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ablishment of New Rural Development Policy System Based on the Unit of a Community Organizations

주민조직 기반형 농촌지역개발정책시스템 구축에 관한 시론

  • Received : 2013.11.10
  • Accepted : 2013.12.05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rural development policy system based on the unit of a community organizations. This study is to complement or replace the existing rural develop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unit of rural villages. The communalism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traditional rural villages has been weakened or destroyed. Especially, economic, social and spatial communalism of a rural villages has been weakened rapidly in the process of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for the last 50 years. This means that strong communalism inside rural villages and neighborhood independence from each others among rural villages are already weakened. Rural villages no longer represent rural area, unlikely the hypothesis policy makers have been used to set up rural development policies. Advanced countries like EU and Japan are well known to have a rural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units of social organizations in the rural area. These policies have been on the main stream in the era of local decentralization. Rural resident's organization made rural site's development plan using local assets and submitted to the public sector. Then the public sector examine its value and possibilities as a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public sector finalize the decision on subsidy grant. These policy patterns are already introduced partly in the field of urban development programme as well as rural development programme. It is time to apply those policies more widely and to examine more systematically.

이 연구는 농촌지역사회의 주민조직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농촌지역개발추진정책 시스템(주민조직 기반형 농촌지역개발정책)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관행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기존의 농촌 공간단위를 기반으로 하는 농촌지역개발시스템(공간 기반형 농촌지역개발정책)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농촌 공간 기반형 정책의 근거 가설이라고 볼 수 있는 '농촌마을은 소우주이고, 농촌마을이 농촌지역을 대표한다는' 주장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농촌마을에 있어서의 경제적, 사회적 및 공간적인 공동성은 이미 약화되거나, 퇴색되고 있다. 또한 농촌공간 만을 주된 농촌지역개발의 정책대상으로 할 경우, 현시점에서 제기되는 새로운 정책수요와 정책 환경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없다. 이 연구는 농촌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정책이 아닌, 농촌지역사회의 주민조직을 기반으로 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더 바람직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이미 EU의 대표적인 농촌개발정책인 리더프로그램이나 일본 등의 마을만들기 정책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많은 효과를 거두고 있고 현실적으로 주민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고 있다. 주민조직체에 기초한 농촌지역개발정책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다양한 조직체의 참신하고 전문적인 정책구상을 수용할 수 있고, 마을공간의 범위를 넘어선 농촌자원을 기초로 협력할 수 있는 정책추진 공간단위의 유연성을 아울러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제안하는 주민조직은 지역사회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 계획의 수립, 실천 및 주민역량강화를 실제로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다양한 조직으로서 '주민협의회'로 명명하고, 주민협의회를 지원할 수 있는 중간조직을 만드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중간조직은 지역의 여건에 따라서 주민주도 또는 행정주도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농촌활성화지원센터. (2013). 제1차 경기농촌현장포럼 교육/워크숍. 화성: 협성대학교.
  2. 구자인, 유정규, 곽동원, & 최태영. (2012). 마을만들기 진안군 10년의 경험과 시스템. 안양: 국토연구원.
  3. 김수석. (2003). NGO의 농정참여 실태와 과제. 농정연구, 189-209.
  4. 김진경 & 윤원근. (2013). 경기도 마을 만들기 지원계획 및 실행방안. 미발표자료
  5. 김정섭, 김미복 & 마상진. (2013).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및 시행의 시사점과 농촌정책의 과제. 농촌지도와 개발, 20(1), 1-39.
  6. 김정희. (2013). 농촌지역개발정책 재편 및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 농촌활성화컨퍼런스, 4-20. 제10차 농어촌정책포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울.
  7. 박대식 & 권인혜. (2011).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정책 개선방안. 농업전망2012, 353-38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울.
  8. 성주인 외. (2012). 농어촌 정주공간의 변화와 정책과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윤원근. (1999). 한국농촌계획론. 서울: 대학출판사.
  10. 윤원근. (2012). 일본에 있어서 농촌지역개발주체의 존재형태와 변화방향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제18권 제3호, 666-691.
  11. 윤원근 & 조영재. (2012). 농산어촌 생태문화산업자원 활용관련 정책개발시스템 구축방안, 농산어촌생태문화산업자원 활용증진방안, 267-337. 서울: 농림수산식품부.한국농어촌공사.
  12. 이기원. (2012). 무엇으로 농어촌을 활성화시킬 것인가?. 농업농촌의 길 2012: 격동하는 동북아, 굽이치는 소비자 트랜드. 369-387. 농업농촌의 길 2012 조직위원회, 서울.
  13. 조영재 외. (2011). 충청남도 희망 농어촌마을 만들기의 추진모형 및 실천. 공주: 충남발전연구원.
  14. 정철모. (2013). 지역재생을 위한 협동조합의 활용. 청송군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청송포럼, 2-3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울.
  15. 지역발전위원회. (2012). 지역발전, 우수사례 안에서 답을 찾아라. 서울.
  16. European Court of Auditors. (2010). Implementation of the Leader Approach for Rural Development. Luxembourg; Publication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17. OECD. (2006). The New Rural Paradigm. Paris.

Cited by

  1. 특화지역 분석을 통한 권역별 특화사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축산분야를 중심으로 - vol.22, pp.3, 2015, https://doi.org/10.12653/jecd.2015.22.3.0333
  2. 농촌 지역사회개발의 학습단계와 주민역량강화 -자립형 농촌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vol.24, pp.1,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7.24.1.0049
  3. 도시근교 농촌경관에 대한 거주민별 주관적 인식 비교 - 귀농·귀촌인의 특성을 고려한 경관관리 방안모색 - vol.26, pp.3, 2020, https://doi.org/10.7851/ksrp.2020.26.3.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