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연형태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3초

와동벽에서 접착제의 두께가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hesive thicknes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the cavity wall)

  • 이화언;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1호
    • /
    • pp.9-18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와동벽에서 다른 위치에서의 상아질 접착제의 두께를 평가하고, 이런 다양한 접착제의 두께와 미세 인장 강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여섯 개의 인간 대구치에 모든 상아질 면이 노출되도록 I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3개의 치아는 filled adhesive ($Clearfil^{TM}$ SE bond)를 와동 내에 도포하였고, 다른 3개의 치아는 unfilled adhesives ($Scotchbond^{TM}$ Multi Purpose)를 도포하였다.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접착층의 형태와 두께를 관찰하였다. 접착제의 두께는 수직 와동벽을 따라 와동 변연, 와동벽 1/2, 와동 내각의 세 지점에서 측정되었다. $Scotchbond^{TM}$ Multi Purpose와 $Clearfil^{TM}$ SE bond가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 와동 내각에서의 접착제의 두께를 재현하여 미세 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에서 두 가지 상아질 접착제 모두에서 와동 내각에서의 접착제의 두께가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위치에서의 두께보다 두꺼웠으며, 와동 내각의 두꺼운 접착제의 미세 인장 결합 강도는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에서의 얇은 접착제 두께의 미세 인장 결합 강도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법랑질 변연으로 이루어진 복합레진 수복물의 체적과 C-factor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FACTOR AND VOLUME ON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WITH ENAMEL MARGINS)

  • 구봉주;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52-459
    • /
    • 2006
  • 와동벽과 복합레진 수복물이 접착될 때, 복합레진의 치질에 대한 접착력과 레진 자체의 중합 시 발생하는 수축응력이 상충하게 된다. 이러한 수축응력의 크기는 와동의 형태요소 (C-factor)와 수복물의 체적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단일 병 접착제를 사용한 복합레진 수복 시 법랑질 변연만으로 이루어진 와동의 C-factor와 체적이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미세 전류 측정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연마기를 이용하여 40개의 건전한 우치 협면에 편평한 법랑질 표면을 형성하였다. 각각 10개의 치아에 원통형 와동을 형성하였으며, 와동의 깊이와 직경에 따라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 I군: 1.5 mm ${\times}$ 2.0 mm, II군: 1.5 mm ${\times}$ 6.0 mm, III군: 2.0 mm ${\times}$ 1.72 mm, IV군: 2.0 mm ${\times}$ 5.23 mm). 각기 와동의 C-factor는 4, 5.62, 2, 2.54를 보였다. 산 부식 후 단일 병 접착제인 BC Plus$^{TM}$ (Vericom, Korea)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적용하고, 미세혼합형 복합레진인 Denfil$^{TM}$(Vericom)을 충전하였다. 40초씩 광중합 후 치아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Sof-Lex system을 이용하여 연마하였고, 5$^{\circ}$C와 55$^{\circ}$C범위에서 500회 열순환을 시행하였다. 이후 미세전류 측정을 위해 치수강 내에 증류수를 채우고 치근단공을 통해 0.018 stainless wire를 삽입한 후 sticky wax로 근첨부를 밀봉하였으며, nail varnish를 수복물의 변연에서 1 mm를 제외한 전체 치면에 2회 도포하였다. 미세누출의 측정은 전기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95% 유의 수준의 Two-way ANOVA로 검증하여 ,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합레진 수복물의 체적이 적은 것이 큰 것에 비해 미세누출도가 적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와동 형태와 연관된 C-factor는 복합레진 수복물의 미세누출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법랑질 변연을 갖는 와동에 단일 병 접착제를 사용한 본 실험에서는 복합레진의 중합 시 발생하는 수축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수복물의 체적과 C-factor가 미세누출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는 법랑질과 접착시스템과의 강력한 접착력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초음파 진동이 주조금관의 변연형태와 시멘트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ltrasonic vibration on bond strength of cemented crown according to margin types and cements)

