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고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1초

21세기로의 전환기에 표현된 패션의 미학적 특성(제2보) -정량분석을 중심으로-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21s1 Century(Part II) -Quantitative Study-)

  • 이봉덕;양숙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8-87
    • /
    • 2003
  •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regarding five dominant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21s1 century, subsequent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85% of the clothes analyzed showed these five characteristics. Secondly, among the five characteristics, the new-naturalism shows the most significant trend and neo-retro was also found as one of the leading features along with the new-naturalism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21 st century. However, the frequency of technicism is less than was expected. Thirdly,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fash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ashion designers and seasonal changes show that new-naturalism, neo-retro and hybrid spread relatively evenly among each designer. The quantitative study confin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qualitative study.

21세기로의 전환기에 표현된 패션의 미학적 특성(제1보) : 정성분석을 중심으로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21st century(Part I) : Qualitative study)

  • 이봉덕;양숙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649-1659
    • /
    • 2002
  • It is anticipated that, in the 21st century, aesthetic sense will be altered radically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value systems and ethical standards.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new aesthetic senses and identities have already emerged and exerted influence to the society, arts and fashion tre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21st century. This study employed the qualitative analysis and the mai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21st transitional period were found as hybrid, technicism, neo-retro, new naturalism, and multi-nationalism. The transitional fashion in the 21s1 century mirrors the post-modern trends with diversity and indeterminacy as the basis of changes. It is expected that this pattern will continue to extend persistent and dominant influence to the future fashion industry. In the subsequent study, quantitative analysis wi]1 be conducted to verif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alyzed in this study.

Retro(복고) 콘텐츠 트렌드(Trend)를 통해 살펴본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연구: <응답하라 1994>를 중심으로 (User's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the Retro Content Trend: A Case Study on the Answer me 1994)

  • 신동희;김태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23-134
    • /
    • 2014
  • 최근 문화콘텐츠의 최고 화두는 복고이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스마트미디어 환경은 콘텐츠 시장에 다양성과 창의성이라는 혜택과 과제를 동시에 던져주고 있다. 최근 레트로 문화는 '응답하라' 시리즈물을 통하여 폭발적으로 확장되었으며 '응답하라'시리즈물의 성공은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콘텐츠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응답하라 1994>신드롬을 통하여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이해하고 레트로 콘텐츠가 단순한 과거회상의 역할을 넘어 어떻게 현재에 재서사화 되어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이끌어 내는지 고찰한다. <응답하라 1994>를 통한 시청자들의 감성적 경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5가지 감성적 경험 요인들은 시청자와 레트로 콘텐츠 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청자 만족, 레트로 콘텐츠에 대한 신뢰, 레트로 콘텐츠 애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영향력은 음악적 감성경험, 아이템 감성경험, 감각적 경험, 스토리적 감성경험의 순으로 나타났고, 레트로 콘텐츠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적 경험의 요인별 영향력은 음악적 감성경험, 감각적 경험, 스토리적 감성경험, 그리고 아이템 감성경험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등장배우로 인한 감성적 경험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지 못했다. 레트로 콘텐츠 애착에 미치는 감성적 경험의 차원별 영향력은 음악적 감성경험, 아이템 감성경험, 등장배우로 인한 감성경험, 감각적 경험, 스토리적 감성경험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레트로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의미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감성적 경험에 기반을 둔 문화 콘텐츠의 생산 및 확산이 미디어 콘텐츠 생태계 형성 및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레트로 디자인 동향 고찰 -자동차 스타일을 중심으로- (A Study of Retro Design Trend -Focusing on Automobile Style-)

