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만족도측정

Search Result 1,07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ing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for Public Library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공공도서관용의 개발)

  • Oh, Dong-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7 no.4
    • /
    • pp.335-361
    • /
    • 2013
  • This study tries to develop the so-called LCSI (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for public library which can be used easily in the fields as a simplified model. Its conceptual model is developed from the former research about library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the analyses on the twenty Delphi-type AHP questionnaires both from the library researchers and from the public library practitioners, and on the analysis and testing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data from the more than 800 user questionnaires, it suggests a model which consists of total 15 items - namely 8 items for service quality (2 for personnel, 4 for library resources and services, 2 for facilities and environment), 3 items for customer satisfaction, and 2 items for loyalty. Library Satisfaction Index for public library will be calculated by the sum total of service quality (50%), customer satisfaction (40%), and loyalty (10%).

A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 Framework for Public Library Services (공공도서관 서비스 고객만족도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Kim Sun-A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7 no.3
    • /
    • pp.193-208
    • /
    • 2006
  • The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s close with the loyalty, rate of disconnection and re-purchase and the new customer creation is important in point of the enterpris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that applied different models in other to assess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public and non-public area. But the general evaluation models which are existing can't consider the discrimination characteristic of different types of products or services. And these models didn't reflect the quality of the Internet environment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 which appears newly. This study delved into literature of library serv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evaluation and suggest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public library service and the evaluation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 for public library.

  • PDF

Development of a Kansei Analysis System on the Physical User Interface (사용자 만족도개선을 위한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조작감성 평가체계 수립방안)

  • Oh, Jin-Wook;Park, Jong-Hyun;Jo, Jang-Hyeon;Lee, Cheol;Yun, My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194-1200
    • /
    • 2006
  • 사용자-제품 상호작용(User-product interaction)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는 제품의 사용편의성(Usability)과 감성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특히, 물리적으로 사용자와 제품의 기능을 연결하는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감성품질은 시각뿐 아니라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헌조사에 의하면, 사용자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의 시각적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품의 전체적인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PUI의 전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User Satisfaction)의 정량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며, PUI의 감성품질을 구성하는 시각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조작장치를 잡는 느낌, 조작장치가 움직일 때의 동작감, 조작장치 작동 시의 청감 등 사용자와 조작장치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전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UI의 구성요소 중 동적인 조작장치의 촉감, 동작감, 청감에 대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조작 장치의 감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였고, 감성의 요소를 중복 설명하지 않는 상호독립적인 의미를 가진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고 분류한 후, 추출한 형용사를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사용자들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여, 조작장치의 전체적인 사용자 만족도와 촉감, 동작감, 청감 간의 상관관계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공학 전문가와 제품설계 전문가로 이루어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잡는 느낌, 동작감, 청감과 관련된 조작장치의 적절한 설계 변수를 결정한 후 설계값을 측정하였으며 감성 만족도와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감성품질 요소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제품개발자들이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설계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고, 감성품질을 결정하는 설계특성값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for validation of the parental satisfaction scale for child care centers (어린이집 이용만족도 척도 타당화 연구)

  • Shin, Nary;Ahn, Jae-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36
    • /
    • pp.231-25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arental Satisfaction Scale for Child Care Centers, which modified the Client Satisfaction Scale (CSS; Kim, 2009).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52 parents of children who were between the ages of one to five and who attended child care centers. The five-point rating scale consisted of 21 items with two sub-dimensions. The results from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that there are two dimensions in this scale. Thus, in terms of the face validity of this scale, a two-dimensional scale with 21 items is found to be appropriate. However, the items that consist of the two sub-dimensions a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CSS. The concurre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revised scale are relatively high. Also, the mea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with regard to item discrimination show significant difference. We conclude that the original CSS with minor revisions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assess parental satisfaction on child care centers.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Athleisure Brand Communities by Generation (애슬레저 브랜드 커뮤니티의 세대별 사용자 경험 연구)

  • Na, Hye Sook;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2
    • /
    • pp.397-40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r experience of athlesure brand community by generation through surveys, and to derive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consumption taste by generation. As a tool for measuring brand community, a questionnaire written 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s Model of Stephen P. Anderson was used and was conducted focusing on women in their 10s-40s, which are the main consum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community participation rate and satisfaction level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sumption tendency of each generation. In addition, focused on task satisfaction was high, but focused on experienc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improve satisfaction based on experience for revitalization of online and offline communities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e use of consumer-centered brand communities and brand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consumption demand by generation and consumption preference by demand.