  • 이윤경;방몽숙;박하옥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8권3호
    • /
    • pp.225-233
    • /
    • 2002
  •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ultrasonic vibration on margin types and cements by comparing bond strength of cemented crown. In this study, margins of each metal die, which were chamfer, shoulder and shoulder with bevel, were prepared using computer milling machine. Specimens were cemented with zinc phosphate cement or resin cement. The specimens were divided by the finish line and cement used, ultrasonic vibration. I made total 84 specimens. All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not vibrated, the other group was subjected to ultrasonic vibration for 12 minutes. Tensile bond strength was measured using Universial testing machine. The changes of bond strength in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test or On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Ultrasonic instrumentation diminished the bond strength of crown cemented with zinc phosphate cement and resin cement after 12 minutes application. 2. In case of zinc phosphate cement, the bond strength of a vibrated group wa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p<0.05). In vibrated groups with zinc phosphate cement, shoulder with bevel exhibit a significant difference to chamfer and shoulder(p<0.05) 3. Resin cement was more resistant to ultrasonic vibration than zinc phosphate cement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ultrasonic vibration and margin typ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revealed that zinc phosphate cement was most affected and resin cement was the least affected by ultrasonic vibration. Especially shoulder with bevel design was most affected in zinc phosphate cement groups. we should consider these results and be taken in the application of ultrasonic vibration to any teeth restored with crowns.

변연형태에 따른 IPS Empress 도재관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TNESS OF THE IPS EMPRESS CERAMIC CROWN ACCORDING TO MARGIN TYPE)

  • 주태훈;오상천;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46-85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itness of the IPS Empress ceramic crowns according to margin type such as bevel, shoulder, rounded shoulder, shoulder with bevel, rounded shoulder with bevel and grooved bevel. After 10 experimental dies were constructed for each group, the IPS Empress ceramic crowns were fabricated on the dies, cemented with resin cement(Bistite resin cement, Tokuyama Soda Co. Ltd., Japan) and embeded in clear epoxy resin. Each specimen was sectioned with a low speed diamond saw in both the faciopalatal and the mesiodistal direction. The cement film thickness was measured with a measuring microscop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itness at the external margin was good in the following order: rounded shoulder(28.99), shoulder with bevel(31.33), grooved bevel(31.79), rounded shoulder with bevel(34.65), bevel(35.02) and shoulder(35.08).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2. The fitness at the internal margin of bevel(25.75), rounded shoulder(31.24), shoulder with bevel(32.07) and rounded shoulder with bevel(34.45) was better than that of shoulder(47.98). 3. The fitness at the axial surface of bevel(26.58) was better than that of shoulder(49.59). 4. The fitness at the central fossa was good in the following order: shoulder with bevel(38.88), grooved bevel(40.46) rounded shoulder with shoulder(46.29), shoulder(48.91), bevel(49.47) and rounded bevel(52.07).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5. Overall fitness of bevel(29.71), rounded shoulder(32.49) and shoulder with bevel(34.47) was better than that of shoulder(44.73).

  • PDF

IPS-Empress 도재관의 변연형태에 따른 파절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ACTURE STRENGTH OF THE IPS-EMPRESS CERAMIC CROWN ACCORDING TO MARGIN TYPE)

  • 김현수;주태훈;오상천;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96-30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acture strength of the IPS-Empress ceramic crown according to margin types such as bevel, shoulder, rounded shoulder, shoulder with bevel, rounded shoulder with bevel and bevel with groove. After 10 metal dies were constructed for each group, the IPS-Empress ceramic crown were fabricated and each crown was cemented on each metal die with Bistite resin cement. The cemented crowns mounted in the testing jig were inclined 30 degree and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1456 41, Zwick Co., Germany) was used to measure the fracture strength.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racture strength of the crown with rounded shoulder was the highest of all. The mean fracture strength was 484N in rounded shoulder, 357N in bevel, 341N in rounded shoulder with bevl, 300N in shoulder with bevel, 280N in shoulder and 275N in bevel with groove. 2. The fracture strength of rounded shoulder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shoulder with bevel, shoulder and beve41 with groove. 3. In the strain at frac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group. 4. The fracture mode of the crown was similar and most of fracture line began at the loading area and extended through proximal surface perpendicularly to the margin, irrespective of margin type.

