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Abdominal Circumference, Blood Lipids and Blood Pressure according to Diabetes with VO2peak

당뇨 유·무에 따른 VO2peak가 복부둘레, 혈중지질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 남상남 (한양대학교 생활스포츠학과) ;
  • 박정범 (한양대학교 생활스포츠학과) ;
  • 이형주 (한양대학교 생활스포츠학과)
  • Received : 2012.10.24
  • Accepted : 2012.12.10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know about how $VO_2peak$ effects on Abdominal circumference, Blood lipids and blood presure with diabetes patients. After that, we have reached the final decision. in terms of the patients, there is significant indication that Abdominal circumference and HDL-cholesterol are related to $VO_2peak$. And Non-patients and $VO_2peak$ are related to each other though. $VO_2peak$ of the patients significantly effects on Abdominal circumference. Also, $VO_2peak$ of Nom-patients are same in aspect of Diastolic blood pressure As for Abdominal circumference, $VO_2peak$,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Triglyceride, blood pressure, they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to each other For These reasons, we have suggested that $VO_2peak$ seems to be possible to be handled by monitoring index for dangerous factors. Futhermore, exercise is really regarded as the best way of improving Cardiopulmonary capacity.

본 연구는 당뇨환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VO_2peak$가 복부둘레, 혈중지질 및 혈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당뇨환자인 경우 $VO_2peak$와 복부둘레에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인의 $VO_2peak$와 이완기혈압에서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당뇨환자의 복부둘레에서 $VO_2peak$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인의 이완기 혈압에서 $VO_2peak$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 복부둘레, $VO_2peak$,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압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소능력($VO_2peak$) 지표들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당뇨 환자들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산소능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을 실시하는 것 역시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낮추기 위한 좋은 방안이라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학, 고려의학, 2011.
  2.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Diabetes Facts Sheets," Vol.20, 2011.
  3. 보건복지부,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2010.
  4. W. B. Kannel and D. L. McGee, "Diabetes and cardiova scular disease," The Framingham study. J AM Med Assoc, Vol.247, pp.2035-2038, 1979.
  5. T. Stargardt, D. D. Yin, and C. M. Alexander, "Treat ment choice and effectiveness of adding sulph onyllurea or glitazones to metformin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es ObesMetab, Vol.11, No.5, pp.491-497, 2009.
  6. A. H. Kissebah, N. Uydelingum, R. Murray, D. J. Evans, A. J. Hartz, R. K. Kalkhoff, and P. W. Adams, "Rel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to metabolic complication to obesity," J Clin Endoclinol Metab, Vol.54, pp.254-260, 1982. https://doi.org/10.1210/jcem-54-2-254
  7. 정일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자발적 보행활동량이 대사증후군지표 및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8. 박선남, 중년 여성의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 효과 비교 연구. 운동, 식사, 마사지 용법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9. K. G. M. M. Alberti and F. A. Gries, "Management of NIDDM in Europe: a consensus view," Diabetes Medicine, Vol.5, pp.275-281, 1988. https://doi.org/10.1111/j.1464-5491.1988.tb00984.x
  10.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Role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acrovascular Disease in Diabetes," Diabetes care, Vol.12, pp.573-579, 1997.
  11. J. Bergeron, C. Charles, P. D. Jean, G. Jacques, S. Arthur, D. C. Leon, J. S. Rao, J. Skinner, H. Willmore, and B. Claude, "Race differences in the response of postheparin plasma lipoprotein lipase and hepatic lipase activities to endurance exercise training in men; results from the HERITAGE Family Study," Atheroscler osis, Vol.159, pp.399-406, 2001. https://doi.org/10.1016/S0021-9150(01)00515-9
  12. 김수연, 이재호, 김하늘, 김동규, 나영, 김길선, 김미경, 백기현, 강무일, 이광우, 송기호, "당뇨병 환자의 우울증과 자가 관리", 대한당뇨병학회지, 제33권, pp.432-438, 2009. https://doi.org/10.4093/kdj.2009.33.5.432
  13. 김선희, 비만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1.
