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용교육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18초

미용학원의 교육 서비스 품질이 수강 만족도와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on th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the Course at the Beauty Academy)

  • 양채윤;전연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61-26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학원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수강생들의 수강 만족도와 교육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융합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 미용학원에서 수강중인 10~40대를 대상으로 2020년 3월 29일부터 4월 12일까지 설문을 진행하여 377부의 설문을 분석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 목적에 맞추어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 서비스 품질의 공감성과 신뢰성, 대응성, 유형성, 확신성이 높을수록 수강만족도가 높았다. 수강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육성과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용학원의 수강만족도와 교육성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서비스 품질향상 방안은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을 다양화하고 교육품질과 서비스의 전문성을 높여 교육의 질과 만족도를 향상하여야 한다. 교육의 전문성을 강화하여 경쟁력 향상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향후 수강만족도와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개발과 미용교육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교육 방법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피부미용 온라인교육의 교육품질과 강사특성이 교육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education quality and instructor characteristics of online skincare education on intention to continue educ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 satisfaction)

  • 김가을;남미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795-81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미용 온라인교육의 특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이 교육만족도와 교육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온라인교육 특성과 교육지속의도 간 관계에서 교육만족도가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 온라인교육 경험자인 서울 및 수도권 거주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6.0을 이용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회귀분석, SPSS 프로세스 매크로 4번 모형(mediation conditional process analysis)을 활용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 온라인교육의 교육품질은 편의성과 신뢰성 요인이, 강사특성은 학습자 이해, 피드백의 신속성, 전문성, 매력성, 진실성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편의성, 신뢰성, 학습자 이해, 피드백의 신속성, 전문성, 매력성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교육만족도는 교육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지속의도에는 편의성과 피드백의 신속성, 전문성, 매력성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자의 이해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품질 및 강사품질과 교육지속의도 간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중 강사특성의 피드백의 신속성이 교육만족도와 교육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온라인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분석이 제외된 것을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인식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Skin Care Subjects Using VR)

  • 이정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485-149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VR에 대한 의식을 바탕으로 VR을 활용한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을 위한 교육환경을 확보하고자, 총 105명의 학습자들의 VR에 대한 인식, VR의 체험요소, VR활용 피부미용교과목 개발 인식,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을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조사결과, VR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교육적 성과와 몰입도가 높을 것으로(p<.01), 학력이 높을수록 VR 활용 피부미용 체험요소인 일탈성, 인지성,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상관관계에서는 VR이용 스킨케어 경험요인이 높을수록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기대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VR을 활용한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과 교육이 빠르게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VR 활용 피부미용교과목 개발과 운영 후의 연구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 - 성취도 분석을통한 NCS 교육 개선 방안 (A Plan to Improve Hair Beauty NCS Education through Importance - Performance of Hair Beauty Field by NCS Ability Unit)

  • 최은화;이순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73-784
    • /
    • 2021
  •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헤어미용분야 NCS기반 교육 효과성의 확인과 향후 개선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이 평가하는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와 그들이 평가하는 신입디자이너들의 성취도를 IPA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중요도-성취도 간의 차이와 이를 통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연구결과 헤어미용분야의 NCS교육은 기존 41개 능력단위 중 중점 개선 항목 6개, 유지 강화 항목 21개, 장기개선 항목 14개, 개선 고려 항목 1개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창의성의 부족, 최신 정보수집 및 분석 능력부족 등이 나타나 NCS 교육현장에서 헤어디자이너로서의 창의적 능력개발에 대한 노력의 필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지역사회융합을 위한 재능기부 피부미용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kin Care Program Development by Talent Donation for Community Together)

