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을조직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ollecting and using maul records (마을기록물의 수집과 활용)

  • Kim, Duk-Mu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49
    • /
    • pp.299-325
    • /
    • 2016
  • This paper examines the importance, types, and locations of maul records, and the methods for collecting, preserving, and using them. Maul records reveal the nature of the residents' ordinary lives, help to closely examin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maul, and serve as cultural resources that supplement oral records. Collecting materials from maul records requires understanding the types, locations, and states of the records. Maul records should include records created by the local organizations, personal records by individuals, and records that evidence the history of the maul. The collection methods of maul records are categorized into regular collection, irregular collection, passive collection, and active collection. These records need to be locally conserved in the maul. They can enhance the residents' lives, and can be used to help produce books, posters, calendars, commercial advertisements, symbols, academic education, exhibitions, digital contents, and historical records. They are also useful in helping to market the history.

Establishment of New Rural Development Policy System Based on the Unit of a Community Organizations (주민조직 기반형 농촌지역개발정책시스템 구축에 관한 시론)

  • Yoon, Won Keu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0 no.4
    • /
    • pp.871-90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rural development policy system based on the unit of a community organizations. This study is to complement or replace the existing rural develop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unit of rural villages. The communalism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traditional rural villages has been weakened or destroyed. Especially, economic, social and spatial communalism of a rural villages has been weakened rapidly in the process of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for the last 50 years. This means that strong communalism inside rural villages and neighborhood independence from each others among rural villages are already weakened. Rural villages no longer represent rural area, unlikely the hypothesis policy makers have been used to set up rural development policies. Advanced countries like EU and Japan are well known to have a rural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units of social organizations in the rural area. These policies have been on the main stream in the era of local decentralization. Rural resident's organization made rural site's development plan using local assets and submitted to the public sector. Then the public sector examine its value and possibilities as a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public sector finalize the decision on subsidy grant. These policy patterns are already introduced partly in the field of urban development programme as well as rural development programme. It is time to apply those policies more widely and to examine more systematically.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Geomundo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social structure (일제강점기 거문도 근대화 과정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

  • Park, Min Joung;Park, Soon 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1
    • /
    • pp.36-48
    • /
    • 2016
  •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terms of the social structure in Geomundo. Before modernization, social structure in Geomundo was traditional society by a village unit. A village had community rituals and organization. There were independent parallel spatial structure among villages.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forced modernization' had been occurred by Japanese immigrants settling in a separate living space. The modernization was transplanted in a new established village and diffused into other villages. In the process of forced modernization, the connection among villages was reinforced, as the result of that modern social organization was emerg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rituals had been changed. During modernization indigenization period, advanced fishery technology and distribution system occurred capitalist production system helping to place modern norms in the general daily lif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ided organizations from local government and informal organizations reversed the trend of modernization through helping colonial exploitation policy. The spatial structure in Geomundo had become to hierarchical structure with intensified connectivity as the result of extensive spread of community territory. Modernization in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forced modernization' and could not re-established the community spirits. The community spirit has been broken up by dissolving the existing self regulating and self motivated organization.

  • PDF

Comparative Study of Establishing Korea and Japan Disaster Prevention Village (한국과 일본의 방재마을 구축에 관한 비교연구)

  • Shin, Ho-Joon;Jo, Han-Suk;Lee, Ji-Hyang;Back, Min-H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11-111
    • /
    • 2011
  •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 또는 기후변화로 재해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속에서 반복되는 재해를 극복하기 위해 세계 각지에서도 재해에 강한 도시와 마을 만들기에 대한 노력을 정책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방재시범마을에 대한 연구를 3곳에서 진행중에 있으며 일본의 경우 한신 아와지 대지진 이후 방재마을 조성사업이 매우 활성화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방재마을에 대한 이론 및 사례를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방재마을에 대한 정의 및 기본개념은 양국이 서로 유사하며 유형적인 면에서는 일본의 경우 자연재해 에방외에도 교통안전, 방범 분야까지 폭넓은 유형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구조적, 비구조적 측면은 재해에 대한 사전, 사후대책이 근간이 되어 구축 운영된다는 것이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실제 구축 사례를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구조적 측면은 성숙단게에 이르럿지만 비구조적 측면의 경우 경험부족과 짧은 사업기간으로 아직 미성숙단계에 있다. 일본의 경우 주민 스스로가 필요한 조례를 제정하고 활동에 있어서 주민주도하의 마찌츠쿠리 활동을 실시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에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비구조적인 운영 방안 및 주민참여방안이 연구되어야 하며 행정조직의 발전방안등에 대한 연구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 PDF

