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자녀관계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8초

시각, 청각, 지적 여성장애인의 양육부담과 부모역할만족도와의 관계 : 자녀와의 의사소통 매개효과 (Cor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Disabled Females with Mental, Visual and Hearing Disability in Raising Children :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 전선영;이성규;정은주;김정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297-31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청각, 지적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부담과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를 살피고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이들 사이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여성장애인의 양육부담을 경감시키고 효과적인 부모역할 수행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조사는 서울지역 장애인복지관과 여성장애인 관련 단체의 협조를 통해 총 13개 기관에 300부를 배포하였고, 청각장애 여성은 자기기입방식으로, 시각과 지적장애 여성들은 조사원이 읽어주고 대답하는 방식으로 210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는 187부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양육부담은 부모역할만족도와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직접적인 부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와의 의사소통은 양육부담이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여성장애인의 양육부담을 감소시키고 부모역할만족도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자녀와의 의사소통 기술을 보다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청소년이 지각하는 주관적 행복감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해순;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9-12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 화성 등 경기도 내 거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10일에서 8월 20일까지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277부 중 26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8.0과 Hayes(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주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공감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공감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행복감과 공감 능력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정(+)적인 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중고등학생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측 변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성을 발달하기 위해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을 활성화하고, 매개변인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활성화하여 건전한 성장을 위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청소년 프로그램 및 청소년 상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PDF

어린 시절 부-자녀관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대상적 자기손상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hild, adolescent period's father-child relationship on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married women : The mediating role of impaired objective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 이문희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7-120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how a parent-child relationship affects an impaired objective sel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consequently, interpersonal problems. Methods: To carry out this study, a total of 467 married women were surveyed on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impaired objective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The resulting data was interpr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alysis. Results: Firs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hows negative correlations with an impaired objective sel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dition, an impaired objective sel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Second, an impaired objective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mediat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ntrapersonal problems consecutively. Conclusions: This indicates that efforts to mitigate an impaired objective self and to intervene in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can help address intrapersonal difficulties. Finally, this paper examines how this study affects the ongoing discussion on this matter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농촌노인의 삶의 질과 복지정책의 문제점

  • 박옥임
    • 한국가정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정과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
    • /
    • pp.72-72
    • /
    • 2003
  •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위기의 상황에서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의 측면에서 가족 및 사회적 관계는 어떠하며,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농촌노인들의 복지정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농촌노인의 삶의 질을 살펴보기 위하여, 농촌 노인의 가족구성을 살펴본 결과 농촌노인들은 노부부만 거주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39.0%), 결혼한 아들 가족과 함께 사는 경우(27.3%), 독거(21.2%), 미혼자녀와 함께 사는(7.9%)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사회적 관계는 따로 사는 자녀와의 관계가 가장 높으며(97.1%), 그 다음으로는 친한 친구나 이웃이 있고(94.8%), 자주 왕래하는 비동거 자녀는 평균 2.4명, 친척은 약 3명, 친구나 이웃은 5.5명으로 총 약 10여명의 가까운 사람들과 교류하여 사회적 관계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농림부, 2002). 농촌노인의 삶의 질은 가족간의 관계가 아주 중요한 지원 체계로서 자녀와 동거하는 농촌노인들은 단독가구 노인에 비해 높은 생활만족도, 높은 행복감, 낮은 고독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한경혜, 2003), 노인의 사회적 지원 망의 크기가 크고 다양할수록 노인의 생활 만족도나 심리적 복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 PDF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olescent'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 노윤옥;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6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녀가 부부갈등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그것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중학교 남, 여 학생 480명을 대상으로 자녀가 지각한 부부 갈등 척도(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척도(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일원변량 분석, Duncan검증 Pearson 상관계수 둥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지각하는 부부갈등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은 수준으로 대처효율성은 다른 차원에 비해 높게 지각하고 내용은 낮게 지각하였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부갈등을 높게 지각하였고, 부모의 학력이 낮고, 생활수준이 중하류 이하일 경우 부부갈등을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은 전반적으로 개방형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졌고 어머니와 더 개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는 첫째와 가장 개방형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졌고 중간 서열의 자녀와는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부의 연령이 적을수록, 자녀가 생활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부모와 개방형 의사소통이 이루어졌고 모연령이 적을수록, 부직업이 전문직일수록, 핵가족일수록 아버지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확대가족일수록 아버지와 문제형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자녀가 부부갈등을 낮게 인식할수록 부모와 개방형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졌고, 부부갈등을 높게 인식할수록 부모와 문제형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졌다. 부부갈등의 하위요인에서는 어머니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모든 영역에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아버지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에서는 '내용'과 '지기비난' 영역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부모와의 문제형 의사소통은 모든 영역에서 상관관계를 가지는데 특히 '빈도'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자녀출산 및 사교육비의 가구소득과의 관계분석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birth, Private Education Spending and Household Income)

