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현 양상

검색결과 1,225건 처리시간 0.028초

난자와 배아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을 위한 효과적인 Real Time RT-PCR 방법 (undefined)

  • 정유정;신현상;최혜원;최향순;김남형;전진현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5-205
    • /
    • 2004
  • 최근에 개발된 real time RT-PCR 방법은 소량의 시료에서 특정 유전자의 mRNA 발현 양상을 분석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난자 또는 배아와 같이 성숙과 발생단계에 따라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현저하게 변화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시료에서 발현 양상이 크게 변하지 않는 대조군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전자를 이용한 비교, 분석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의 난자와 초기 배아를 이용한 real time RT-PCR에서 mRNA의 추출방법과 형광 probe의 사용 유무 그리고 대조군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전자들에 대한 검증을 시행하였다. (중략)

  • PDF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의 발현양상 분석 (Expression Patterns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uring Growth Stages of Hanwoo(Korean Cattle))

  • 장요순;윤두학;김태헌;정일정;조진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677-684
    • /
    • 2002
  •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 탐색에 관한 연구(장 등, 2002)에서 선정된 후보유전자 중, EPV 20, TCTP 및 aldolase A를 비롯하여 24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강한 signal을 나타낸 ADRP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장단계별 한우 등심조직 시료를 사용하여 semiquantitative RT-PCR 및 nor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다. EPV 20 유전자는 한우 등심조직에서 성장단계에 따른 발현량 차이가 거의 없는 결과를 근거로, 근육조직에서 항상 발현되는 유전자로 판단하였다. 또한 발달단계에 따라 발현량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aldolase A 유전자 역시 뚜렷한 발현량 차이는 없었으며, aldolase A의 muscle specific promoter와 근육분화 관련 transcription factor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근육분화 및 근육수축에 있어 aldolase A의 역할 및 조절작용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성장관련 단백질로 알려져 있는 TCTP의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한우 등심조직에서 성장함에 따라 발현량이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발현양상 분석결과로 TCTP 유전자는 성장과 관련된 기능이 있지만 동물의 성장에 있어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세포 분화의 초기단계에서 발현량이 급증하고 lipid droplet 형성에 관여하며 지방축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ADRP 유전자의 transcript의 크기는 약 1.82 kb 이었고, 24개월령 한우 등심조직에서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30개월령 조직에서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ADRP 유전자를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로 선정하였으며, ADRP 유전자의 발현양상은 근육내 지방축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에는 발현조절 기작의 해명 및 근육내 지방축적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하여 ADRP 유전자의 전체적인 구조 및 전사조절 인자 분석을 비롯하여 다른 지방대사 및 지방축적 관련 유전자와의 상호작용 및 다형성 탐색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표고버섯 렉틴의 사이토카인 생성 양상 및 특성 (EFFECTS OF LENTINUS EDODES LECTINS ON CYTOKINE GENE EXPRESSION FROM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이인경;김희선;전경희;김성광;정시련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3-113
    • /
    • 1995
  • 본 연구는 표고버섯에서 분리정제한 렉틴 성분(LEL)을 말초혈액 단핵세포(PBMC)에 반응시켜 사이토카인 유도능을 지질다당류(LPS)와 비교하여 역전사효소 중합반응법(RT-PCR)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대상 사이토카인은 IL-1, IL-2, IL-6, TNF$\alpha$ 및 IFN${\gamma}$의 다섯가지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PBMC에 렉틴을 적용하여 1, 8, 24, 48, 72, 96, 120분 등의 시간대에서 반응시켜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 유도에 관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LEL의 사용 농도에 따른 편도선 림프구(tonsillar lymphocyte)의 TNF$\alpha$ 유전자 발현 양상은 반응 1시간의 경우 LEL의 일부 농도와 LPS 전농도에서 관찰되었으나 반응 40시간째에는 LEL 전농도와 LPS 전농도에서 TNF$\alpha$ 유전자 발현 양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RT-PCR 결과 원액이나 회석액 재료로부터 관찰된 TNF$\alpha$유전자 band의 강 약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LEL의 자극에 의한 반응 시간대 별 PBMC에 의한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 양상은 위에서 언급된 다섯가지 사이토카인을 유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IL-2, IL-6 및 IFN${\gamma}$는 120시간까지 장시간 지속되는 유전자 발현이 가능한 반면 TNF $\alpha$의 생성 양상은 이들 사이토카인의 생성 양상과는 판이하게 반응 1, 8 및 24 시간대까지만 TNF$\alpha$ 유전자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고 IL-1은 72 시간까지 반응을 나타내는 등 특이적 양상을 보였다. 한편 LPS는 실험에 사용된 전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을 120시간대까지 반응이 유지됨을 관찰하였기에 LPS가 PBMC의 강력한 사이토카인 유도체임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LEL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나 LEL 또한 PBMC로부터 사이토카인을 생성 유지시킬 수 있는 유도체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BAPN으로 유도된 구개파열 백서의 osteonectin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osteonectin expression patterns in BAPN-induced cleft palate formed rats)