  • 이명기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95-103
    • /
    • 2000
  •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구조와 생활환경 안에서 다양해진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제품이 갖는 독특한 캐릭터를 창출하기 위해서, 현대의 디자이너들은 보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시도해야만 하게 되었다. 지난 20세기는 기술의 획기적인 진보와 더불어 산업화로 인한 다양한 측면에서 디자인의 성장이 이루어졌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그 의미와 스타일이 각기 다른 양상으로 변화되어 왔다. 과거에 유행했던 디자인과 스타일을 차용하여 현대적 의미와 개념의 디자인으로 재창조하는 레트로(Retro) 디자인이 최근의 디자인 트렌드로 확산 적용되고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복고적 스타일의 현상은 다양한 분야에서 과거를 회상하게 하는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으며 새로운 감각으로 또 다른 가치로 인정받고 있다. 제품디자인 측면에서 가장 대표격인 자동차 디자인은 지난 100여 년 간의 스타일의 변천사에 있어서 시대적 사회·문화적인 변화와 기술의 진보에 의하여, 점차 다른 형태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디자인이 끊임없이 시도되어 왔다. 최근의 자동차 스타일의 흐름은 첨단과학기술의 비약적인 성장으로 인해, 그 스타일의 변화가 빠르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과거의 디자인을 재 도입하는 레트로 스타일이 새로운 트렌드로 관심을 끌고 있다. 자동차디자인에 있어서 복고적 스타일의 의미는 트렌드 이전의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고 인간성 회복이라는 또 다른 차원에서, 과거의 문화와 자신과의 연결을 회복하는 의미에서 현대적 감각으로 재창조되어, 향후 미래 디자인 영역을 확장시킬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디자인 트렌드로 발전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의고악부(擬古樂府) 창작에 미친 명대(明代) 문학론(文學論)의 영향 - 「한요가(漢鐃歌)」 18곡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theory of the Ming Dynasty in Sangchon(象村) Shin-Heum(申欽)'s Uigoakbu(擬古樂府) - Focused on 「Han-Yoga (漢鐃歌)」 18 songs)

  • 정용건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59-89
    • /
    • 2018
  • 본고는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의고악부(擬古樂府)가 조선 중기 명대(明代) 복고주의(復古主義) 문학론 수용의 맥락 하에서 창작되었음을 확인하고, "한요가" 18곡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후칠자(前後七子)가 주창한 의고적 방법론이 구체적인 작품 구현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던 정황을 살펴보았다. 주지하다시피 우리나라에서 악부는 역대 여러 문인들에 의해 다양한 형식과 내용으로 지어져 왔다. 그중에서도 신흠은 여타 인물과 비교해볼 때 유례없이 많은 수의 의고악부를 창작하였으며, 이전까지 이루어진 바 없었던 "한요가" 18곡 전체에 대한 의작까지 수행하였다. 그의 이와 같은 정력적인 의작 활동은 무엇보다도 조선 중기에 소개된 명대 문예 사조에 대한 깊은 관심에 기인한 것이었다. 그는 명대 전후칠자가 제기한 복고적 문학론에 공감을 표하며, 모의(模擬)의 방법을 통해 질박하고 진솔한 감정을 담지하고 있던 옛 한위(漢魏) 시기의 문학을 자신의 시대에 재현해 내고자 하였다. 이에 그는 표현 뿐 아니라 내용 및 주제의식에 이르기까지 전후칠자의 의고악부를 참조 활용하여 자신의 작품을 구성해 냈다. 이와 같은 면모는 그간 충분한 관심 속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신흠 의고악부의 창작 동기와 존재 양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근거가 됨은 물론, 전후칠자의 문학적 지향과 그들의 '모의'라는 방법론이 당대 조선 문인에게 유의미한 대상으로 인식 수용되고 있던 정황을 확인케 하는 하나의 사례가 된다.

조선 지성인들의 '고금(古今)' 인식과 역사변동 - 학파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 (Joseon Intellectuals' Awareness in 'Gǔ(古) and Jīn(今)' and Historical Changes - Focusing on distinctions between different schools)

  • 최영성
    • 한국철학논집
    • /
    • 제54호
    • /
    • pp.43-75
    • /
    • 2017
  • 이 글은 조선시대 지성인들이 고(古)와 금(今)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였으며, 그 결과 역사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고찰하였다. 학파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거시적 차원에서 조망을 한 것이다. '고'와 '금'에 대한 이해는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학술과 예술, 나아가 정치 등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학자에 따라, 학파에 따라 고 금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면서 전통과 창조, 보수와 진보, 이상과 현실의 문제가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또 그런 논의가 역사적으로 정치와 사회를 바꾸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조선시대는 전반적으로 '고'를 중시하는 문화 전통이 뿌리를 내렸다. 그러는 가운데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금(今)'이나 '신(新)'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었다. 현실이 혼란하거나 타락하였다고 판단될 때에는 근본으로 되돌아 가자는 복고(復古)를 기치로 내걸기도 하였다. 고와 금에 대한 인식이 사회를 바꾸는 원동력이 되었다. 다만 '고'를 버려둔 채 '금'을 말하거나 '신' 을 외치는 경우는 없었다. '고'를 비판한 경우도 고에 얽매인 것을 비판한 것이지 '고' 자체를 겨냥한 것은 아니었다. '금'은 사실상 '고'의 종속 변수였다. '고'를 보수, '금'을 진보라고 보는 것은 이분법적인 인식이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코르셋 룩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orsets in Modern Fashion)