  14. 보건복지부, "2007년 보건복지통계연보" 2007.
  15. 지용석, 임상운동처방, 21세기교육사, pp.160-168, 2004.
  16. 박보라, 고주파 복부관리 시 족욕 병행이 복부 비만 감소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17. M. I. Goran and R. L. Weinsier, "Role of environmental vs. metabolic factors in the etiology go obesity-Time to focus on the environment," Obesity Research, Vol.8, No.5, pp.407-409, 2000. https://doi.org/10.1038/oby.2000.50
  18. 송영득, "알기쉬운 운동처방," 제 4회 당뇨병의 오늘과 내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pp.15-28, 1988.
  19. Krothiewski,et m, Bjorntorp, Smith u, lonroty P, "Impact of obesity of regional depose tissue distribution," J clin Invest, pp.1150-1162, 1983.
  20. 삼성 서울병원, "당뇨병과 함께 -즐거운 인생을-," pp.85-109, 1997.
  21. S. K. Gan, A. D. Kriketos, and B. A. Ellis, C. H. Thompson, E. W. Kraegen, and D. J. Chisholm, "Changes in aerobic capacity and visceral fat but not myocyte lipid levels predict increased insulin action after exercise in overweight and obesemen," DiabetesCare, Vol.26, No.6, pp.1706-1713, 2003.
  22. E. S. Horton,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NIDDM(Applications for GDM), Diabets Vol.40, No.2, pp.175-178, 1991. https://doi.org/10.2337/diab.40.2.S175
  23. 세브란스 병원 당뇨병 센터, 당뇨병, 도서출판 의학출판사, pp.69-75, 1998
  24. J. H. Wilmore, P. R. Stanforth, and J. Gagnon, T. Rice, S. Mandel, A. S. Leon, D. C. Rao, J. S. Skinner, C. Bouchard, "Cardiac output and stroke volume changes with endurance training: The heritage family study," Med. Sci. Spo. Exe Vol.33, pp.99-106, 2001.
  25. 대한 당뇨병 학회, 당뇨병의 진료지침서 제2판, 도서출판 의학출판사, 1995.
  26. 유명애, 운동과 아로마 병행요법이 중년비만여성의 복부지방, 체지방률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7. 강성구, 김호준, 최재원, "비만증의 원인과 식이 및 운동처방 프로그램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체육과학학회지, 제1권, 제15호, pp.273-289, 2001.
  28. B. S. Jonas and J. F. Lando "Negative affect as aprospective risk factor for hypertension," Psychosom Med, Vol.62, pp.188-196, 2000. https://doi.org/10.1097/00006842-200003000-00006
  29. 윤은선, 정수진, 정솔지, 노동인, 제세영, "저항성 운동이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의 24시간 활동성 혈압에 미치는 효과", 운동과학, 제19권, 제2호, pp.143-154, 2010.
  30. ACSM, "ACSM's resource manual for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4th Ed Williams & Wikins," Vol. 287, 2001.
  31.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Vol.106, pp.3413-3421, 2002.
  32. C. M. Tipton, "Exercise, training and hypertension : an update," Exerc Sports Sic Rev, Vol.19, pp.447-505, 1991.
  33. L. S. Pascatello, B. A. Franklin, and R. Fagard, W. B. Farquhar, G. A. Kelley, C. A. Ray, "For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Exercise and hypertension," Med. Sci Sports Exerc, Vol.36, pp.533-553, 2004. https://doi.org/10.1249/01.MSS.0000115224.88514.3A
  34. A. F. Kirk, N. Mutrie, P. D. Mac-Intyre, and B. M. Fisher,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Vol.26, pp.1186-1192, 2003. https://doi.org/10.2337/diacare.26.4.1186
  35. 조형석, 걷기운동이 공복혈당장애 및 제 2형 당뇨 노인의 혈중 당대사 지표와 지질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6. 지용석, 이지현, 이중철, 김주희, 이현희, 김성수 "규칙적인 운동이 제 2형 당뇨병 노인여성의 혈당, 혈중지질 수준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2, pp.733-747,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