  • 송헌재;신우리
    • 노동경제논집
    • /
    • 제40권4호
    • /
    • pp.33-5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Becker의 자녀 수요에 대한 경제 모형을 설명하고, 우리나라 가구의 자녀수 와 사교육비 지출행태가 이 모형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재정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구소득은 자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으나 자녀 1인당 사교육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이 가구소득이 증가하면서 자녀 질에 대한 부모의 수요가 증가한 것일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가구소득뿐만 아니라 부모의 학력과 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자녀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보이고 있어 부모와 자녀 사이에 교육 투자를 통한 학력과 부의 대물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한국 다문화 가정 부모자녀 간 한국어 및 계승어 유창성의 일치도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National or Ethnic Language Fluency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 박지수;고유진;한윤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4호
    • /
    • pp.649-669
    • /
    • 2015
  • 국제결혼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한국 내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은 다양한 사회·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부모자녀 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관계의 질이 다문화 가정 자녀의 사회적응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라고 보았고, 한 가정 내에 한국어 및 계승어 두 가지 언어가 공존하는 한국 다문화 가정의 특성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인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계승어 유창성 일치도와 외국인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한국어 유창성 일치도에 따라 부모관계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청소년 자녀 데이터와 그들의 부모 데이터를 병합하여 총 4314명의 청소년 데이터를 다층선형회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부모자녀 간 한국어와 계승어 유창성 일치도는 부모관계 만족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고, 한국어나 계승어를 모두 유창하게 하는 집단, 청소년과 부모 중 한쪽만 유창하게 하는 집단, 둘 다 유창하지 않은 집단 순으로 부모관계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내의 건강한 가족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 정책에 대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터넷 중독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자녀'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and Children with Internet Addiction)

  • 이영환;이화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9-14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중독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자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인터넷 중독 '위험'으로 판정받은 아동 12명과 직접 만나는 면접 방식을 선택하였다. 이는 아동들이 실생활 속에서 느끼고 경험한 아버지에 대한 느낌과 그들의 주관적인 이야기와 의미에 귀를 기울이기 위해서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넷 중독 이라고 판명된 12명의 아동을 개별적으로 30~40분씩 4회씩 만나 구조 비 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심층 인터뷰를 실시,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범주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아동들을 통해 발견된 '아버지- 자녀 관계'는 (1)아버지-자녀 사이 대화의 장벽이 되는 인터넷 (2)바쁜 아버지 대신 인터넷에 관심을 갖는 자녀 (3)인터넷은 아버지와의 어색함을 회피하는 도피처 (4)자녀의 인터넷 사용 통제 불능의 아버지 등이었다.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인터넷 중독 아동과 그의 아버지에게 도움이 될 바람직한 아버지 행동방식을 제시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자녀가 지각한 父(부)의 양성평등의식과 자존감과의 관계

  • 채옥희;홍달아기;이남주
    • 한국가정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정과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
    • /
    • pp.71-71
    • /
    • 2003
  • 본 연구는 세계가 지향하는 양성평등사회의 구현을 위하여 가부장적 인식이 사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남성 특히 아버지의 성역할에 대한 태도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차별의 대상인 딸들은 아버지의 태도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뿌리깊은 사회문제의 근원이 되고 있는 성불평등의 원인을 밝히고, 양성평등을 위한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여자 중학교 1, 2, 3학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분산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 PDF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자아탄력성,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f Child's Perceived Parent-child Relationship, Ego-resilience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Children's Happiness)

  • 정현정;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42
    • /
    • 2011
  • 본 연구는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여 아동의 삶을 이해하고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배부 설문지 중 누락, 이중 기재된 설문지를 제외한 총 426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행복감의 하위변인인 자아존중감은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자기 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정적관계가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행복감을 더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복감의 하위변인인 부모와의 관계와 학교생활은 긍정적 지지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전반적 생활과 욕구만족에서도 긍정적지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하위변인 관계적 차원, 인지적 차원 그리고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부정적 감정의 인내와 긍정적 지지관계가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부모가 교육적인 관심을 갖고 대화를 하며 부모가 기대와 훈육을 덜할 때, 그리고 아동이 부정적인 감정을 잘 견디고 긍정적 지지관계를 가질 때 아동의 행복감이 높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아동의 행복감을 위하여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 뿐 아니라 가정에서 부모가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아동의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효율적인 부모교육 및 상담을 위한 자료, 가정과 학교와의 연계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