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전시스템

Search Result 54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Environmental Economic Inducement Policies Affecting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Enterprises (기업의 환경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경제 유인정책)

  • Kim Do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06a
    • /
    • pp.324-326
    • /
    • 2004
  • 20세기 말까지만 해도 경제발전은 자원고갈과 자연환경파괴를 통한 대량생산 및 대량소비를 전제로 하여 이루어 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세계의 자연환경은 급속히 훼손되었으며, 환경오염은 이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 같은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지난 1980년대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경영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무엇보다도 자연환경 의 보존을 요구하는 사회적 압력은 기업으로 하여금 환경경영 의 필요성을 깨닫게 하였다. 환경 경영이란 기업들이 새로운 비교 우위를 창출하기 위하여 경 영 방식의 혁신에 있어서 자연환경을 초점으로 삼는 것이다. 환경경영이란 환경보전을 요구하는 이해 관계자들로부터의 요구에 기업이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한경보호와 경영성과를 동시에 달성하는 종합적인 경영을 의미한다. 환경경영은 이업의 전 활동에 걸친 전사적인 전략적 차원의 활동으로 기업경영이 어느 한 기능분야에 국한된 개념이 아니다. 궁극적으로 환경보호와 성장의 조화라는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해 기업의 생산, 재무, 인사조직, 마케팅, 회계정보시스템등의 활동이 모두 통합되어야 할 것이다. (김종대, 이의훈:2003) 최근 들어 환경경영이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의 경우 기업의 가치가 대체적으로 정확하게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의 경우 기업의 가치가 대체적으로 정확하게 주가에 반영되고 있어 우리기업들이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환경경영과 기업가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수한 환경경영을 실천하고 있는 기업의 주식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펀드의 수익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환경경영의 중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우선적으로 기업의 환경경영에 기본이 되는 중요한 환경경제 유인정 책과 규제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학적 합성이 아주 까다로운 약제물질 등을 천연상태에서 합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식물은 lipoxygenase 효소계가 있어서 마치 천연물 석유제조공장과 같은 제조공정 capacity를 가지고 있다. 그러면 식물/식품 GMO는 안전한 것인가? 아니, KBS의 한 사회자가 말했듯이, 그리고 많은 소비자들이 믿는 것처럼 GMO는 위험한가? GMO에 대한 일반 사람들의 공포감은 Green Peace 당원들뿐만 아니라 일부 과학자들에 의해서도 조장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GMO에 의한 제2 녹색혁명은 Africa 대륙에서의 제1 녹색혁명이 지금도 지연되는 것과 같다고도 볼 수 있다. GMO의 환경에 대한 악영향은 과대 선전되어있는 것이 아닌가? 마치 GMO가 화학비료, 농약제보다 더 위험하다고 믿는 사람들도 많다. 나는 이러한 GMO 공포증이 과학적으로 그리고 "Risk Assessment"의 견지에서 볼 때 그 근거가 희박하다고 보여주는 몇 몇 실험 및 경험 사실들을 인용하려 한다. 그리고 올바른 Risk Assessment야 말로 한국의 21세기 BT 산업을 경쟁력 있게 하고 국민 년 소득 2만불 달성에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은 농토가 적고 천연자원이 빈약하다. GMO는 21세기의 생존 경쟁 산업이다. 제2의 녹색혁명은 얼마든지 가능하며, 한국은 부족한 농토와 빈약한 자원에도 불구하고 능력 있는 인적자원이 풍부하여 GMO 개발 연구에 국제적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 그러나 GMO에 대한 논쟁만 하고 있으면 이미 때가 늦는다. 미국은 이미 GMO-BT 시장을 거의 완전 독점했으며, 타국에서의 논쟁과 불합리적으로 엄격한 GMO 관련 규정을 조장하고 환영한다.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 saponin 성분들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

  • PDF

How can the development of neighbourhood renewal strategies in Malaysia be informed by best practice and transferable lessons from developed countries (선진국 도시재생 사례비교를 통한 말레이시아 주거재생 전략의 모색)

