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ICROLEAKAGE OF SEALED AMALGAM RESTORATION

Sealed amalgam restoration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 Lee, Sang-He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Cheo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상헌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이재천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이상훈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Published : 2000.02.29

Abstract

Amalgam, though a widely used dental material, does not bond to the tooth substrate Therefore, retentive preparation of the cavity is necessary. Such amalgam restorations, until corrosion products form and plug the margin, will show significant marginal leakage. Unless this is prevented early on, saliva and bacteria may enter the cavity causing postoperative hypersensitivity, dissolution and collapse of the restoration, discoloration of the margin and secondary caries, leading to shortened life-span of the restoration and pulpal pathosis. Recently, a method of restoration has been introduced whereby tooth material can be preserved, cavity margin can be sealed and preventive treatment of pit and fissure can be administered while retaining all the advantages of conventional amalgam restorations. Such sealed amalgams involve removing the carious lesion without extending the cavity for prevention and using pit and fissure sealants to seal cavity margins and pit and fissures to reduce microleakage. In this study, finishing of the amalgam and sealant application were performed after different intervals following of amalgam restoration to compare the microleakage of sealed and conventional amalgam restorations. Thirty bicuspids were prepared with Class V cavity preparations on the buccal and lingual surfaces. After amalgam placement, they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and treated accordingly. Group 1 : Polishing after 24 hours Group 2 : Immediate sealant application without polishing Group 3 : No polishing, but sealant applied after thermocycling 500 times After treatment, the samples were thermocycled 500 times between $5^{\circ}C$ and $55^{\circ}C$ with a dwell time of 30 seconds. After thermocycling, the samples were dipped into 1% methylene blue kept in a $37^{\circ}C$ incubator at 100% humidity for 24 hours. The teeth were then embedded in resin and cut bucco-lingually along the tooth axis and observed with a stereomicroscope to determine the degree of microleaka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Group 2 showed the least microleakeage, while group 1 showed the greatest. 2. Group 1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microleakage compared to group 2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 1 and 3(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croleakage were also found between cup 2 and 3(p<0.05).

아말감은 널리 사용되어 온 대표적 치과재료이지만 치질과의 접착성이 없어 와동의 형태에 의해 유지되는 단점을 가진다. 아말감 수복물은 산화물에 의한 변연봉쇄가 일어나기 전까지 초기에 큰 미세누출을 보이며 수복초기에 이를 적절하게 예방하지 않으면 타액이나 미생물이 와동내에 침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복 후의 과민반응, 충전물의 용해 및 파괴, 변연 변색과 2차 우식이 유발되어, 결과적으로 수복물의 수명이 단축되며 치수 병변이 발생될 수도 있다. 최근 기존 아말감 수복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치질삭제를 줄이고 변연을 봉쇄하며 소와열구에 예방적 처치를 함께 할 수 있는 수복법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이른바 sealed amalgam이라 한다. 이 술식은 예방적 확대 없이 병소만을 제거한 뒤 수복물 변연과 인접 소와열구에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함으로서 소와열구의 예방적 충전은 물론 수복물 변연과 치질사이의 틈을 봉쇄하여 미세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저자는 아말감 수복후 수복물의 마무리 처리와 전색재 적용시점을 달리 하여 sealed amalgam 수복과 기존의 아말감 수복과의 미세누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30개의 상, 하악 소구치를 준비하여 V급 와동을 소구치의 협, 설측에 형성하고 통상적 아말감 수복을 시행한 후 다음의 각 군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제 1 군 : 24시간 후 연마 (대조군) 제 2 군 : 연마하지 않음, 즉시 전색재 적용 제 3 군 : 연마하지 않음, 열순환(thermocycling) 500회 후 전색재 적용 위의 처리 후 각 군을 $5^{\circ}C$$55^{\circ}C$의 온도변화를 30초씩 번갈아 주며 총 500회의 열순환을 실시한 후 1% methylene blue 용액에 침윤시켜서 100% 습도가 유지된 $37^{\circ}C$ 항온기에 24시간 보관하였다. 치아를 레진에 매몰한 후 협설측으로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절단하여 stereomicroscope를 사용해 색소침투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미세누출은 연마하지 않고 바로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한 2군이 가장 낮았고, 연마만 시행한 1군이 가장 높았다. 2. 실험군간의 미세누출 비교에서 연마만 시행한 1군은 2군에 비해 미세누출이 켰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군은 1군보다 평균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군은 3군보다 평균 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