도 조사가 필요하다 의미론적인 분석은 선호도에 맹종하는 것을 피하게 해 줄 수 있다.

  • PDF

북한 수학 수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hematics class in North Korea)

  • 변희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297-311
    • /
    • 2013
  • 현재까지 북한의 수학교육에 대한 이해는 문헌분석을 통한 남북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비교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왔다. 이는 북한학교에서 다루어지는 수학 내용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나 학교 수업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학습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이루어지는 수학 수업의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 수업환경, 교사의 수업 준비, 북한의 수학과 교수 학습 방법 등을 탐색하였다. 북한의 수업을 직접 관찰하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현재 남한에 거주하는 탈북자 중 북한 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제한적이나마 북한 수학 수업의 모습을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수학수업을 둘러싼 환경과 교사의 준비 과정뿐만 아니라 교수학습 방법 상에도 남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북한 식생활 영역의 용어 연구를 통한 북한 식생활의 이해 (A Study on the North Koreans' Dietary Life by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Terms)

  • 안순희;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3
    • /
    • 2017
  • 본 연구는 북한 식생활 용어들을 모아 정리하여 추출된 용어들을 통해 북한 식생활을 이해하고, 동시에 남한의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의 식생활 용어들과 서로 비교하여, 북한 식생활이해도를 높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북한용어 사전 2종과 웹사이트 2종을 검색하여 북한식생활과 관련된 용어를 추출하였으며, 남한의 중학교 1학년 기술 가정교과의 식생활영역 단원에서 남한식생활 관련 용어를 추출하였다. 분석결과는 1) 분류된 북한의 식생활용어는 식품분야의 용어가 과반 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2) 또한 북한의 식량사정을 엿볼 수 있는 용어가 추출되었으며; 3) 북한의 식생활정책과 관련하여 식량증산을 위한 작물로 옥수수에 관한 용어가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4) 북한의 말다듬기 사업을 통해 다듬어진 한자어나 외래어가 여러 분류에서 다양하게 추출되었으며; 5) 북한용어 중 일부는 해석이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들이 있었으며; 6) 농업과 관련된 용어 중 남한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들이 발견 되었으며; 7)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에서는 남한식생활정책용어들과 다수의 외국어가 추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식생활영역의 남북언어이질화를 이해하고 남북한 청소년들이 서로의 용어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두 탈북 고등학생의 남북한 수학수업 경험에 대한 인터뷰 분석 (Th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two high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of mathematics lessons in North and South Korea)

  • 이기돈;이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97-215
    • /
    • 2016
  • 남한에서 학습하는 탈북학생들의 낮은 학업성취도가 보고되면서 이 학생들의 학습지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으로 통일시대의 준비라는 관점에서 북한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탈북학생들의 수학학습 지원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터뷰를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북한의 수학교육 연구는 교과서 분석을 위주로 하는 문헌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함경북도에서 중학교(남한의 중고등학교) 고학년까지 수학한 후 우리나라에서 다시 고등학교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두 탈북학생들을 인터뷰함으로써 학생의 관점에서 북한의 중등학교 수학수업의 모습을 남한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인터뷰를 통해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수업의 유사점이 차이점 못지않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터뷰 분석을 바탕으로 두 학생의 경험이 수학수업 및 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북한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내용지식(PCK)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the PCK Components of Science Teacher's Guidebooks for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North Korea)

  • 정세종;나지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15-427
    • /
    • 2020
  • 본 연구는 북한에서 '2013 제1차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강령'이 시행된 이후에 출판된 소학교 1학년과 초급중학교 1학년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PCK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북한에서 진행되는 과학교육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두 지도서 모두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 '과학교육과정 관한 지식'이 뒤를 이었다. 반면에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 '학생에 관한 지식'은 내용이 현저하게 부족하였다.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에서는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모두 '개념 및 이론'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실험 및 탐구'의 비중도 다른 PCK 요소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았다. 북한의 과학과 지도서는 학생에게 과학 개념 및 이론을 전달하거나 탐구 수업을 진행할 때 '토론'을 활동으로 제시함으로써 구성주의 교수 흐름을 표방하고 있었다.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은 '주제-특이적 전략' 중 '활동 순서 및 방식'을 안내하는 부분이 주를 이루었으며 '교과-특이적 전략'은 극히 일부분만 제시되었다. 또한 북한의 과학과 지도서는 총론과 각론 모두에서 과학교육의 이론적 배경 요소가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은 '수업 목표'가 주를 이루었고, '수직 연계'와 '수평 연계'도 일부 제시되었다.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과 '학생에 관한 지식'은 우리나라의 과학과 지도서와 비교했을 때 차지하는 비중이 작았다.