  • 김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5호
    • /
    • pp.924-93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corsets that represent an undergarment that later became a popular outerwear. It discusses its forms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to help create a unique fashion design and its execution.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works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and the materials for the literatures and exploratory study are fashion-related portfolios and the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magaz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andard look of corsets in modern fashion can be classified into styles of glamour, revival, and dismantle. The materials used vary from traditional fabrics such as satin or lace to newly developed materials such as metal or glass. Its presentation can also differ in that it may be used as an accessory with additional details, as an outerwear, as an extra decorative layer, or as a revealing innerwear by open outerwear. Characteristics of these various looks of corsets are; first, it redefines the revival of the traditional corsets through introduction of its historic elements and its compromise. Second, glamorous and feminine images are maximized through drastic and direct exposure by using tight lacing, a waist nipper or garter belts that emphasize a woman's curve. Third, it represents borderless dismantlement through experimental and irregular images using unconventional materials, new execution techniques, or alteration from the standard forms.

  • PDF

레트로 로맨틱 패션의 시각적 평가 (Visual Evaluation of Retro-Romantic Fashion)

  • 조말희;이명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3호
    • /
    • pp.523-53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dimensions of the visual evaluation of the costume details of the retro romantic fashion and to research on the costume details and the visual evaluation by evaluators' gender, age, and major, and on their preferences. Quant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Based on the pictures, 10 costume detail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questions and data were collected. All 446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ere college students(males and females) residing in or near Seoul. Data were collected in September,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which included: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reliability analysis, three-way ANOVA, two-way ANOVA,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and the t-test. The results of visual evaluation of retro romantic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costume detail evaluation, five factors including attractiveness, decorativeness, cuteness, retro, and femininity surfaced. Secon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women rated decorative, cute, retro, and feminine characteristics higher than men did.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in attractiveness and femininity depending on costume details and evaluators' gender. Fourth, subjects majoring in fashion valued attractiveness and femininity of the stimulus over non-fashion majoring subject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of costume details depending on gender.

  • PDF

가상공간 게임에 나타난 사이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On the Formative Feature Characteristics of Cyber Character's Fashion in the Cyber-space Game)

  • 서정립;진경옥
    • 복식
    • /
    • 제54권3호
    • /
    • pp.99-11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cyber environment and the contemporary fashion design by studying the formative feature characteristics of cyber character's fashion in the on-line game from the point of the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research method is to understand the general concept of the cyber-space and characters and then is to contemplate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features of game character's fashion of the cyber-space mainly with cyber characters that were closely linked with features of the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s a result, the formative feature of game character's fashion of the cyber-space was to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reactionism, mechanism, futurism, sensualism. First, reactionism takes traditional elements with symbolical and compromising form. Second, mechanism has a tendency of deconstruction due to its vitality and sense of velocity for objects through employing geometrical forms and new materials. Third, futurism deviates from the established framework. It makes use of high-tech materials and has surrealistic and futuristic features. Fourth, sensualism does emphasize sensual parts of the body and intends to convey aesthetic atmosphere through association of ideas. Character's fashion of the cyber on-line game is unnatural and artificial in its forms and wear for the lack of knowledge for costume's structure, and it shows just simplified design that accept extremely partial fragment of features in the contemporary fashion design.

Post-modern 복식의 복고성에 관한 연구-Baroque 복식의 loop와 tassel을 중심으로-

  • 정흥숙
    • 복식
    • /
    • 제25권
    • /
    • pp.71-8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rmative costume of Baroque style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loop and tassel which are the main factors of decoration in the Post-modern clothing in point of the characteristic of retro.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studies about the concepts of Post-modernism and aesthetic sphere o Baroque style were preceeded. Especially the parody which is concept that is the most influencing to the contemporary art, architecture, and costume. It is the identity of the parody that is being understood smoothly the creation and the imi-tation which is contrasted each other. The parody is urging the purpose rather than the essence and the recreation rather than the originality of the original works. The synthetic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requent usage of loop and tassel which was expressed in the first half of 1990's in the modern clothing influenced the aes-thetic will of aspiration about the past. 2. The characteristic of retro to the tra-ditional form constitutes a base of spiritual thinking of Post-modernism which has been expressed in 1970's afterwards. The peculiarity about the great change in the traditional concept of artistic creation in the Post-modern clothing is the very extention of a range of application about the retro in which it becomes the essence or the oppor-tunity in artistic cre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