  • Tin, Wan Jiun;Lee, Seok-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4
    • /
    • pp.469-486
    • /
    • 2017
  • Economy-based urban redevelopment is the main priority in Malaysia, but has resulted in social problems such as gentrification, loss of heritage and identity, inequity, etc. Hence, it is crucial for the government to seek other alternatives rather than being solely reliant on urban redevelopment. Neighborhood renewal is a strategy involving the integration of redevelopment, rehabilitation, revitalization and preservation that aims to improve deprived areas using a more holistic approach.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neighborhood renewal polici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to identify those elements that can be adopted in Malaysia. This study is conducted via a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neighborhood renewal which integrates people-based, place-based and system-based policie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versity, thereby aiming for resource optimization, community engagement and urban governance with the focal point of the fair, equity and systematic provision of resources. This paper concluded that neighborhood renewal in Malaysia should be initiated by locals with an emphasis on real local participation and a sustainable funding system.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should be observers rather than implementers.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olmacheon Catchment 2018 (2018년 설마천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49-353
    • /
    • 2019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이고 하천경사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하여 홍수 관리에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홍수기간의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는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최근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심한 홍수, 가뭄 등 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재해 방재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 대하천의 경우에는 비교적 수재해 방재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하천(일부 중하천 포함)의 경우에는 취약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홍수기간(7월~9월)의 인명과 재산의 피해는 주로 소하천 위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사전 사후의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수재해 방재관리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수문자료의 획득에 있으며, 그 이후 해당유역에 적합한 수재해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과 방재시스템 개발 운영이 수반되어야 안전한 방재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재해 방재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 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 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설마천 시험유역(유역면적 $8.48km^2$, 유로경사 2.15%,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8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우특성, 유출특성, 증발산량과 지하수 함양량 산정 등 수문특성을 분석하였으며, 2017년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우특성 분석으로는 호우사상 분리, 주요 호우사상 분석,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시간분포 등이 있다. 2018년은 2017년보다 최대 강우지속기간은 작게, 평균 강우지속기간은 크게 나타나며, 최대 강우강도와 평균 강우강도도 크게 나타나는 호우의 특징을 보인다. 2018년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의 경우 지속기간 1시간까지는 2017년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나 그 이후는 많은 강우량을 보인다. 2018년의 하천유출률은 58.1%로 2017년 연간 유출률인 64.8% 보다는 적은 유출률을 보인다. 이의 원인으로는 연간 총강우량은 2017년보다 397.9mm 많으나 2018년의 7월~8월 집중호우기간의 강우량이 2017년 7월~8월 강우량보다 적어 하천유출에 적게 기여한 결과로 판단된다. 2018년의 증발산량(555.8mm)과 지하수 함양량(32.0mm)은 2017년의 증발산량(328.8mm)과 지하수 함양량(24.8mm)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산정된 수문자료는 수재해 방재와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수재해 방재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of real-time program correcting error in radar polarimetric variables (실시간 레이더 편파변수 오차 보정 프로그램 개발)

  • Yoon, Jungsoo;Hwang, Seok-Hwan;Kang, Narae;Lee, Dong-Ryul;Lee, Keo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2
    • /
    • pp.1329-1338
    • /
    • 2021
  • Rain radar provides high spatio-temporal radar rainfall that can be used as input data to short-term precipitation forecasting models.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has developed a flash flood forecasting system that is providing flash flood forecasting based on short-term rainfall forecasts estimated by the radar rainfall. Accuracy of the radar rainfall as well as the short-term rainfall forecasts, however, can deteriorate when radar polarimetric variables have error. In this study, we develope real-time program that can correct the error inherent in the radar polarimetric variables. First, effect according to the correction of the error was verified using 363 rainfall events on non real-time. The accuracy (1-NE) of the radar rainfall was approximately 70%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r than 0.8 after correcting the error on non real-time. The accuracy (1-NE) using the real-time program was also approximately 70% after correcting the error.

