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신개발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3초

시그너처 패턴기반의 악성코드 탐색도구의 개발 (A Development of Malware Detection Tool based on Signature Patterns)

  • 우종우;하경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27-136
    • /
    • 2005
  • 최근 악성코드에 의한 피해는 상업용 백신의 지속적인 개발에도 불구하고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백신은 이미 알려진 악성코드는 효과적으로 탐색이 가능하지만 아무런 정보가 없는 악성코드를 탐색하기는 어려우며, 또한 최근의 악성코드들은 백신의 갱신속도보다 훨씬 빨리 새로운 변종들을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에 백신의 대응이 늦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악성코드들을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탐색도구의 설계 및 개발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의 도구는 악성코드의 기능을 분석하여 특정한 시그너처를 추출함으로서 기존의 악성코드들 뿐 아니라 새로운 악성코드와 그 변종들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 PDF

무더운 여름철 일본뇌염을 경계하자

  • 양동군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8권9호
    • /
    • pp.528-531
    • /
    • 2012
  • 일본뇌염은 세계동물보건기구 (OIE)에서 국경을 넘나드는 동물 질병 (transboundary animal disease)로 규정하고 있다. 국내에서 일본뇌염은 1960년 이전에 대유행하였고, 동물에서는 돼지용 백신을 1980년대에 개발하여 백신접종정책을 유지하여 왔으며, 사람에서도 지속적인 백신접종을 통해 일본뇌염이 적은 숫자의 산발적 발생을 보여 왔다. 하지만 기후변화와 온난화의 영향으로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 (Culex tritaniorhynchus)의 출현이 빨라지고 있으며, 2010년에는 사람에서 26건의 일본뇌염환자가 발생하여 보건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최근의 기술을 바탕으로 정립된 일본뇌염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한다.

  • PDF

OECD 국가별 코로나19의 기술 통계 분석 (Descriptive analysis of COVID-19 statistics across nations)

  • 안지선;박민규
    • 응용통계연구
    • /
    • 제36권5호
    • /
    • pp.447-455
    • /
    • 2023
  • 신종감염병인 코로나19는 치명률과 전파력,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게다가 종식 시기 마져 알 수 없어 상당한 신체·정신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현재 몇 가지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됨에 따라 긴급 승인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치료제는 일부 중증환자들을 위해 사용되기에 대중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신 접종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코로나19 확진율과 사망률, 백신접종률을 살펴보면, 2차 백신 접종 완료 후 확진율은 감소하였다. 2022년 초 오미크론으로 확진율은 다시 증가한 반면 사망률은 감소하였으며, 누적 백신 접종 완료율이 50% 이상 되면서 사망률은 완만한 곡선 형태를 보였다. 이는 백신 접종이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 결과라 하겠다. 그러나 백신 효과의 지속성이 상당히 짧아, 누적 백신 접종 완료율이 100%에 가까워질수록 초기 접종 효과가 떨어지고 월별 사망률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진행된 연구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았다. 그러나 국가별로 코로나19의 영향을 비교·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으며, 본 연구가 코로나19에 대한 부족한 데이터를 채우고 다른 연구의 기초가 되기를 바란다.

닭 콕시듐병 방제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Control of Avian Coccidio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Ruff, M.D.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1-160
    • /
    • 1992
  • 현재 콕시듐 병의 방제는 약제 투여, 사육관리, 백신을 이용하거나 혹은 이들 방법을 적당히 혼합하여 실시하고 있다. 약제 투여 방법은 약의 내성이라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지만 아직도 콕시듐 방제에 최우선 방법으로 쓰고 있으며 이러한 약제 내성을 조금이나마 지연시키기 위하여 shuttle, 혹은 rotation program을 쓰고 있다. 따라서 약제 내성 검사는 각 농장에 어떠한 약제가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가장 중요한 방법이 되어 왔던 것이다. 콕시듐 방제에 있어서 사육관리에 의한 방법은 아직은 완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착되지 않았는데 그 이우는 소독제만으로는 콕시듐의 원충을 죽일 수 없기 때문이다. 백신에 의한 방법은 현재까지 살아있는 콕시듐 원충을 제한적으로 쓰고 있는 단계이다. 새로운 형태의 백신개발이 요즈음 연구가 되고 있는데 이 백신은 순화시킨 콕시듐 원충을 사용하거나 유전공학적 방법 혹은 원충의 일부분에 대한 항원을 추출하여 백신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 PDF

신약개발의 법적쟁점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을 중심으로 - (Legal Issues on the Development of New Drug: An Analysis of COVID-19 Vaccine)

