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베트남인

검색결과 909건 처리시간 0.027초

베트남의 비료공업

  • 한국비료공업협회
    • 비료회보
    • /
    • 통권424호
    • /
    • pp.32-43
    • /
    • 1992
  • 베트남의 비료공업은 (1) 비료제조용 원자재의 채광(인광석, 황철광 및 황), (2) 비료제조용 중간원료의 생산(암모니아 및 황산), (3) 1차비료의 생산(과인산석회, 용성인비 및 요소) (4) 배합방법에 의한 2차비료의 생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은 이러한 베트남의 비료공업분야에 대하여 간단하게 검토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 PDF

베트남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Korean Monophthongs by Vietnamese Advanced Korean Learners.)

  • 장혜진
    • 한국어학
    • /
    • 제80권
    • /
    • pp.211-234
    • /
    • 2018
  •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acoustic properties of Korean and Vietnamese monophthongs by Vietnamese advanced Korean learners, and to discuss the realization of Korean monophthongs compared to Koreans. The Vietnamese advanced Korean learners do not distinguish between /e/ and /${\varepsilon}$/, which are the same as Korean. They pronounce Korean /e(${\varepsilon}$)/ close to /e/ in their native language. In the case of /ʌ/, it is reported that many errors are observed in previous studies. However, /ʌ/ of Vietnamese advanced learners is realized similar to /ʌ/ spoken by Koreans. /ɯ/ of Vietnamese advanced Korean learners is pronounced in the back of the tongue, whereas in the central by Koreans. In the case of /o/ and /u/,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Vietnamese advanced Korean learners. /ɯ/ and /u/ are pronounced in relatively front side of the tongue in Korean, but it is not observed in the Vietnamese advanced Korean learners.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의 분쟁해결방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베트남·캄보디아 출신여성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Dispute Resolution Pattern of Vietnamese and Cambodian Marriage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 정용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7-138
    • /
    • 2020
  •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과 캄보디아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분쟁해결 대처방식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두 번의 세부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폐쇄형 설문지를 통하여 12명의 베트남과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두 번째 연구는 5명의 베트남과 캄보디아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에 대한 응답과 면접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상당수 결혼이주 여성들은 분쟁이 발생할 때 주로 모국인과 상담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부부 자체적으로 분쟁을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들은 분쟁이 발생할 때 주로 갈등회피 형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 센터가 분쟁해결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역량강화사업이 베트남 북부 소수부족민 마을의 생계자산에 끼친 긍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apacity building toward the livelihood assets of ethnic minority Villages in the northern part of Vietnam)

  • 김선호
    • 농촌계획
    • /
    • 제23권4호
    • /
    • pp.1-13
    • /
    • 2017
  • 베트남 북부 산악지형에 거주하는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개선이 베트남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사업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지속가능한 개발 및 인적자원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베트남 경제사회개발정책(2011~2020)의 하위전략인 신농촌 개발정책(New Rural Development)에 의한 사업들이 적절히 수행되고 있는지 의문이 대두되었다. 한편, 베트남 라오까이성 행복프로그램은 한국 코이카 재원으로 새마을운동 경험과 정신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심각한 빈곤상태에 있는 성내 8개 소수부족민 마을에 마을특성과 주민 의견이 반영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실행의 주체인 마을주민들과 현장 공무원에게 다양한 훈련 사업들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생계개선에 대한 이론 고찰과 함께 한국 및 베트남의 농촌개발 경험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다양한 역량강화 사업들이 8개 소수부족 주민들의 의식변화와 생계자산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다양한 역량강화 훈련들이 주민의식의 긍정적인 변화와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자산에 대하여 상당한 만족도를 가져왔는바, 신농촌 개발정책은 직접자재 위주의 지원을 줄이는 대신 주민들의 자신감 고취를 위한 주민의식 교육과 주민들의 생계활동 능력향상을 위한 다양한 훈련 사업을 확대해야 함을 보여준다.