  • PDF

전부도재관의 변연형태에 따른 변연적합도에 관한 연구 (MARGINAL FIDELITY ACCORDING TO THE MARGIN TYPES OF ALL CERAMIC CROWNS)

  • 구재용;임주환;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45-457
    • /
    • 1997
  • Poor marginal fidelity resulting in a large marginal gap increases plaque accumulation, gingival inflammation and dental c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fit of three different cervical finishing methods of prepared teeth. A stereomicroscope was used to measure the space between the margin of restoration and the finishing line of prepared tooth.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ANOVA and Multiple Range Test(Tukey's HS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erning the types of tooth and positon (P>0.05), wherea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of cervical finishing methods (P<0.05).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cementation (P<0.05). 3. In comparison according to variable margins after cementation, the gap discrepancies were increased in $130^{\circ}$ shoulder margin, chamfer margin and $90^{\circ}$ shoulder margin in ascending ord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90^{\circ}$ shoulder margin and chamfer, $130^{\circ}$ shoulder margin 4. In comparison according to variable margins, the gap discrepancies were increased in chamfer margin, $130^{\circ}$ shoulder margin and $90^{\circ}$ shoulder margin in ascending ord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90^{\circ}$ shoulder margin and chamfer, $130^{\circ}$ shoulder margin. 5. This study demonstrated a better marginal fit with all-ceramic crowns fabricated on chamfer and $130^{\circ}$ shoulder margin compared with $90^{\circ}$ shoulder margin.

  • PDF

변연형태와 레진시멘트에 따른 IPS Empress 도재관의 변연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CROLEAKAGE OF THE IPS EMPRESS CERAMIC CROWN ACCORDING TO MARGIN TYPES AND RESIN CEMENT)

  • 정원엽;오상천;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89-80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icroleakage of the IPS Empress ceramic crown according to 1) margin types such as rounded shoulder and bevel, 2) margin locations such as enamel and dentine, 3) resin cement types such as Variolink and Bistite. For this study, 80 extracted premolar teeth were used. After 10 experimental dies were prepared for each group, the IPS Empress ceramic crowns were fabricated on the dies and cemented with one of two types of resin cement. After 1,000 cycles of thermal changes were given with the thermocycling unit, each specimen was sectioned with a low speed diamond saw in both the buccolingual and the mesiodistal direction. The microleakage was then measured with a stereo microscop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Every experimental group showed microleakage. The microleakage of the crowns which had a rounded shoulder on enamel cemented with Variolink was the lowest of all. The resulting rank of the mean microleakage was rounded shoulder on enamel using Variolink(0.601mm), rounded shoulder on enamel using Bistite (0.794mm), bevel on enamel using Variolink (0.826mm), rounded shoulder on dentine using Variolink(1.054mm), bevel on enamel using Bistite(1.087mm), rounded shoulder on dentine using Bistite(1.176mm), bevel on dentine using Variolink(1.258mm), and bevel on dentine using Bistite(1.467mm). 2.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icroleakage were found in 4 cases: rounded shoulder on enamel using Variolink and bevel on dentine using Variolink, rounded shoulder on enamel using Variolink and bevel on dentine using Bistite, rounded shoulder on enamel using Bistite and bevel on dentine using Bistite, bevel on enamel using Variolink and bevel on dentine using Bistite. 3. The microleakage of rounded shoulder finish line was lower than that of bevel finish lin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spect to the type of finish lines. 4. The microleakage of the finish line on enamel was lower than that of finish line on dentin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finish lines. 5. The microleakage of the Variolink cement was lower than that of the Bistite cemen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spect to the resin cements.