Estimation of reflectivity-rainfall relationship parameters and uncertainty assessment for high resolution rainfall information (고해상도 강수정보 생산을 위한 레이더 반사도-강수량 관계식 매개변수 보정 및 불확실성 평가)

  • Kim, Tae-Jeong;Kim, Jang-Gyeong;Kim, Jin-Guk;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5
    • /
    • pp.321-334
    • /
    • 2021
  • A fixed reflectivity-rainfall relationship approach, such as the Marshall-Palmer relationship, for an entire year and different seasons, can be problematic in cases where the relationship varies spatially and temporally throughout a reg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s the use of long-term radar reflectivity for South Korea to obtain a nationwide calibrated Z-R relationship and the associated uncertainties within a Bayesian inference framework. A calibrated spatially structured pattern in the parameters exists, particularly for the wet season and parameter for the dry season. A pronounced region of high values during the wet and dry seasons may be partially associated with storm movements in that season. Overall, the radar rainfall fields based on the proposed modeling procedure are similar to the observed rainfall fields. In contrast, the radar rainfall fields obtained from the existing Marshall-Palmer relationship show a systematic underestimation. In the event of high impact weather,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of national radar resources can be improved by establishing an active watershed-level hydrological analysis system.

Future water supply risk analysis using a joint drought management index in Nakdong river basin (결합가뭄관리지수(JDMI)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미래 용수공급 위험도 분석)

  • Yu, Ji Soo;Choi, Si-Jung;Kwon, Hyun-Han;Kim, T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spc
    • /
    • pp.1117-1126
    • /
    • 2018
  • Water supply system aims to meet the user's demand by securing water resources in a stable way. However, water supply failure sometimes happens because inflow decreases during drought period. Droughts induced by the lack of precipitation do not always lead to water supply failures.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eatures of actual water shortage event when we evaluate a water supply risk.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drought index for drought management, i.e., Joint Drought Management Index (JDMI), using two water supply system performance indices such as reliability and vulnerability. Future data that were estimated from GCMs according to RCP 4.5 and 8.5 scenarios were used to estimate future water supply risk. After dividing the future period into three parts, the risk of water supply failure in the Nakdong River basin was analyzed using the JDMI. As a result, the risk was higher with the RCP 4.5 than the RCP 8.5. In case of RCP 4.5, W18 (Namgangdam) was identified as the most vulnerable area, whereas in case of RCP 8.5, W23 (Hyeongsangang) and W33 (Nakdonggangnamhae) were identified as the most vulnerable area.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tancheon Catchment 2018 (2018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44-348
    • /
    • 2019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이고 하천경사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하여 홍수 관리에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홍수기간의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는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최근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심한 홍수, 가뭄 등 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재해 방재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 대하천의 경우에는 비교적 수재해 방재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하천(일부 중하천 포함)의 경우에는 취약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홍수기간(7월~9월)의 인명과 재산의 피해는 주로 소하천 위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사전 사후의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수재해 방재관리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수문자료의 획득에 있으며, 그 이후 해당유역에 적합한 수재해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과 방재시스템 개발 운영이 수반되어야 안전한 방재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재해 방재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 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 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시험유역(유역면적 $190.64km^2$, 유로경사 0.96%,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8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우특성, 유출특성, 증발산량 등 수문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과거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우특성 분석으로는 호우사상 분리, 주요 호우사상 분석,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시간분포 등이 있다. 2018년은 2017년보다 최대 강우지속기간은 적게, 평균 강우지속기간은 크게, 최대 강우강도는 크게, 평균 강우강도는 적게 나타나는 호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의 경우 지속기간 1시간까지는 2017년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나 그 이후는 많은 강우량을 보인다. 2018년의 하천유출률은 총강우량 대비 43.3%(장진교, 유역출구)와 70.3% (보막교, 중간소유역)로 2017년의 장진교(53.1%)와 보막교(60.4%)와는 차이를 보인다. 강우-유출특성 분석결과 연간 총강우량의 증가로 산지가 발달한 보막교는 9.9%의 증가가 있었지만 장진교는 오히려 9.8%의 감소가 있었다. 동일한 유역에서의 하천유출량의 차이는 2개 유역간 강우량 차이(96.1mm)와 토지이용(중 하류부농경지 발달)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018년의 증발산량은 총강우량 대비 장진교(유역출구)는 32.3%로 2017년 장진교의 38.4%보다는 감소한 값을 보이나 2018년의 증발산량은 424.8mm, 2017년은 427.4mm로 양적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산정된 수문자료는 수재해 방재와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므로 지속적인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필요하다.

