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 치아종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Erupted complex odontoma에 의한 하악 제 1대구치 맹출지연 (DELAYED ERUPTION OF MADIBULAR FIRST MOLAR BY ERUPTED COMPLEX ODONTOMA)

  • 박인호;오유향;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64-568
    • /
    • 2004
  • 치아의 맹출지연을 일으키는 여러 원인 중 치아종은 법랑질, 상아질, 치수와 같은 치아를 구성하는 조직을 갖춘 harmartoma로 complex odontoma(복잡 치아종)와 compound odontoma(복합 치아종)로 구분된다. 치아종의 원인에는 외상, 감염, 치아발육상의 장애, 유전적 요인 등을 들 수 있으며, 호발 부위는 상악 전치부와 하악 구치부이다. 이 중 compond odontoma는 악골의 전방부에, complex odontma는 악골의 후방부에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데 대부분 악골내에서 발생하지만 드물게 점막을 뚫고 치조골의 상방으로 석회화 된 종괴가 맹출한 형태의 치아종을 erupted odontoma라 한다. erupted odontoma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맹출지연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본 증례는 맹출이 지연된 하악 제 1대구치 치관 상방에 나타난 erupted complex odontoma를 제거 후 치아를 맹출 시키는데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법랑모세포섬유치아종(Ameloblastic fibre-odontoma)의 치험례 (AMELOBLASTIC FIBRO-ODONTOMA : A CASE REPORT)

  • 이동진;이광희;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8-452
    • /
    • 2003
  • 법랑모세포 섬유치아종(Ameloblastic fibro-odontoma)은 하악 구치부에 호발하는 드문 혼합 치성종양이다. 방사선적 소견으로는 경계가 명확하고, 대부분에서 방사선 투과상과 불규칙적인 크기와 형태의 불투과상이 혼재된 양상으로 관찰된다. 조직학적으로 법랑모세포 섬유치아종은 법랑모세포 섬유종의 연조직 성분과 복합성 치아종의 경조직 성분을 모두 가지고 있다. 본 증례의 13세 2개월된 남자 환아는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하악 좌측 견치의 맹출 지연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맹출을 방해하는 병소를 적출하고 조직 생검한 결과, 법랑모세포섬유치아종으로 진단하였다. 지속적인 예후관찰 중 병소 제거 수개월 후 견치는 정상적으로 맹출하였다.

  • PDF

치아종을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에 관한 증례 보고 (CALCIFYING ODONTOGENIC CYST ASSOCIATED WITH ODONTOMA : CASE REPORT)

  • 이선숙;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9-115
    • /
    • 2006
  • 석회화 치성낭은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는 발육성 치성낭이나 조직학적 소견이 다양하고 따라서 분류 체계도 다양하다. 악골 내에서 느리게 진행되는 무통성 종창이 일반적이며 24-30%에서 매복치 및 치아종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피복 상피에 나타나는 유령세포는 결합 조직 에 노출되어 석회화 조직을 형성한다. 이 증례는 14세 여아의 상악 견치부에 발생한 치아종을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으로, 매복된 상악 좌측 견치 치관 주위로 경계가 명확한 방사선 투과성 병소와 다발성의 방사선 불투과성 석회화 물질이 혼재된 병소였다. 조직병리학적으로 중층 편평상피로 이장되어있고 상피 내에 유령세포가 관찰되었다. 석회화된 물질은 복합 치아종의 소견을 보여 Preatorius의 조직학적 분류에 의한 석회화 치성낭 Type IB로 진단되었다. 병소의 적출 및 병소에 이환된 견치 발치를 시행하였다. 현재 염증 소견이 관찰되어 병소에 이환된 상악 좌측 제1소구치는 치수치료를 시행하였으며 환아 및 보호자가 포괄적인 교정 치료를 원하여 현재 공간 유지 장치를 장착 중이다.

  • PDF

Silorane-기질 치아 수복용 복합레진의 중합수축과 중합수축응력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Stress of Silorane-based Dental Restorative Composite)

  • 이인복;박성환;권현정;구자국;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182-18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silorane 기질의 치아 수복용 복합레진의 중합수축과 수축응력의 동력학을 평가하고 전통적인 methacrylate 기질의 복합레진과 비교하기 위함이다. 두 종의 methacrylate 기질의 복합레진(Z250, Z350 flowable)과 silorane 기질 복합레진(P90)이 사용되었다. 아르키메데스 원리를 응용해 자체 제작한 중합수축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광중합 중 일어나는 복합레진의 체적 중합수축을 측정하였고 스트레인게이지로 중합수축응력을 측정하였다. Silorane 기질 복합레진인 P90의 중합수축과 최대 중합수축률이 가장 낮았고 methacrylate 기질 복합레진인 Z350 flowable이 가장 높았다. Methacrylate 기질의 복합레진과 비교하여 silorane 기질의 복합레진 P90이 최대 수축률에 이른 시간은 더 길었고 중합수축응력은 낮았다.