  • 태기출;김은철;이선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3-440
    • /
    • 2000
  • 이 연구는 정상구개백서와 비교하여 구개 파열 백서에서 osteonectin 발현 양상에 대한 관찰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임신 9일째 백서 4마리를 구입하여 1마리의 대조군과 3마리의 실험군으로 구분한후, beta-aminoproprionitrale를 임신 13일째 1g/kg체중 비율로 실험군에 투여하였다. 그 후 임신 20일째 백서를 모두 희생하여 대조군에서는 12마리, 실험군에서는 33마리의 백서 태자를 얻어 그 중 실험군에서 총 6마리의 구개파열 백서태자를 얻었다. 구개파열 백서태자 5마리를 각3마리씩 면역조직화학염색과 Western blot검사를 위해 나누고, 대조군의 구개와 구개파열군의 구개에서 osteonectin 발현양상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1. 구개파열 백서의 간엽조직에서 osteonectin 발현 양상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은 형태를 보였다. 2. 구개파열 백서의 골아세포와 골세포에서 osteonectin 발현 양상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형태를 보였다. 3. 구개파열 백서의 비강 상피에서 osteonectin 발현 양상은 구개 상피의 발현양상과 차이가 없었다. 4. Western blot분석에서 구개 파열 백서의 osteonectin 밴드 굵기와 두께는 정상군에 비해 얇고 희미하였다.

  • PDF

P-요소를 이용한 노랑초파리 난소에서의 세포특이적 유전자발현의 검출 (Probing Cell-Type Specific Gene Expression in the Ovarian Cells of Drosophila by P-Element Mediated Enhancer Detection)

  • 계명찬;조경상;김경진;이정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05-513
    • /
    • 1995
  • P-lement의 germ line transformation을 이용하여 초파리 난소에서의 세포특이적 유전자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표지유전자인 lacZ의 발현양상은 생식세포, 체세포, 두 종류의 세포에서 모두 발현되는 경우로 대별되며, 생식세포에서 lacZ의 발현은 조세포 또는 조세포와 난자에서 동시적으로 발현되는 경우로 구분되었다. 난자주변 난포세포에서의 lacZ 발현은 난자형성 9-10기 난포의 경우 모든 세포에서 균일하게 발현되거나 일부 세포에서만 발현되는 양상으로 구분되었다. 일부의 난포세포에서 발현되는 경우 난자와 조세포 경계의 난포세포에서 발현되는 경우, 이들을 제외한 난포세포에서 발현되는 경우로 구분되었다. 난자주위의 난포세포에서 난자의 전후축을 따른 구배현상도 관찰되었다. 극세포 또는 경계세포에서 발현되는 3개의 독립라인을 분리하였다. 독립된 EDL의 난소에서 나타난 lacZ의 발현양상은 초파리 난자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시간과 공간적인 발현을 반영하며 이들 유전자 분리의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폐쇄성과 비폐쇄성 무 정자증 환자의 고환 내 세포 자연사 관련 인자들의 발현 변화와 SELDI-TOF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단백질 발현 분석 (Differential Expressions of Apoptosis Regulators and Protein Profiling by SELDI-TOF Mass Spectrometry in Human Testis with Obstructive and Non-obstructive Azoospermia)

  • 김슬기;김호승;이호준;박용석;서주태;윤용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21-132
    • /
    • 2005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자형성과정의 이상과 고환세포의 세포자연사와의 연관관계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SELDI-TOF MS 분석을 통하여 고환 내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질환에 따른 효과적인 biomarker 개발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재료 및 방법: RT-PCR 및 면역조직화학법을 사용하여 고환에서의 Fas, FasL, Bcl-2, Bax와 Caspase-3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in situ DNA 3'-end-labelling 방법으로 고환세포의 세포자연사 양상을 확인하였다. SELDI-TOF MS 분석법에 의한 고환의 병리학적 소견에 따른 단백질 발현 변화는 소수성 칩 ($H_4$)을 사용하여 분자량 10~100 kDa 범위 내에서 분석하였다. 결 과: 정상적인 정자형성과정을 보이는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의 고환에 비해 지주세포 증후군 (Sertoli cell only syndrome)과 성숙정지 (maturation arrest)를 보이는 고환 내 생식세포와 지주세포에서 세포자연사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자연사 관련인자들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 환자군에서 Fas와 FasL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bcl-2, bax와 caspase-3 mRNA 발현의 경우에는 두 질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FasL 단백질 발현의 경우, 세포자연사의 증가가 관찰되었던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를 보이는 환자의 간질세포와 지주세포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SELDI-TOF MS 분석 결과에서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군에 비해 전체적인 단백질 발현양이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 환자의 고환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16.730 kDa 단백질의 현저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자형성과정의 장애는 생식세포의 비정상적인 세포자연사와 연관되어 있으며, 고환 내 Fas와 FasL의 비정상적인 발현이 주된 원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ELDI-TOF MS 분석법을 통한 단백질 발현 양상의 연구는 무정자증 환자에서의 다양한 병리학적 소견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biomarker 발굴뿐만 아니라 질환의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자 정아 동결보존과정에서 AFP 처리 시 저온관련 유전자의 발현양상 (Expression pattern of low-temperature-related genes by the treatment of AFP in the cryopreservation of potato shoot tips)

