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design of 2-year Curriculum for Dept. of Beauty & Cosmetology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Revised Program - Focusing on Dept. of Beauty & Cosmetology, 'C' University -

NCS기반 2년제 뷰티미용과 교육과정 개편 연구 및 개편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 연구 -C대 뷰티미용과를 중심으로-

  • 박춘란 (청암대학교 뷰티미용학과)
  • Received : 2019.05.08
  • Accepted : 2019.07.05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Recently, almost all industries are focusing on improving the competency of related industry workers, and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ystematic educational activity plan that constructs, operates and evaluates learning experiences for knowledge, technology and literacy development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This study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2015 and 2014 curriculum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based one which has been applied since March 2016 against those from Department of Beauty & Cosmetology, 'C' University.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and SWOT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The NCS-based curriculum which has been applied since 2016 is more advanced than 2015 and 2014 curriculum in terms of strength, weakness, risk and opportunity. In addition, their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was more than average with 47.9-57.2%. Meanwhile, when asked their favorite time to decide their academic major, 79.5% answered, '2nd semester of the 1st year'. They were very dissatisfied with the fact that their academic major is decided in the second year. It is anticipated that the NCS-based 2-year curriculum for Dept. of Beauty & Cosmetology is redesigned through analysis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by reflecting their opinion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in a more practical and systematic manner would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and generate workforce for cosmetology industry.

최근 거의 모든 산업체가 관련 산업종사자의 능력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 기술, 소양 개발을 위한 학습 경험을 구성, 운영, 평가하는 체계화적인 교육 활동 설계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C대 뷰티미용과 교육과정을 2014년, 2015년 교육과정과 2016년 3월부터 적용한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 질적분석, SWOT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2016년도부터 적용한 NCS 기반 교육과정이 2014년, 2015년 교육과정에 비하여 강점, 약점, 위험도, 기회 분석에서 훨씬 진일보한 교육과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재학생의 만족도 분석 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는 47.9~57.2%로 보통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공분류 진입시기에 따른 만족도는 1학년 2학기에 분류하기를 희망하는 재학생이 79.5%로 나타났으며 전공분류시기에 매우 불만족한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NCS기반 2년제 뷰티미용과 교육과정 개편 연구 및 개편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좀 더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편으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미용관련분야의 산업체에서 원하는 인재양성 함양을 기대하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임, "NCS에 기초한 국가 교과 과정의 비판적 검토,"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8호, pp.69-82,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8.69
  2. 민선향, "NCS 기반 비서 교육 과정 개발 사례 연구," 직업 교육 연구지, 제34권, 제2호, p.54, 2016.
  3. 장명희, 전승환, 정동열, "NCS 기반 교육 교과 도입에 따른 중등직업교육 교원의 양성, 임용, 연수 개선 요구분석," 직업교육연구, 제33권, 제6호, pp.159-182, 2014.
  4. 김영락, 최수천, 이태정, 윤우영, "NCS 기반 커리큘럼의 지속적인 품질 향상(CQI)에 관한 연구," 세무 회계연구회, 제40권, 제4호, pp.115-123, 2015.
  5. 윤우영, 최수천, 이태정, 김영락, "NCS 기반 교과 과정 개편에 관한 연구," 세무회계연구, 제44권, 제4호, pp.181-188, 2014.
  6. 오만덕, 이승희, "NCS를 활용한 전문대학 교육과정개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651-66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651
  7. 통계청,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표준직업분류, 2015.
  8. 교육부, NCS 기반 커리큘럼 교육 및 핵심 인력 교육, 충남대학교, 2014.
  9. 김정숙, "NCS 기반 교과 과정 과제 분석이 학습 결과에 미치는 영향, -피부미용 얼굴관리 교과목을 중심으로-," 대한미용학회지, 제12권, 제2호, p.176, 2016.
  10. 김지은, 미용계열학과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취업준비에 미치는 영향,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건국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1. 안재두, 이복자, 조규현, "전문대학 관광경영과 교육과정 수정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1권, 제2호, pp.193-233, 1990.
  12. 임희야, 전문대학 미용 교육의 기술적 목표성취를 위한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3. 문용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이용한 전문 대학의 회계 커리큘럼 개편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제28권, 제4호, p.31, 2014.
  14. 홍수남, 방효진, "2년제 미용관련대학 교육과정에 따른 전공 선택 발전방안,"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4권, 제3호, pp.359-365, 2013.
  15. 박채영, 박정연, "2년제 대학의 피부미용 전공 트랙교육과정 현황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제22권, 제3호, pp.202-208, 2016.
  16. 전현진, "미용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제21권, 제6호, pp.1212-1223, 2015.
  17. 유현숙, 최은영, "미용관련학과 학제에 따른 교육과정 및 관련변인 비교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11권, 제3호, pp.521-534, 2013.
  18. 김지영, 장미여, 박은준, "미용전공자의 특성에 따른 전공선택동기," 한국미용학회지, 제23권, 제5호, pp.986-993, 2017.
  19. 정동열, 김연정,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교과 과정 개편 연구, -S대 비서전공을 중심으로-," 직업 및 자격 연구, 제3권, 제2호, pp.1-39, 2014.
  20. 함봉수, 현장에서 건져 올린 전문대학 자기혁신, 삼성경제연구소, pp.18-57, 2008.
  21. 이미선, "전문대학 미용관련 학과의 뷰티연구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수원여자대학 논문집, 제1권, 제1호, p.78, 1999.
  22. 박동열, 교육기관에서의 NCS 적용 성과와 향후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료집, pp.57-74, 2013.
  23. 박성희, 전문대학 미용과 졸업생들의 커리큘럼에 대한 만족도 조사,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4. 정희영, 박옥련, "군집분석을 통한 가치관집단별 전공만족도 및 진로 성숙고의 차이분석," 한국미용학회지, 제15권, 제2호, pp.630-638, 2009.
  25. 최현주, 식품 서비스 관리자에게 필요한 역량 및 관련 교과 과정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5, 2006.
  26. 송창용, 인적자원개발 지수, 교육인적자원개발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27. 윤태효, 피부미용 관련학과의 전공분류 및 교육과정 개선 방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54-55,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