  • PDF

구치부 인접면 와동에서 유동성 복합레진 이장재의 두께가 치은 변연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LOWABLE COMPOSITE LINING THICKNESS ON CERVICAL MICROLEAKAGE OF PROXIMAL BOX)

  • 조윤정;김태완;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59-267
    • /
    • 2008
  • 구치부 인접면 와동에서 유동성 복합레진 이장재의 두께가 치은측 변연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발거된 소구치 및 대구치의 근, 원심면에 box 형태의 와동(협설폭경 3mm, 근원심폭경 2mm, 상아법랑경계 상방 1mm에 치은 변연) 120개를 형성한 뒤, 무작위로 30개씩 선정하여 다음과 같은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group I- Tetric ceram 충전군(대조군) group II- 0.5mm 두께의 Tetric flow + Tetric ceram group III- 1.5mm 두께의 Tetric flow + Tetric ceram group IV- 2.5mm 두께의 Tetric flow + Tetric ceram 색소침투법으로 치은측 변연부 미세누출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group II는 group I에 비해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0.05). 2. group III, IV과 group I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미세누출의 차이가 없었다(p>0.05). 3. group II는 group III, IV에 비해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0.05). 4. 모든 group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치경부에서 미세누출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혼합형 복합레진으로의 구치부 인접면 와동 수복시 0.5mm 두께의 유동성 레진으로의 와동저 이장은 치은측 변연의 봉쇄능을 향상시켜 변연부 미세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이마앞겉질을 제거시킨 흰쥐 앞뇌의 바닥핵무리에서 변성축삭종말의 미세구조연구 (Ultrastructure of Degenerating Axon Terminals in the Basal Forebrain Nuclei of the Rat following Prefrontal Decortication)

  • 안병준;고정식;안의태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3호
    • /
    • pp.135-152
    • /
    • 2005
  • 중추신경계통에서도 최고중추인 이마앞겉질 (prefrontal cortex)은 거의 모든 대뇌겉질과 연결되어 있어서 대뇌겉질 각 부분에 저장된 감각, 운동, 언어... 등 모든 정보를 받을 뿐만 아니라, 앞뇌의 바닥핵들 (basal forebrain nuclei)을 비롯한 많은 신경핵들과도 연결되어 있어서 생체 내부환경과 본능에 관한 정보도 받아드린다. 이들 연결을 통해서 이마앞겉질은 변연계통의 본능, 감정, 기억, 학습기능과 줄무늬체계통의 적절한 표현, 대응, 절차기억, 운동조절기능들을 연계하고 조정한다. 앞뇌의 바닥핵들(꼬리핵 caudate nucleus, 줄무늬체바닥핵 fundus striati nucleus, 중격옆핵 accumbens septi nucleus, 중격핵 septal nucleus)도 역시 변연계통과 줄무늬체계통 사이에서 해부학적으로나 기능적으로도 교차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실험은 흰쥐의 이마앞겉질은 제거한 다음, 앞쪽 앞뇌의 바닥핵들에서 변성종말들이 있는지 여부와 그 미세구조를 관찰하려고 시행했다. $250{\sim}300g$된 흰쥐를 실험동물로 이용하였으며, 흰쥐들을 정상군, 대조군, 수술군으로 구분하였다. 수술군은 마취시킨 다음, 뇌수술장치에 고정시키고, 머리피부를 절개한 다음, 이마뼈에 구멍을 만들고, 이 구멍을 통해 이마앞겉질을 흡인하여 제거했다. 대조군은 이마뼈에 구멍을 만드는 과정까지만 실행하였고, 정상군은 아무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수술 후 2일 경과 후에 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해 1% glutaraldehyde-1% paraldehyde 혼합액 (pH 7.4)에 1차 고정하였고, 뇌를 적출하여 고정액에 냉장시켰다가, 다음날 해당 신경핵을 적출하여 2차 고정액 (2% osmium tetroxide액)에 고정하였다. Araldite 혼합액에 포매하여 ultratome-V로 자른 절편은 4% uranyl acetate와 2.7% lead citrate로 염색하여 JEM 100CX-II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네 신경핵에서 모두 변성 축삭종말이 관찰되었는데, 출현비율은 상당한 차이를 보여서 가장 변성이 심한 신경핵은 꼬리핵 이었고, 다음은 줄무늬체바닥핵, 중격옆핵, 중격핵의 순서였다. 변성축삭종말이 각 부위에서 연접하는 모양을 비교한 결과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에서는 모두 가지돌기가시(dendritic spine)에 연접하였으나, 중격옆핵과 중격핵에서는 가지돌기 (dendrite)에 연접하는 것과 가지돌기가시에 연접하는 것이 혼재하였다. 이들 두 신경핵 무리는 이마앞겉질에서 기원하는 축삭종말의 연접차이로 볼 때 서로 다른 회로계통에 속할 것으로 생각되며, 문헌고찰을 통해서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은 줄무늬체회로 (striatal circuit)에 속하고 중격옆핵과 중격핵은 변연계통회로(limbic circuit)에 속할 것으로 판정했다. 이마앞겉질은 생리적, 약리적, 신경학적 및 형태학적 근거들로 보아 바닥핵들을 통해 변연계통과 대뇌겉질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데, 본 실험에서는 네 종류의 바닥핵들, 즉 꼬리핵, 줄무늬체바닥핵, 중격옆핵 및 중격핵과 관련된 신경연접들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문헌 고찰한 결과 변연계통과 줄무늬체계통이 앞뇌의 바닥에 있는 신경핵들에서 형태학적 교차연결을 통해 정서와 마음의 상태를 행동과 대응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신경회로가 존재함을 제안하였다.