베트남 국제합작기업 성과에 관한 비교연구 : 2개국 실증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Vietnamese IJVs' Performance - A Two Country Empirical Examination -)

  • 신건철;누엔티 감;박용희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2호
    • /
    • pp.3-39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합작투자기업의 전략적 동기, 성과 목표 및 만족, 경영상 통제, 부서간 갈등, 자원 기여, 투자 환경 및 경쟁과 같은 중요한 변수들을 확인하고 베트남에 있는 한국과 일본 합작투자기업의 경영 관행상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베트남 파트너와 합작기업을 하고 있는 베트남의 한국과 일본기업을 표본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결과는 베트남에 있는 한국과 일본 기업의 경영 관행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또한 베트남에 있는 이러한 국제적인 합작 기업의 성과에 관하여 모기업의 만족도에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베트남 2017: 경제, 정치, 대외관계의 현황과 전망 (Vietnam in 2017: The Situations and Prospects of Economics,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 채수홍;이한우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8권1호
    • /
    • pp.21-51
    • /
    • 2018
  • 이 글은 최근 베트남 사회에서 일어난 변화를 몇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첫째, 베트남의 세계경제로의 통합과 자본주의화를 이상적인 것으로 상정하고 작성된 각종 보고서와 논문을 활용하여 2017년 베트남 경제의 특징적 변화를 소개한다. 둘째, 베트남의 자본주의로의 이행을 보는 서로 다른 시각을 포괄하면서 베트남 경제의 최근 변화와 위기를 중장기적으로 평가하고, 전망하고, 진단하고자 한다. 셋째, 최근 대두된 정치적, 사회적 이슈를 놓고 공산당 내부에서 벌이고 있는 정치과정의 양상과 이로 인한 권력관계의 변화를 추적한다. 넷째, 이상에서 논의한 베트남의 정치경제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대외관계의 환경과 이에 대한 베트남 정부의 대응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25주년을 맞이한 한국-베트남 관계의 의미에 대한 평가도 간략하게나마 시도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베트남의 사회문화적 변화를 염두에 두면서 대중이 개혁개방정책 이후 일어나고 있는 체제의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 성찰해보고자 한다. 2017년은 베트남인에게 자본주의를 향해 순항하는 경제, 이로 인한 인민의 욕구의 분출에 대한 정치적 논란과 통제, 그리고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커지고 있는 대외관계의 불확실성과 이에 대한 다각적 대응 등으로 기억될 만한 해였다. 2017년 한 해 동안 일어난 이러한 현상들은 사회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베트남이 시장경제 모델을 채택하면서 지속적으로 경험해나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러한 경험이 장기적으로 사회주의 베트남의 인민에게 동의를 얻어내며 지속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저항을 양산하게 될 것인지 불확실하다는 점이다. 지금처럼, 빈부격차의 확대, 부패와 권력의 독점, 미숙련 저임금 노동자의 양산이 지속되는 한 진정한 의미의 동의를 구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시 말해, 지금처럼 정치경제적 변화를 위한 개발과 산업화가 환경, 건강, 복지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한 동의 대신 불만의 축적이 불가피할 것이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2017년 한 해에 이룬 수치상의 경제성장, 표면적인 정치안정, 대외관계에 대한 기민한 대응이 향후 얼마나 지속가능한 것인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베트남전쟁 소설에 나타난 기억의 전승과 트라우마 양상 (Memory Transmission and the Phases of Trauma in Vietnam War novels)

  • 음영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68-377
    • /
    • 2020
  • 이 논문은 베트남전쟁 소설에 나타난 기억의 전승과 트라우마 양상을 연구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화학 이론에 일조한 알라이다 아스만의 기억이론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전쟁에서 배제된 타자의 목소리를 제기하였다. 1990년대 이후 발표된 베트남전쟁 소설은 타자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여 문화적 기억을 새롭게 전승하였다. 공식기억에서 배제된 민간인학살, 고엽제 피해자, 혼혈아 라이따이한 등의 이야기가 소설화되면서 대항기억으로 부상한 것이다. 방현석의 베트남전쟁 소설인 <존재와 형식>에서는 베트남전쟁을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지를 제기하였다. 방현석의 <랍스타를 먹는 시간>에서는 베트남전쟁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반성 없이는 한국은 미군의 정체성을 가질 수밖에 없음을 밝혔다. 둘째, 베트남전쟁의 비극성을 다룬 것으로 몸이 기억하는 트라우마 양상을 제시하였다. 안정효의 <하얀 전쟁>은 기억 투쟁의 과정에서 과거로 퇴행하였음을 밝혔다. 이대환의 <슬로우 불릿>은 고엽제로 인한 피해 양상이 가족사의 비극으로 이어짐을 밝혔다. 오현미의 <붉은 아오자이>는 한국계 베트남 혼혈인이 아비 부정을 극복하고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 서사임을 밝혔다. 하림의 <사이공의 슬픈 노래>는 정체성의 혼란을 겪은 혼혈인 샤이랑의 이야기가 서사성의 약화로 인해 연애소설로 전락하였음을 밝혔다.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화장품 구매 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on the Korean Cosmetics Satisfaction of the Vietnamese Consumer and Repurchase Intention)