  • 윤진숙;이재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403-411
    • /
    • 2017
  • 최근 사회통합을 위해 재능기부측면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자들을 중심으로 재능기부 프로그램에 관한 교육과정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문헌연구에서 밝혀진 핵심요소들은 교육과정의 내용으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은 미용재능을 가진 분들이 재능기부를 더욱 확대하는데 참고할 수 있다. 지역사회와의 융합을 위한 본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은 재능기부의 목표, 교수 학습방법, 평가항목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교육프로그램은 재능기부의 이해영역과 피부미용의 테크닉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NCS 기반 네일미용 교육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및 수업만족도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NCS-Based Edu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 유안나;유선희;리순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06-215
    • /
    • 2020
  • 본 연구는 NCS를 기반으로 한 수업에 대한 네일미용의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NCS 교육 필요성과 교육인식, 수업만족도에 대하여 알아보자 하였다. 2017년 4월 21일부터 2017년 5월 31일까지 서울, 경기에 위치하고 있으며, NCS를 기반으로 하는 네일미용의 교수자 70명, 학습자 290명의 설문지를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NCS 기반 네일미용 교육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NCS 교육인식 및 수업만족도에 대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교수자는 자기효능감(r=.466, p<.01)과 적절성(r=.474, p<.01)에서, 학습자는 적절성(r=.609, p<.01), 자기효능감(r=.586, p<.01), 교육필요성(r=.338, p<.01), 인지도(r=.193, p<.01)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확인됨에 따라 교육필요성, 자기효능감, 적절성이 높을수록 학습자의 NCS 수업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의 NCS 교육필요성, 교육인식 및 수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로써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피부미용 전공 교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이 학습자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application on learner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operative self-efficacy in esthetic major subjects)

  • 박정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0-167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의 피부미용 전공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에 따른 학습효과를 알아보고, 피부미용 교육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H대학교에 개설된 피부미용 전공 교과목인 "동양요법" 수강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PBL 수업을 적용하여 실증적 교육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BL 수업을 참여한 후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평균값이 상승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PBL 교수학습법의 효과성이 확인되어 피부미용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상승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4년제 미용융합 교과과정 및 운영방법에 대한 재학생 만족도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for 4-Year Beauty Convergence Curriculum and methods of operation)

  • 이경아;강수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27-2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과정과 운영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교과과정의 기본방향과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전남지역에 있는 4년제 대학 미용관련학과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156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미용관련학과 재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자부심이 매우 강하고 실기교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학과 운영방법에 있어 교수강의 능력은 매우 만족할 수준이나 실습기자재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관련학과 학습 환경이 개선되어 지길 바라며, 미용관련학과 재학생들의 교과과정 만족도 및 운영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융합적 교육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기를 바란다.

소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용분야 대학생 창업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탐색적 데이터 분석법을 기반으로- (Study on the Policy of Supporti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Beauty Field through Social Big Data Analysis: Based on exploratory data analytics)

  • 윤미연;박남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53-86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용분야 창업 활성화를 위해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을 기반으로 하여 2019년부터 2021년 동안 각 년도별로 기간을 구분하여 '미용창업'에 대한 수요 변화와 감정 및 의미 차이의 특징적인 패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미용창업' 키워드를 주제로 연관된 검색어를 추출한 결과 창업에 필요한 전문적인 창업교육 보다는 미용관련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기관이나 자격증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는 정부 및 지자체에서 여러 가지 창업지원 정책들이 마련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문적인 창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미용분야 창업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한 전공별 맞춤형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탐색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전통적인 확증적 데이터 분석(CDA)을 결합하여 가설을 검증한다. 미용 창업을 위한 탐색적 데이터 분석 방법이 존재한 적은 없으며, 정식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보다는 미용창업에 대한 관심 변화와 예비창업자의 요구사항을 탐색적 데이터로 분석한다면 맞춤형 창업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NCS기반 2년제 뷰티미용과 교육과정 개편 연구 및 개편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 연구 -C대 뷰티미용과를 중심으로- (Redesign of 2-year Curriculum for Dept. of Beauty & Cosmetology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Revised Program - Focusing on Dept. of Beauty & Cosmetology, 'C' University -)

  • 박춘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00-512
    • /
    • 2019
  • 최근 거의 모든 산업체가 관련 산업종사자의 능력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 기술, 소양 개발을 위한 학습 경험을 구성, 운영, 평가하는 체계화적인 교육 활동 설계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C대 뷰티미용과 교육과정을 2014년, 2015년 교육과정과 2016년 3월부터 적용한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 질적분석, SWOT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2016년도부터 적용한 NCS 기반 교육과정이 2014년, 2015년 교육과정에 비하여 강점, 약점, 위험도, 기회 분석에서 훨씬 진일보한 교육과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재학생의 만족도 분석 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는 47.9~57.2%로 보통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공분류 진입시기에 따른 만족도는 1학년 2학기에 분류하기를 희망하는 재학생이 79.5%로 나타났으며 전공분류시기에 매우 불만족한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NCS기반 2년제 뷰티미용과 교육과정 개편 연구 및 개편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좀 더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편으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미용관련분야의 산업체에서 원하는 인재양성 함양을 기대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