Sealed amalgam restoration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LEAKAGE OF SEALED AMALGAM RESTORATION)

  • 이상헌;이재천;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4-61
    • /
    • 2000
  • 아말감은 널리 사용되어 온 대표적 치과재료이지만 치질과의 접착성이 없어 와동의 형태에 의해 유지되는 단점을 가진다. 아말감 수복물은 산화물에 의한 변연봉쇄가 일어나기 전까지 초기에 큰 미세누출을 보이며 수복초기에 이를 적절하게 예방하지 않으면 타액이나 미생물이 와동내에 침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복 후의 과민반응, 충전물의 용해 및 파괴, 변연 변색과 2차 우식이 유발되어, 결과적으로 수복물의 수명이 단축되며 치수 병변이 발생될 수도 있다. 최근 기존 아말감 수복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치질삭제를 줄이고 변연을 봉쇄하며 소와열구에 예방적 처치를 함께 할 수 있는 수복법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이른바 sealed amalgam이라 한다. 이 술식은 예방적 확대 없이 병소만을 제거한 뒤 수복물 변연과 인접 소와열구에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함으로서 소와열구의 예방적 충전은 물론 수복물 변연과 치질사이의 틈을 봉쇄하여 미세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저자는 아말감 수복후 수복물의 마무리 처리와 전색재 적용시점을 달리 하여 sealed amalgam 수복과 기존의 아말감 수복과의 미세누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30개의 상, 하악 소구치를 준비하여 V급 와동을 소구치의 협, 설측에 형성하고 통상적 아말감 수복을 시행한 후 다음의 각 군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제 1 군 : 24시간 후 연마 (대조군) 제 2 군 : 연마하지 않음, 즉시 전색재 적용 제 3 군 : 연마하지 않음, 열순환(thermocycling) 500회 후 전색재 적용 위의 처리 후 각 군을 $5^{\circ}C$$55^{\circ}C$의 온도변화를 30초씩 번갈아 주며 총 500회의 열순환을 실시한 후 1% methylene blue 용액에 침윤시켜서 100% 습도가 유지된 $37^{\circ}C$ 항온기에 24시간 보관하였다. 치아를 레진에 매몰한 후 협설측으로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절단하여 stereomicroscope를 사용해 색소침투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미세누출은 연마하지 않고 바로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한 2군이 가장 낮았고, 연마만 시행한 1군이 가장 높았다. 2. 실험군간의 미세누출 비교에서 연마만 시행한 1군은 2군에 비해 미세누출이 켰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군은 1군보다 평균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군은 3군보다 평균 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