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부지방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5초

복부 근막의 형태학적 정보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에서의 복부 근육 추출 및 측정 (Extraction and Measurements of Abdominal Muscles in Ultrasound Images Using Morphological Information of Abdominal Fasia)

  • 엄도성;이해정;신상호;김광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1호
    • /
    • pp.73-7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근육 영역의 명암 대비를 강조하기 위해서 Multiple 연산을 적용한 후, 명암 대비가 강조된 영상에서 수직 방향의 명암도가 200 이상인 픽셀들에 대해 퍼지 기법에 적용하여 이진화한다. 이진화된 영상에서 피부층과 외복사근 사이에 존재하는 피하지방을 추출하기 위해 Thick-Search 방법을 적용하여 피부층과 외복사근을 추출한 후, 피부층과 외복사근의 사이에 Up-Down Search 방법을 적용하여 피하지방층을 추출한다. 피하지방층이 추출된 영상에서 근막의 형태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근막을 추출한다. 추출된 근막 사이에 대해 Up-Down Search 방법을 적용하여 근육의 후보 영역을 추출한 후, 근육의 형태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근육 층을 추출한다. 추출된 근육의 경계선을 Monotone Cubic Hermite 보간법을 이용하여 근육의 경계선을 보정한 후,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근육의 두께를 측정한다. 제안된 방법을 복부 초음파 영상에 적용하여 근막 및 근육 영역을 추출한 결과, 기존의 근육 추출 방법보다 정확하게 추출되었고, 근육의 두께 측정 결과도 전문의가 육안으로 측정한 결과와 근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종합검진 후 지방간 환자의 복부 초음파 검사와 임상화학적 검사결과의 정확성 분석 (Analysis of the Accuracy about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Clinical Chemical Test with Fatty Liver Patients on the Medical Examination)

  • 김영재;송종남;김민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83-189
    • /
    • 2012
  • 초음파 검사는 복강내 장기를 검사하는 대표적인 영상의학검사의 한 분야이며. 혈액검사는 체내 이상 징후를 임상화학적으로 검사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지방간의 진단은 주로 복부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여 수행하며 두 검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단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 실시하는 혈액검사의 기준은 TBIL, TC, AST, ALT, ALP, GGT, TG, HDL-C, GLU의 값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영상에서 지방간 진단을 받은 환자의 혈액검사 정확성을 분석하여 두 종류의 검사간 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2년 1월부터 3월간 종합검진으로 복부초음파검사와 혈액검사를 동시에 받은 환자 1350명 중 초음파 검사상 지방간 판정을 받은 459명을 대상으로 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 결과가 동일한 경우는 459명 중 280명으로 약 60.8% 이며, 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의 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는 179명으로 39.2%로 밝혀져 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의 진단 정확도는 60.8% 이었다. 이는 지방간의 초음파 진단시 종사자의 주관적 능력이 병변의 진단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어 지속적인 초음파 임상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지방간의 감별진단을 위한 컴퓨터보조진단의 응용 (Application of Computer-Aided Diagnosis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Fatty Liver in Computed Tomography Image)

  • 박형후;이진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43-450
    • /
    • 2016
  • 본 연구는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지방간환자의 영상을 질감특징분석과 ROC curve 분석을 하였으며, 컴퓨터보조진단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실험적인 선형 연구로서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지방간의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진단 정보를 의사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정상 및 지방간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을 실험영상으로 하여 설정된 구역에 대한 wavelet 변환을 거쳐 질감의 특징값을 나타내는 6가지 파라미터로 통계적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엔트로피, 평균밝기, 왜곡도는 9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인식률을 보였고, 대조도, 평탄도, 균일도는 약 70% 정도로 비교적 낮은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ROC curve를 이용한 분석에서 6가지의 파라미터 모두 0.900(p=0.0001)이상을 나타내어 질환인식에 의미가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6가지 파라미터에서 질환 예측을 위한 cut-off 값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질환 자동검출 및 최종진단의 예비 진단 자료로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당뇨 유·무에 따른 VO2peak가 복부둘레, 혈중지질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bdominal Circumference, Blood Lipids and Blood Pressure according to Diabetes with VO2peak)

  • 남상남;박정범;이형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63-371
    • /
    • 2012
  • 본 연구는 당뇨환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VO_2peak$가 복부둘레, 혈중지질 및 혈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당뇨환자인 경우 $VO_2peak$와 복부둘레에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인의 $VO_2peak$와 이완기혈압에서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당뇨환자의 복부둘레에서 $VO_2peak$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인의 이완기 혈압에서 $VO_2peak$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 복부둘레, $VO_2peak$,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압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소능력($VO_2peak$) 지표들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당뇨 환자들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산소능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을 실시하는 것 역시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낮추기 위한 좋은 방안이라고 사료된다.

심장외막의 지방두께에 따른 대사질환의 위험도 분석 - 무증상의 검진목적으로 내원한 대상자를 위주로 (Risk Analysis of Factors for Metabolic Diseases according to the Epicaridal Adipose Tissue Thickness - which Focused on the Presented Subjects with Asymptomatic Screening Purposes)