  • PDF

Agricultural application of natural polymers chitin and chitosan (천연고분자 키틴·키토산의 농업적 활용)

  • Jung, Woo-Jin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53 no.1
    • /
    • pp.33-42
    • /
    • 2020
  •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tren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olicy, product registration of agricultural chitosan among the organic materials has been displayed in various forms such as soil improving agent, crop growth, and pest control. Chitin production industry is expected to bring competitiveness by producing low-quality and low-cost chitin for agriculture, rather than high-quality and high-cost for food, medical products. Since there are various soil microorganisms that can decompose chitin and chitosan in farm soil where crops are produced, it can be applied usefully to agricultural sites suitably for crop growth and pest control using chitin and chitosan as substr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gistration status of organic materials companies using chitin and chitosan raw materials in the organic materials information system of the NAQS,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further expand the agricultural use of domestic chitin and chitosan.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of Villages in Border Region according to Change in Civilian Control Line (민간인통제선 변화에 따른 접경지역 마을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 JEONG, H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2
    • /
    • pp.91-101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the study from a macro perspective 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Minbuk villages according to a change in a Civilian Control Line, such as a social and spatial distribution and a change of the existing Minbuk villag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the spatial analysis for the change in the Minbuk villages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in time series by using a map of the Armistice Agreement Vol. 2, Google Earth, a digital cadastral map, an administrative district map, and the like are used as spatial data, and summarizing and constructing, as attribute data, a statistical yearbook, Ministry of Defense and Cheorwon-Gun notification data, a Land Use Regulation Information System, and cadastral map attribute information. After the enactment of the Military Facility Protection Act,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a 20-year basis based on the 1976 statistical yearbook of which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drawn. As a result, the total area of the Civilian Control Zone in Cheorwon from 1975 to 2015 decreased by 105.8 km2, and 9 of 14 Minbuk villages were released and only 6 villages existed. The unoccupied villages were analyzed as 14 villages, 10 fewer than the existing surveyed or statistical villages. The movement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to the north may disappea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inbuk villages but should be done carefully as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current residents, an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the villag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onducting the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which is the basis of the Minbuk regions and the Minbuk villages, and may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subsequent analysis study.

Analysis of Park Service Levels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Urban Parks - Dong area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도시공원의 양적·질적 평가를 통한 공원서비스 수준 분석 - 제주특별자치도 동지역을 중심으로 -)

  • Kyoung-Ah HONG;Hyeon-Woo LIM;Soo-Kuk PAR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1
    • /
    • pp.41-55
    • /
    • 2023
  • Urban parks create the natural landscape of the city and offer a space for city residents to stay healthy and take a rest. They are also urban facilities designed to improve city dwellers' emotional aspects. Currently, urban parks need qualitative management as well as quantitative supply due to changes in the national land and urban policy paradigm, and a shift in perspective to consumer-centeredness is needed. In this study, the service levels of urban parks for citizen were evaluated: (1) quantitative supply adequacy was analyzed based on the urban population, and (2)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ark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arrangement of urban parks is judg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service levels of urban parks, the highest serviced urban parks were found in urban housing development sites and recently established park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cently created parks improved the qualities of the parks by installing various facilities. I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urban park service supply a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applied through this research method, it will be a more effective park and green space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