남.북한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분석연구 (The Study of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North Korean Junior High School′s Educational Process and Text Books in Mathematics)

  • 최지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65-175
    • /
    • 2000
  • The situation of unification has been changing in the rapid speed. In this condion it is most important that we understand North Korea's current situation correctly, by overcoming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rying to pursuit the national homogeneity.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understand North Korea is to understand their education. So, I wrote this thesis as a way of getting ready for the united Korea by konwing mathematics texts and their system, composition, contents of junior high school in North Korea Anyway,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integr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fter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 PDF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A Study of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s Educational Process and Text Books in Mathematics)

  • 조국행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207-21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help the teachers in school to widen the knowledge and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n society by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and 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process and text books. It is needless to say that we need to have mor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North Korea as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situation is changing so rapidly these day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understand North Korea is to understand their education. So, 1 wrote this thesis as a way of getting ready for the united Korea by knowing mathematics texts and their system, composition,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in North Korea If this little try is going to be a help in anyway, I will try to do a better study in future.

  • PDF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영역별 내용 비교 분석 -대수, 통계, 해석,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Text-book of Secondary Schools in South and North Korea -From the Viewpoint of the Region of Algebra, Statistics, Analysis and Geometry-)

  • 김삼태;이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1-14
    • /
    • 1999
  • It has already been fifty years since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two nations, South and North Korea. Owing to forming different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s with each other, we can conjecture that there are much heterogeneity in education. On the assumption that education plays important role in coming to an accommodation and in restoring homogeneity of the Korean race after unification, we consider the investigation of the contents of mathematics text-book of secondary schools as a meaningful research to make provision against unification. In this paper, we shall investigate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teaming substances and sequences in mathematics of secondary school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y falling into four regions; algebra and statistics, analysis and geometry. By grasping the special features of terms, teaming subject matters and learning substances, and clarifying their distinctions, we shall present some reforms measure of distinctions.

  • PDF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적 귀납법'에 대한 남.북한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eaching of 'Mathematical Induc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 박문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81-192
    • /
    • 2002
  •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proving a proposition. Among these, 'mathematical induction' is treated in school mathematics weightly. But many students have difficulty with the proof by 'mathematical induction'. To solve this problem, analysis needs to be attempted in various aspects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teaching methods of 'mathematical induc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acquire the implication. In fact, many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re found. These differences are caused by epistemological and psychological premis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pistem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in North Korea and compares the textbooks in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are found. First, the sequence of introducing the 'mathematical Induction' needs to be considered. Second, the rich context of applying the 'mathematical induction' is needed. Finally, disagreement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 in South Korea needs to be reconsidered.

  • PDF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도입 방법 연구: 남북한, 중국,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내용 비교를 중심으로 (Different Approaches of Introducing the Division Algorithm of Fractions: Comparison of Mathematics Textbooks of North Korea, South Korea, China, and Japan)

  • 임재훈;김수미;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2호
    • /
    • pp.103-121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남북한, 중국, 일렬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비교$\cdot$분석하여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도입을 위한 교재 구성 및 학습 지도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의 의미를 '포함제', '단위비율 결정', '비 또는 측정 단위 세분', '곱셈의 역연산', '분수의 곱셈으로부터의 유추'의 다섯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이어 북한, 중국,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도입 및 전개 방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얻은 시사점은 다음의 다섯 가지이다. 첫째, 제수의 역수의 의미와 제수의 역수를 곱하는 의미를 명확하게 드러내도록 다루어야 한다. 둘째, 분수 나눗셈을 단위비율 결정 맥락에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여야 한다. 셋째, 현재 <7-가 단계> 용어인 '역수'를 <6-나 단계> 분수의 나눗셈 지도 장면에서 제기하거나, 적어도 역수의 의미가 드러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넷째, 분수 나눗셈은 다양한 맥락에서 풍부한 의미로 전달되어야 한다. 끝으로 <5-나 단계>, <6-나 단계>에 걸쳐 여러 지엽적인 주제로 세분되어 있는 현재의 분수 나눗셈 단원 구성은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방식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