  • 부띠 따오;이제홍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4호
    • /
    • pp.227-243
    • /
    • 2014
  • 베트남은 현재 매년 1% 가량의 인구 성장률을 보이고 젊은 인구가 총인구의 절반을 넘는 잠재적인 구매층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베트남은 화장품 시장에 있어서 매우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연 평균 화장품시장이 15% 이상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한국 화장품은 랑콤, 샤넬 등 세계 유명 브랜드와의 경쟁하는 가운데서도 한국 화장품이 베트남 시장 점유율이 높아 가고 있다. 한국산 화장품이 일본, 미국 화장품보다 베트남 소비자들에게 보다 더 많은 인기를 얻는 이유는 합리적인 가격과 좋은 품질 그리고 한류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국화장품에 대한 베트남 소비자의 충동적 구매성향, 과시적 구매성향, 합리적 구매성향, 독자적 구매성향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구매 만족과 재구매 의도 또는 타인 추천에 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한국화장품의 품질에 대한 인식이나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화장품의 긍정적인 효과는 사용후 만족도와 구매 추천 의향으로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내륙 컨테이너 기지의 탈 집중화 및 전이할당 현상 분석: 베트남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econcentration Tendencies and Shifting -Share Situations of ICDs: Focused on the Southern Vietnam)

  • 판민티엔;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143-156
    • /
    • 2020
  • 남부 베트남 지역에는 내륙 컨테이너 기지의 경쟁에 따라 탈 집중화 경향 및 전이할당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남부 베트남 지역을 대상으로 한 내륙컨테이너 기지 관련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2010년에서 2017년 까지 남부 베트남 지역에 위치한 내륙컨테이너 기지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한다. 컨테이너 물동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집중 및 탈 집중현상을 분석하며, 연구의 방법은 CR분석, 허핀달-허쉬먼(집중도) 분석, 지니계수 및 로렌츠 곡선 분석 및 전이할당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2010년에서 2017년 까지 남부 베트남 지역에 위치한 내륙컨테이너 기지는 뚜렷한 탈 집중화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컨테이너 터미널 개발 과정에서 유용한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학문적·산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베트남 컨테이너 항만과 내륙 컨테이너 기지의 경쟁력 강화는 더 많은 해운회사의 기항을 촉진함으로서 경쟁관계에 있는 동남아 주변국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베트남(Vietnam)에 거주하는 베트남인의 주거 및 주생활 특성:재한(在韓) 베트남인 이주 노동자의 주거 계획을 위한 기초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Housing Plans between Vietnamese in Korea and Vietnam for Vietnamese Migrant Workers in Korea)

  • 이영심;최정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7호
    • /
    • pp.13-3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e of housing and domestic living conditions of Vietnamese individuals in Vietnam and Korea. Using ethnographic methodologies, It was examined examined 22 Vietnamese households in Korea in relation to their usage of domestic space and also conducted the same investigation on 20 Vietnamese households in Vietnam.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established; 1) The majority of households in both countries preferred that the kitchen was close to the dining room and living room while a kitchen door was not deemed as necessary. 2) In Korea, washing machines are used in the bathroom space, while in Vietnam they are used outside or in a specially designated space. 3) The most uncomfortable aspect of home life in Korea was having the bathroom and toilet in the same space while in Vietnam they are separately spaced. It is recommended that house plans with separate bathroom and toilet area be made available for Vietnamese migrants. 4) Chairs were used in the sleeping area for eating, especially if guests were present, but the floor space was also used for eating. 5) Tile is a typical floor material in Vietnam while vinyl is popular in Korea. However, migrant workers were comfortable with both materials. 6) All 20 households didn't have any heating system in Vietnam but most migrants preferred a modified Ondol in Korea. 7) Most migrants took their shoes off while inside the house in Vietnam and Korea. Furthermore, the majority of households didn’t have any designated shoes space at the entrance to the house in Vietnam and most were satisfied with the same situation in korea. 8) Most households in Vietnam and Korea preferred to decorate their living room with various things or as a place of worship to their ancestors. The direction of house was an important element when deciding to buy or building houses in both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