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상숙(2012). 교육소외 학생들의 기초학력 신장을 위한 수학학습에서 나타난 수학적 오류. 수학교육학연구, 22(2), 203-227.
- 고상숙, 신동희, 김애화(2010). 탈북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포커스 그룹들과 면담을 통한 교육의 실제-수학, 과학을 중심으로. A-수학교육, 49(2), 125-148.
- 교육과학기술부(200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 수학, 과학, 기술.가정.
- 김청명(2009). 탈북학생의 수학학습에서 어려움과 수학화를 통한 함수의 이해. 단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효진(2015).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초등학교 1-4학년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나귀수, 박경미, 박영은(2016). 탈북학생과 지도교사의 수학 교수.학습 인식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6(1), 63-77.
- 리병모(1988). 교수방법론. 북한: 교육도서출판사.
- 박경미, 나귀수, 박영은(2014). 탈북학생의 수학적 태도 및 수학 학습 인식에 대한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4(4), 499-514.
- 박교식(2005). 북한의 학교수학 용어의 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1), 1-15.
- 박교식, 이경화, 임재훈(2004). 남북한 초등학교 교과서의 분수 도입 방식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14(4), 367-385.
- 박문환(2002a).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적 귀납법'에 대한 남.북한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12(2), 181-191.
- 박문환(2002b). 피타고라스 정리의 지도에 대한 남북한 비교. 학교수학, 4(2), 223-235.
- 박문환(2006). 북한 수학 교과서 내용 변화에 대한 분석. 학교수학, 8(2), 139-160.
- 변희현(2013). 북한 수학 수업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2), 297-311.
- 변희현, 박문환(2012). 통일대비 북한의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C 2012-6.
- 서울특별시교육청(2016). 2016 중등 교수학습 평가 계획.
- 신현성(1999).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 31-41.
- 연보라, 김홍찬(2012). 새터민 청소년의 수학학습 실태 및 적응 요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467-486.
- 우정호, 박문환(2002).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교육의 통합방안 모색. 수학교육학연구, 12(1), 49-70.
- 유시규, 안순주(2005). 남.북한 수학 교육과정 비교.분석-국민공통기본과정 9-가, 9-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 16, 43-83.
- 이기돈(2016a). 상상의 수학, 상상하는 수학의 교육. 수학교육학연구, 26(1), 103-119.
- 이기돈(2016b).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1), 21-41.
- 임재훈, 이경화, 박경미(2002). 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 개발 연구 (I). 수학교육학연구, 12(4), 493-508.
- 임재훈, 이경화, 박경미(2003a). 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개발 연구 (II). 학교수학, 5(1), 43-58.
- 임재훈, 이경화, 박경미(2003b). 북한 고등중학교 수학 교과서 구성 방식의 변화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3(1), 95-106.
- 임재훈, 이경화, 한대희(2003). 수학교육의 내재적 목적. 대한수학교육학회 2003년도 하계 수학교육학연구 발표대회 논문집, 225-242.
- 장주영(2009). 새터민 청소년의 수학과 학습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정혜윤, 이경화(2016). 북한의 2012년 교육과정 개정 전후 수학교과서 분석: 초급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8(1), 143-157.
- 최지민(2000). 남.북한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분석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3(1), 165-175.
- Lee, J. (2007). Understanding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teachers and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 Schuman, D. (1982). Policy Analysis, Education, and Everyday Life: An empirical reevaluation of higher education in America. Lexington, MA, D. C. Heath.
- Seidman, I.E. (1991).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