  • 이현주;정종구;김혜인
    • 의료법학
    • /
    • 제21권3호
    • /
    • pp.37-75
    • /
    • 2020
  • 지금까지 신약개발 자체를 다루는 연구는 매우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약리학이라는 독자적인 분야를 이루고 있다. 반면 이를 둘러싸고 발생될 수 있는 규범적인 문제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룬 논문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내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의료 윤리 맥락에서 신약개발의 규범적인 문제를 다루는 논문이 발견될 뿐이다. 본 논문은 신약개발의 법적쟁점을 다룬다. 기존에 생명윤리 영역에서 다루어 왔던 지점에 그치지 않고 신약개발의 전 영역을 아우르며 발생할 수 있는 법적인 문제를 하나하나 분석해 본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자칫하면 일반적인 법제 소개에 그쳐 현실적인 효용이 적을 수도 있다. 따라서 요즘 가장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과 관련된 내용을 통해 법적으로 문제되었고 앞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① 우선 신약개발의 단계를 소개하며, 최근 문제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비하기 위한 백신 개발 단계를 살펴본다. ② 다음으로 신약 개발의 단계에서 특히 문제되는 법적 쟁점을 소개하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처하기 위한 백신 개발 단계에서 문제되어 왔고 앞으로 쟁점이 될 수 있는 부분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신약개발 과정에서 제기되는 법적쟁점이 지니는 규범적인 함의를 모색한다.

신첨성대 - 에이즈산업의 노다지

  • 조명환
    • 과학과기술
    • /
    • 제29권11호통권330호
    • /
    • pp.86-87
    • /
    • 1996
  • 흑사병, 독감, 말라리아에 이어 이번에는 에이즈가 인류를 괴롭히고 있다. 치사율 100%에 예방백신 치료약이 없는 에이즈로 해마다 48만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 아직 백신 개발은 안되었지만 미국ㆍ프랑스 등 선진국에선 치료약 등 에이즈 산업으로 엄청난 돈을 벌고 있는 것이다.

  • PDF

기술개발성공사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의과학연구센터 정서영박사팀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2권11호통권366호
    • /
    • pp.88-89
    • /
    • 199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 자리하고 있는 의과학연구센터 정서영박사팀은 세계 최초로 주사 대신 먹을 수 있는 폐렴백신 전달체를 개발하여 주목받고 있다. 94년부터 5년동안 10억원의 연구비를 투입하여 얻은 이 기술은 이미 국내외에 특허출원을 끝내고 '뮤코백스'라는 상품으로 세계 유명 백신제조회사들과 임상실험 및 라이센싱 계약을 추진중에 있다.

  • PDF

닭 콕시듐병의 면역학적 접근에 대한 전망 (Prospects for Immunological Intervention for Coccidiosis)

  • Lillehoj, H.S.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1-176
    • /
    • 1992
  • 콕시듐병은 감수성이 있는 숙주의 장에 주로 감염된 Eimeria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가축과 가금의 성장과 사료이용에 막대한 해를 미친다. Eimeria속에 속하는 원충은 주로 세포내에 기생하며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을 거쳐야 하는 매우 복잡한 생활사를 가진다. Eimeria에 대한 백신개발은 주로 방어면역의 기전과 백신에 사용될 수 있는 항원을 찾는 방면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원충은 질병 본래의 모습이나 전파방법이 독특하므로 원충성 질병의 방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점이 충분히 숙고되어야 할 것이다. 난해하고 복잡한 세포나 세포 분비물질간의 작용은 콕시듐병의 병성기전 뿐 아니라 방어 면역의 형성에도 매우 깊이 관여하고 있다. 따라서, Eimeria의 감염에 따른 방어기전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백신을 개발하는 첩경이 될 것이다.

  • PDF

작약(Paeonia lactiflora) 뿌리 추출물의 대식세포에서 p62/SQSTM1 증가를 통한 자가포식 유도 (Induction of Autophagy by Paeonia lactiflora Root Extracts through Upregulation p62/SQSTM1 in RAW264.7 Cells)

  • 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5-281
    • /
    • 2023
  • 본 연구에서 우리는 작약 뿌리 추출물이 TLR4/PI3K/Nrf2 신호전달을 통해 p62/SQSTM1을 증가시켜 대식세포에서 자가포식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의 자가포식 유도는 선천성과 적응성 면역 반응 간의 연결을 강화해 백신 보조제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표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작약 뿌리 추출물은 백신개발에 필수적인 백신보조제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