Effect of Attributes of Three Stakeholders on the Outcome of the Village-based Rural Tourism Project in Korea (농촌관광사업의 Stakeholders의 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 Cho, Gyoung-Rae;Park, Duk-Byeong;Jeong, Gu-Hyun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
    • v.19 no.2
    • /
    • pp.267-282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관광사업의 Stakeholders간의 관계 측면에서 참여주민의 특성이 개발기관과 주민조직의 특성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이 세 요소가 개발 성과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참여주민의 특성으로 사회와 참여주민에 대한 가치체계, 즉 사회자본의 요소들인 신뢰, 규범, 공동체의식 및 네트워크에의 참여를, 개발기관의 특성으로 지원내용과 지원만족도를, 그리고 주민주직의 특성으로 주민조직의 경영역량인 기획, 조직, 지도력, 통제를 측정항목으로 설정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45개 마을에서 227명의 농촌관광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사회자본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0.60으로 상당 부분의 영향을 미침을 설명하고 있었다. 반면 개발기관의 지원특성은 주민조직의 경영역량과 유의성 있는 상관이 있었으나 사업성과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사업의 효과가 외부지원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민 자체의 역량에 의해서 결정됨을 설명한다. 농촌관광사업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공동체의식, 주민과 개발기관간의 상호 신뢰감 조성 등 주민의식의 고양이 필요하며, 특히 주민조직체의 경영역량 함량을 위해 제도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Daedonggye in Noryeokdo, Jangheung, in the Early 20th Century (20세기 전반 장흥(長興) 노력도(老力島) 대동결(大同契)의 조직과 운영)

  • Kim, Gyung-Ok
    •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Folklife
    • /
    • no.33
    • /
    • pp.359-384
    • /
    • 2010
  • The studies on Daedonggye(大同契), by this time, have been mainly researched focusing on the ruling system of country villages related to 'King(王)-local governor(守令)-noble family(士族)' in Chosun Period. The result of it is that i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reveal the operation of country society and substance of the ruling class but made it wholly lacking studying on the organization of Daedonggye in fishing villages especially and the social structure after the opening of ports. The residents in Noryeokdo have operated Daedonggye for about 80 years from 1925 up to now. Anyone who is a householder in Noryeokdo has been a participant in a member of it. The reason is that the participation in Daedonggye is the most basic requisite to lead the community life of the fishing village. It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at the residents operated their Daedonggye in what way in the 20th century and what motive made them keep it prolonged for a long time up to the 21th century.

A Study on the Conflict Aspec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Case study of Anyang Myunghag Village) (도시재생사업의 갈등 양상에 관한 연구 (안양 명학마을 도시재생사업을 사례로))

  • Moon, Cha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1
    • /
    • pp.165-178
    • /
    • 2021
  •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which started in 2017,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urban redevelopment. Anyang Myunghak Villag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as selected in 2017 and is currently in its 4th year in 2021. During that time, many conflicts have occurred in the project promotion process, and conflicts are expected to occur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kind of conflicts occurred in what form and how the conflicts were resolved through what solutions at each stage by targeting these Myunghak Villag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lict aspects that occurred in the Myunghak Village urban regeneration project(①The occurrence of continuous conflict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②Composed of various conflict subjects and contents ③The role of conflict-related organizations is insufficient, ④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in conflicts) and implications for conflict management in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①continual conflict management plan, ②Early formation of the conflict management organization and strengthening its role, ③communication with residents for conflict management, ④customized conflict management for each stage of project implementation) was presented.

Study on establishment of a governance for agricultural NPS pollution management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 연구)

  • Jang, Jeong Ryeol;Um, Han Yong;Park, Hyeong Min;Jo, You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29
    • /
    • 2016
  • 새만금호의 목표수질 달성과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새만금호 상류 유역은 농경지 비율이 38%로서 높아 농업활동에서 유래하는 농업 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농업비점오염 저감기술의 개발하는 물리적 기술적 접근만이 아니라 농업인과 지역주민의 참여와 함께 행정적인 지원을 포함하는 사회 경제 문화적 접근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접근 즉, 거버넌스가 요구된다. 이러한 거버넌스를 새만금유역의 농업비점 관리에 적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새만금유역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구축 사업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를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추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각각의 요소별 추진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이를 상호 연계하여 운영하는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 구축의 접근 방향으로는 신규구축형과 기존정책사업연계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거버넌스 시스템은 참여단위와 행정단위, 그리고 이것을 연계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의 다층적 거버넌스 구조로 제안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는 공동체단위와 개별 농가단위의 참여 프로그램으로 설계하였다. 특히, 참여단위 거버넌스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커뮤니티비즈니스 육성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1차년도(2015년)에는 신규구축형을 중심으로 진행을 위하여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를 연구대상 지구로 선정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연구대상 지구에서 우리 마을과 물 이야기, 우리마을회의 등 통하여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 잠재자원을 발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침체된 마을 공동체를 마을길을 연결하여 다시 활성화 하고, 물이 흐르는 마을도랑으로 가꾸고, 단절된 이웃간 마음을 연결하기 위한 "마을길-물길-마음길 연결" 커뮤니티 비즈니스 프로젝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거버넌스구축 프로그램의 정보의 공유와 확산을 위하여 커뮤니티 비즈니스 안내판을 설치하고, 마을소식지(청파)를 제작배부하고 거버넌스구축 과정을 담은 마을영상다큐 제작을 진행하였다. 2차년도에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심화과정을 운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농촌지역의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거버넌스구축 등 정책 및 제도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