온라인 광고가 점포 매출에 미치는 영향

  • Lee, Ji-Yeong;Gwon, Myeong-Ju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54-5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방송으로 신규 창업점포를 광고 또는 임의 노출했을 때, 시청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효율적인 광고를 하면서도 창업점포주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과 효과적인 매체를 분석하고 조사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라인 방송의 여러 매체들간 독립변인들과 대조군을 노출시켜, 이로 나타나는 결과 값들을 비교 분석하는 실험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방송 광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매출 상승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송중 주목, 흥미, 기억, 용인 등의 요인을 적용하여, 긍정적인 분위기로 시청자들의 창업점포를 각인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온라인 방송으로 신규 창업점포를 광고 또는 임의 노출했을 때, 시청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효율적인 광고를 하면서도 창업점포주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과 효과적인 매체를 분석하고 조사하고자 한다. 실험연구 진행방법으로는 매주 금요일 JBS 방송, 페이스북, 유투브에 노출시켜 점포 매출 전*후를 조사하여 온라인 방송이 매출의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매출에 영향이 미친다면 창업학도로서 큰 의미가 될 것으로 보여 논문 연구 진행중으로, 창업컨설턴트들에게 의미있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 PDF

Design and Analysis of a Survey for Raising Users′Satisfaction for S&T Contents (과학기술 콘텐츠 사용자 만족도 제고를 위한 설문 설계 및 해석)

  • 한선화;이주영;김정화;윤정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540-546
    • /
    • 2004
  • The quality of the content of a website is the key point for a successful website. Users' satisfaction can be raised by providing distinguished, high quality information. This rises the loyalty of the users to the website. S&T informatio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others. Therefore, we need special set of indexes to evaluate the quality of S&T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design and analysis of a user survey for examine the users satisfaction on S&T information. We also show the strategy to raise users'satisfac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 PDF

The VOC category analysis using NPS investigation - case study NDSL - (NPS 조사 기반의 VOC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Sang-Kuk;Ahn, Sung-Soo;Lee, Yo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281-28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정보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기반으로 하여 충성고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보서비스를 경험한 최근 1년이내 한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NDSL :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사이트를 이용한 회원을 대상을 조사를 하였으며, 조사목적은 NDSL 서비스의 추천지수 측정을 통하여 추천, 비추천 사유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조사방법은 전화조사(Telephone Interview)로 진행하고 표본 수는 500명의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고객충성도는 NPS(Net Promoter Score, 순고객추천지수) 이론에 근거하여 하였다. 연구결과 고객만족도 수준에 따라 비추천고객, 추천고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인터넷 등 정보의 발달로 고객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구전이 급속도로 노출되는 환경에서 고객의 만족도를 관리함으로써 충성고객을 확보하는데 사전 예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The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Benefits Sought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3
    • /
    • pp.293-30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여대생으로 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은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추구혜택은 패션 이미지, 체형결점보완, 여성스러움의 표현, 자기향상, 개성표현등의 5분야에 걸쳐 측정되었다. 결과로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은 각각의 모든 의복추구혜택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반면 신체만족도의 경우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이 특정 의복추구혜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부분의 신체에 만족하면 할수록 또한 이상적인 신체상이 중요하면 할수록 의복혜택을 통해 신체만족을 유지 또는 고양시키려는 소비자의 심리로 설명할 수 있다.

  • PDF

긍정심리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교육 만족도를 중심으로

  • 고유영;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31-35
    • /
    • 2023
  • 기업가정신은 기업가정신교육을 통해 개발할 수 있으며 창업의 성공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청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창업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창업에 대한 높은 목표와 열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창업 교육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고 창업의지와 이를 촉진하기 위한 기업가정신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의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가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113명의 표본 집단을 수집하였고, SPSS 28.0을 활용해 측정 항목의 타당성 및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