  • 서지향;전수민;;한증술;박인환;김창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78-483
    • /
    • 2017
  • 기내배양한 감자에 1일, 2일, 3일간 저온처리 후 저온관련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저온 처리 기간이 늘어날수록 PPI1, CI21B유전자의 발현양은 증가하였고, CBF4, CI21A 유전자의 발현양은 감소하였다. 또한 CI21A와 CI21B유전자의 잎, 줄기, 괴경에서 명 처리와 암 처리 기간별로 저온 처리기간에 따른 유전자의 발현의 차이를 보았다. 이에 근거하여 감자 정아의 동결과정 중에서 LS단계와 PVS2 단계에서 AFP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저온처리 기간이 늘었을 때의 유전자 발현양상과 AFP 특정 농도에서의 발현 양상이 동일하였다. LS단계에서는 1,500 ng/ml AFP 처리와, PVS2단계에서 500 ng/ml AFP 처리가 감자 정아의 초저온동결보존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유전자의 발현 양상으로 확인하였다.

분열형 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자외선 유도유전자 UVI-180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UV-Inducible Gene (UVI-180)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Park, In-Soo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8권3호
    • /
    • pp.225-230
    • /
    • 2003
  • 본 연구는 DNA 상해유도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하등 진핵생물인 분열형 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로부터 subtraction hybridization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 유도 유전자인 UVI-180을 분리하고 그 유전자 구조와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UVI-180유전자의 발현양상을 Northern hybridization 방법으로 살펴본 결과 자외선(ultraviolet-light)조사 1시간 후에 최대의 발현 증가를 나타내었다. 반면 알킬화제인 MMS(methyl methanesulfonate)처리에 의해서는 전혀 발현이 증가되지 않았다. 이 결과 UVI-180유전자는 DNA상해에 따라 각기 다른 발현양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유전자의 기능을 알기 위하여 null-mutant세포 주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이 유전자는 세포의 성장에 필수적인 유전자임을 알 수 있었다.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atrix Metalloproteinse-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 비교 (Interrelationship of of Matrix metalloproteinase-13 and Elastase Expression in Human Gingiva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to Type 2 Diabetes Mellitus)

  • 박현규;이재목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2호
    • /
    • pp.397-408
    • /
    • 2006
  • 치주질환은 치아 지지조직의 파괴로 튿정 지어지는 감염성 질환으로서 이것은 주로 조직의 교원질 성분을 분해시키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여러 연구에서 당뇨병과 치주질환의 심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으며 당뇨병이 치주염을 포함한 구강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며 역으로 만성 치주염의 염증성 매개물질에 의해 인슐린 작용이 방해받을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치주염 환자와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여 병리 기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두 단백질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북대 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의 비당뇨 환자의 정상 치은 부위,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각각 8개의 변연 치은을 채득하여 액화 질소에 급속 동결시켰다. 모든 조직 샘플에서 동량의 단백질을 western blotting을 통해 분석하여였고,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한 후 ANOVA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분석에서 MMP-13은 제 2형 당뇨를 가진 환자의 염증성 조직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고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성 조직과 정상 조직에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elastas는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 없이 유사한 양상으로 발현되었고, 염증성 조직에서도 당뇨병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편 조직내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MMP-13은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의 치은 염증초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나타났으며,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조직과 당뇨를 동반한 환자의 염증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양상은 큰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Proteomics 기법을 이용한 복제태반 분석

  • 김홍래;이혜란;강재구;윤종택;성한우;정진관;조민래;박창식;진동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38-238
    • /
    • 2004
  • 세포 내에서 발현되고 있는 protein들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기법으로 최근 proteomics에 기초하여 2차 전기영동과 MALDI-TOF MS에 의한 protein 분석방법이 개발되었는데, 특정 조직에 또는 특정 발생시기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protein의 발현양과 발현양상을 비교ㆍ분석하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최근 체세포 핵이 식기술을 이용하여 동물의 복제가 성공하고 있지만, 임신 중이나 분만시 유사산이 많이 나타나 전반적인 효율이 크게 낮아 실용화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