복합레진 색상의 측정 기기에 따른 차이 (COLOR DIFFERENCE OF THE DENTAL COMPOSITES MEASURED BY DIFFERENT COLOR MEASURING INSTRUMENTS)

  • 박수정;노은영;조현구;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3호
    • /
    • pp.199-20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수광 방식을 사용하는 2종의 이동형과 고정형 spectrophotometer인 MiniScan XE plus (Model 4000S, Hunter Lab, USA)와 CM-3500d(Minolta, Japan), 그리고 다른 수광 방식을 사용하는 miniature VIS reflection spectrometer인 Specbos 2100(JETI Technische Instrumente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직경 15 mm, 두께 4 mm의 디스크로 제작한 광중합 복합레진의 색상을 측정하였다. Spcebos 2100은 분광 특성을 측정하는 기기이지만 주문에 의해 제조사에서 측색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였다. 3종의 측색 기기를 사용한 측색 결과를 분석한 결과 동일한 수광 방식, 광원 및 관찰자 각도를 적용한 2종의 기기 간에도 동일 색상에서 2.4-7.8까지의 색차(${\Delta}E^*$)를 보였으나, $L^*$, $a^*$, $b^*$ 값은 기기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서로 다른 수광 방식을 사용하는 기기 간에는 약 20 정도의 큰 색차(${\Delta}E^*$)를 보이며, 측정된 각 값 간에도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반투명의 치과용 수복 재료나 치아의 측색 시 측색 기기간에도 색차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기기에 대해 측정된 색상을 절대적인 색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상대적인 측정치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사료된다.

산(酸) 부식처리(腐蝕處理)된 치아표면(齒牙表面)에 대(對)한 복합(複合)레진의 침투(浸透)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NETRATION OF RESTORATIVE RESINS INTO ACID-ETCHED HUMAN ENAMEL)

  • 이승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5권1호
    • /
    • pp.7-12
    • /
    • 1979
  • After applying three types of composite resins - Hi-Pol composite with Enamel bond, Hi-Pol composite without Enamel bond, Restodent - to the intact and the ground surface of tooth that had been acid etched for one or two minutes, the author observed the penetration of these resins into the acid etched enamel surface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the experimented materials showed the penetration into the acid etched enamel surface, and the average depth of penetration was 7 microns.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netration of these three resins despite different etching, time. 3. The grinding of the Enamel surface before acid - etching was not effective in altering the depth of penetration of these materials.

  • PDF

금속성 치아충전물이 PET/CT영상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tallic Dental Implant o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Computed Tomography Image)

  • 김기진;배석환;한상현;유세종;이보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243-247
    • /
    • 2012
  • 금속성 치아충전물이 있을 때 PET/CT검사를 시행하면 CT영상에서 선속경화인공음영이 발생한다. CT영상에 발생되는 인공음영에 의해 PET영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두경부종양이 있는 환자가 치과용 충전물이 있을 경우 CT영상에서 발생하는 선속경화인공음영에 의해 PET영상 및 SUV값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금속성치아충전물에 의한 HU 값의 변화에 따른 SUV값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임상적용에 있어 적절성을 평가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1년 8월에 PET/CT검사를 실시한 환자 47명이었다. 분석을 위해 CT와 PET영상에 2개의 ROI를 그려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충전물이 있을 경우 HU값과 SUV값이 증가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 증가 정도는 금속성 치아충전물이 없는 환자의 경우보다 큰 변화는 아니었지만 두경부 종양이 있을 경우 암의 진단시 과대평가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따라서 임상에서 두경부 종양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PET/CT 검사를 시행할 경우 판독상의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여러 물리학적, 생물학적인 부분에 대하여 고려를 해야 할 것이다.