  • 김선화;김정훈;김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76-483
    • /
    • 2016
  • 심장외막지방(epicardial adipose tissue, EAT)은 여러 호르몬을 분비하는 대사활성 내분비 기관으로 지방의 두께증가는 심혈관질환이나 대사질환의 위험인자이다. 본 연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대상군의 심장외막 지방두께와 복부피하지방두께를 측정한 후 일반적 특성 및 혈액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대사질환의 예측을 위한 지방두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심장외막지방두께의 평균은 각 단면도에서 각각 8.890mm, 4.783mm, 4.777mm, 6.147mm로 측정되었다. 각 단면에서 심장외막지방두께평균과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에서는 나이, BMI, 수축기혈압, LDH, LDL, TC가 양의 상관관계(p<0.05)를 나타냈다. 특히 대사질환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대상자에 비하여 심장외막지방두께 및 복부피하지방의 두께가 유의(p<0.05)하게 높게 나타났다. EAT1에서 측정한 심장외막지방 두께 8.950 mm에서 대사질환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민감도 66.7 %, 특이도 80 %를 보여 가장 신뢰성 있는 cut off value를 나타냈다.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대두 부산물인 순물과 침지수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By-Product from Soybean on Mouse Fed a High Fat Diet)

  • 박영미;임재환;서을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8-177
    • /
    • 2015
  • 본 연구는 대두 부산물인 순물과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지방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침지수가 포함된 일반 사료를 섭이한 실험군의 체중 및 간과 부고환 지방 조직 내 지방 축적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부 내 내장 지방과 피하지방도 크게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침지수는 체내 축적된 지방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수 식이군의 혈중 AST와 ALT의 활성은 대조군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과 중성 지질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로 인한 혈중 효소 활성과 지질농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침지수는 metabolic sensor 단백질인 AMPK와 ACC의 인산화를 촉진시켜 체내 지방산 산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침지수는 복부 내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두 부산물 중 침지수는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혈중 지질 함량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체내 조직의 지방 축적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쌀의 tocol 획분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 한송이;하태열;김성란;김인환;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5.2-22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현미로부터 tocoles 획분을 분리하여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SD계 숫컷 5주령을 구입하여 정상군, 대조군 (1% cholesterol), rice oil 첨가군, tocoles 첨가군의 4군으로 나누어 AIN-76 diet 조성에 의거하여 식이를 조제하여 4주 동안 섭취시켰다. 실험기간이 끝난 후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고 각 조직을 적출하여 간, 신장, 비장 및 부고환지방 조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혈청 lipid profile과 TBARS 함량 및 ALT, AST 및 ALP 활성을 분석하였고 간장중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및 TBARS 함량과 G6PDH 및 malic enzyme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장 및 부고환지방의 무게가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tocoles 첨가군은 정상군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내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 조직 내 지질함량은 대조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tocoles 군에서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및 총 지방의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혈청과 간장 조직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초음파상 지방간과 혈액학적 검사 및 체지방률과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of Sonographic Finding of Fatty Liver with Hematologic Examination and Body Fat Percentage)

  • 천해경;이태용;김영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4호
    • /
    • pp.437-444
    • /
    • 2009
  • 최근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질병의 예방 및 진단에 건강검진의 기본적인 검사로 복부 초음파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평소에 특별한 자각증상이 없는 사람들도 많은 질환을 발견하게 되는데, 그 중 지방간은 초음파 검사에서 많이 진단되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개 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15~81세의 검진자 3,58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복부초음파를 이용해서 지방간을 정상간, 경증지방간, 중등증 지방간, 중증지방간으로 분류하였고, 혈액학적지질검사, 비만도 측정을 위한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 측정, 일반적인 특성으로 일상생활습관과의 관련성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성별에 따른 지방간의 유병률은 38.8%(남자 46.2%, 여자 24.2%)로 남자가 여자 보다 높고, 지방간과 혈액학적 지질과의 위험도는 중성지방이 5.00배, 콜레스테롤이 2.70배, HDL이 2.62배, LDL은 2.27배의 순이었다.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률과의 위험도는 체질량지수 7.28배, 체지방률 3.16배순이고, 육식주의자와, 음주군이 위험도가 높았으며, 지방간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중성지방, HDL, LDL, GGT, 성별이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실시한 복부 초음파결과 중에서 지방간 소견을 보이고 그 외에도 다른 유소견의 발견이 가능함을 볼 수 있었다. 지방간은 여러 다른 임상증상과 함께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액학적인 검사에서 지질 등의 관계를 살펴볼 때 검사에 이상이 있을 경우나 비만, 체지방률, 식습관, 음주, 운동과의 상관관계 등을 보면서 초음파 검사로 추적검사를 시행할 때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피기주요법과 전기지방분해침이 복부지방에 미치는 임상적 관찰 (The Clinical Observation on Abdominal Fat when Carboxytherapy and Electroacupuncture were Practiced)

  • 안순선;허동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75-287
    • /
    • 2009
  • Objectives : In order to observe clinical effects, carboxytherapy and electroacupuncture, we analyzed relation effect and patients' character, and researched correlation among reduction of BFM(Body Fat Mass), WHR(Waist-Hip Ratio) and AC(Arm Circumference). Methods : Among outpatients who had admitted to departmen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Dae-Jeon oriental medicine hospital, Dae-Jeon university from January to September, 2008 for obesity treatment and abdominal fat, 44 subjects were chosen and carboxytherapy and electroacupuncture were practiced concurrently. Results : 1. The group under the concurrent practice of carboxytherapy and electroacupuncture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BFM, BFR(Body Fat Rate), WHR and AC. 2. The group under the concurrent practice of carboxytherapy and electroacupuncture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showed decrease in BFM, WHR. The degree of decrease was proportional to that of obesity. 3. As AC decreased, BFM, WHR reduction tended to increase as well in the group under the concurrent practice of carboxytherapy and electroacupuncture. 4. Compared to the group under the sole practice of electroacupuncture, the group under the concurrent practice of carboxytherapy and electroacupuncture showed less change in BFM reduction and greater change in WHR reduction. Conclusions : From the above results, the concurrent practice of carboxytherapy and electroacupuncture had an effect on obesity and reducing abdominal fat, bu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compare to the sole practice of electroacupun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