3종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한 실험용 복합레진의 미세누출도 (MICROLEAKAGE OF THE EXPERIMENTAL COMPOSITE RESIN WITH THREE COMPONENT PHOTOINITIATOR SYSTEMS)

  • 김지훈;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4호
    • /
    • pp.333-339
    • /
    • 2009
  • 현행 복합레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광중합개시제의 일종인 camphoroquinone은 중합 효과가 적고 황색을 띠기 때문에 다른 개시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개시제인 OPPI (p-octyloxy-phenyl-phenyl iodonium hexafluoroantimonate)를 기존의 camphoroquinone, amine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한 다음, barium glass를 첨가한 실험용 복합레진을 제조하여 각 수복재의 미세누출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총 4종의 단량체를 제조하였으며 camphoroquinone, OPPI, amine의 조성 중량비는 다음과 같다: A군 - 0.5%, 0%, 1% / B군 - 2%, 0.2%, 2% / C군 - 0.2%, 1%, 0.2% / D군 - 1%, 1%, 2%. 이후 평균 입자 크기 1 ${\mu}m$의 3.2% silane 처리된 barium glass를 중량비 78%로 섞어 복합레진을 제조하였다. 총 55개의 소구치에 치경부를 중심으로 원형 와동을 (직경; 근원심 폭경의 2/3, 깊이; 1.5 mm) 형성한 다음, 자가부식형 접착시스템인 Hybrid Bond로 처리하고 4종의 복합레진으로 수복하였다. 연마 후 치아를 섭씨 5도와 55도에서 각기 30초씩 담궈 500회의 열순환 처리하였으며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전기 전도성을 2회 (열순환 처리 후, 1주 간격으로 식염수를 교환하며 3개월 보관 후) 측정, 비교하였다. 미세누출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커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열순환 처리 직후 4종 복합레진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3개월 보관 후에는 D군이 가장 적었으며 C군이 가장 큰 미세누출을 보였다. 열순환 자극 직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3개월 보관 후 측정치로 미루어 볼 때, OPPI와 전반적인 중합시스템이 고농도로 함유된 복합레진(D군)과 CQ와 아민만을 사용한 전통적인 복합레진(A군)이 중합개시시스템을 저농도로 함유한 복합레진(C군)에 비해 우수한 밀폐효과를 보였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접착계면의 퇴화가 일어났거나 일부 성분이 용해가 되어 나온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 레진의 간헐적 광중합 방법이 중합 수축 속도와 치아의 교두 변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MITTENT POLYMERIZATION ON THE RATE OF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CUSPAL DEFLECTION IN COMPOSITE RESIN)

  • 김민경;박성호;서덕규;송윤정;이윤;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4호
    • /
    • pp.341-351
    • /
    • 2008
  • 지금까지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광중합형 복합 레진을 중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조사 강도, 시간을 조절하여 중합수축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간헐적 중합법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저자는 광중합 복합 레진을 간헐적으로 광중합시켜 기존의 연속 중합법과 비교하여 중합 수축의 속도를 측정하고 교두 변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복 재료는 2종의 광중합형 복합 레진으로 Heliomolar와 Pyramid이며, 중합 수축량을 측정하기 위해 자체 제작한 Linometer (R&B Inc., Daejon, Korea)을 사용하였고 광중합시 광조사 차단장치를 시편과 Linometer 사이에 위치시켜 각각의 서로 다른 중합 주기: (1) 연속 광중합 (60초간 계속 광조사); (2) 2초 광조사, 1초 광차단 (90초 시행), (3) 1초 광조사, 1초 광차단 (120초 시행), (4) 1초 광조사, 2초 광차단 (180초 시행)로 중합시켰다. 군 별로 조사된 총에너지량이 동일하도록 중합 시간을 조절하였고, 최종 중합 수축량을 측정하였으며 중합 수축의 최고속도 ($R_{max}$)와 최고속도를 나타낸 peak time (PT)을 계산하였다. 교두 변위의 측정을 위해서는 각 군별로 10개의 건전한 상악 소구치에 변형시킨 제2급 와동을 형성한 다음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고 일정량의 복합 레진을 충전한 후 치아를 자체 제작된 치아 변위 측정기 (R&B Inc., Daejon, Korea)에 위치시켜 교두 변위양을 알아보았다. 통계분석은 ANOVA test를 이용하여 군 간의 비교를 하였고, 재료간의 비교를 위해서는 t-test를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1) 선수축량은 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p > 0.05), Pyramid가 Heliomolar보다 중합 수축량이 컸다 (p < 0.05). Peak time은 Heliomolar와 Pyramid 레진 모두에서 간헐적 광중합시 더 늦게 나타났다. $R_{max}$는 Heliomolar는 4군 < 3군, 2군 < 1군 순이었고, Pyramid는 3군 < 4군 < 2군, 1군 순으로 측정되었다. 2) Heliomolar는 4군 < 3군 < 2, 1군 그리고 Pyramid는 4, 3군 < 2, 1군 순으로 교두 변위가 컸으며 (p < 0.05), Pyramid가 Heliomolar보다 교두 변위가 크게 나타났다 (p < 0.05). 이번 실험을 통해 복합 레진을 광조사 차단장치를 이용하여 간헐적 광중합시켜 중합수축 속도를 늦춤으로써 교두 변위 양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