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라인댄스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3초

12주간 라인댄스가 노인여성의 치매 및 노화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week Line Dance on dementia and Aging-related factors in Elderly Women)

  • 김지원;순아름;김찬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43-249
    • /
    • 2019
  • 본 연구는 60-70대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주간 주 3회, 매회 60분 라인댄스가 치매 및 노화관련호르몬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본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 실시 후 BDNF, DHEA-s, 에스트로겐은 라인댄스 그룹에서 증가하였으나 통제그룹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 실시 후 Apolipoprotein B는 라인댄스 그룹에서는 감소하였으나 통제그룹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그룹과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 할 수는 없었지만, 라인댄스 프로그램 적용 그룹에서 치매 예방 및 노화를 지연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라인댄스의 뚜렷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연구대상과 높은 운동강도, 빈도, 시간 및 운동 장르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여성 노인의 라인댄스 체험 동기와 의미 탐색 (Motivation and Meaning of the Elderly Women's Line Dance Experience)

  • 김영미;오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71-479
    • /
    • 2021
  • 이 연구는 여성 노인들의 라인댄스 체험 동기와 의미를 살펴보고자 C시 J군에 소재한 보건소에서 라인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노인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 관찰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는 전사, 주제별 약호화, 의미 범주화 및 개념화의 단계를 거쳐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 노인들의 라인댄스 참여 동기는 주변의 권유나 건강의 회복과 유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인댄스 체험은 춤이 즐거움을 주며, 누구나 출 수 있다는 춤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다. 셋째, 라인댄스는 신체와 외모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을 향상시켰다. 넷째, 라인댄스는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어울릴 수 있는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다섯째, 라인댄스 체험은 무용을 통한 성취감과 몰입감을 향상시켰다. 여섯째, 가족들의 지지와 칭찬은 자존감을 높이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을 증진시켰다.

유방암 생존자의 라인댄스 참여효과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he Effect of Breast Cancer Survivors' Participation in Line Dance: A Phenomenological Study)

  • 강민재;변지용;박지혜;유미성;황서현;전용관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6호
    • /
    • pp.541-559
    • /
    • 2017
  • 본 연구는 라인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방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라인댄스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유목적 표집 방법에 따라 9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참여 경험을 통한 효과에 대해 깊이 있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여자가 경험한 라인댄스 프로그램의 효과로 신체적 효과 (생리적 변화, 소화 기능 향상, 수면의 질 향상, 신체의 유연성 증가, 인지 기능 향상), 심리적 효과 (재미와 즐거움, 활력, 평온, 자신감 향상, 자기만족), 사회적 효과 (가족 분위기 향상, 친밀도의 향상), 라인댄스 지속 효과(지속적 연습 및 스스로의 복습, 라인댄스 재미 발견, 참여의 지속 원함, 수업의 기대)로 범주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라인댄스에 참여하면서 서로에게 필요한 정보 공유 및 습득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다른 유방암 환자들과 공감 하고 서로 위안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이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라인댄스 프로그램은 향후 유방암 생존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중 하나로 사료되어 진다.

라인댄스 참여 중·노년 여성의 여가만족과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관계 (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of Line Dance Participating Middle-Aged and Old Women and Self-Respect, Quality of Life)

  • 송리라;김형남;전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53-164
    • /
    • 2015
  • 이 연구는 라인댄스에 참여하고 있는 중 노년 여성들의 여가만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이들의 인과관계 규명을 통해 중 노년 여성들의 여가만족을 위한 라인댄스 참여 필요성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3개월 이상 라인댄스에 참여한 40세 이상의 여성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유의표집방법을 통해 총 229명으로부터 설문지를 받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인댄스 참여특성에 따른 여가만족의 차이에서 2시간 참여 시 여가만족이 높았다. 둘째, 라인댄스 참여 중 노년 여성의 여가만족 중 건강요인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가만족 중 건강요인은 삶의 질의 하위변인인 일상생활만족, 심리적만족, 주위환경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만족의 건강요인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여가만족, 자아존중감, 삶의 질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성립함을 의미한다. 즉, 중 노년 여성들이 라인댄스에 참여함으로써 느끼는 여가만족은 삶의 질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여가만족으로 인한 자아존중감 상승을 통해서도 삶의 질을 더욱 높여준다고 할 수 있다.

라인댄스 운동이 여성노인들의 보행 균형성 요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ilver Line Dance Applied to the elderly on the Balance during Walking)

  • 최윤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9-118
    • /
    • 2013
  • 이 연구는 여성 노인들에게 적용한 라인 댄스 운동 프로그램이 보행 시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중재 방안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18명을 12주간의 라인댄스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균형성 판단 요인을 산출하기 위해 보행 시 지면반력 자료를 수집해 이를 기반으로 압력중심 변동 폭, 압력 중심 속도, 자유 토크를 이용했다. 연구 결과 라인 댄스 운동 프로그램 후 보행 시 전후 압력 중심의 변화 범위(p<.01)와 압력 중심의 전후 평균 속도(p<.05)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좌우 방향의 압력중심 범위와 속도, 자유 토크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라인댄스 12주 운동 프로그램 적용은 보행 시 노인의 동적 균형성 능력 증진에 일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본 연구와 관련해 실제 낙상 빈도 등과 관련시켜 운동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라인댄스가 여성노인의 면역기능 및 염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ne Dance on Immune function and Inflammation for Elderly Women)

  • 백순기;지동철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87-195
    • /
    • 2021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라인댄스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면역기능 및 염증변화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Y시에 거주하고 있는 60-70세 여성노인 18명을 선정하였으며,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운동군 9명과 동일한 기간 특별한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일상적인 생활을 해온 통제군 9명의 두 집단으로 무작위 선정하여 분류하였다. 대상자들의 면역기능 및 염증을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4.0을 이용하여 평균과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면역글로블린인 IgA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고 IgG(p<.05), IgM(p<.05)은 라인댄스 운동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염증지표인CRP(p<.05)은 라인댄스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규칙적인 라인댄스 프로그램은 여성노인의 면역 향상 및 염증 감소에 매우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으며, 염증을 감소시키고 면역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향후 여성노인들의 건강유지와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여성노인들의 라인댄스 활동이 정적 직립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ilver Line Dance Effects on the Elderly Balance During Static Standing)

  • 최윤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20-130
    • /
    • 2014
  • 이 연구는 여성 노인들에게 15주간 라인 댄스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게 한 후 자세 제어와 반응 메커니즘을 관찰할 목적으로 균형성 요인을 분석해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중재 효과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16명이 선정되었다. 균형성 판단 요인은 정적 직립 상태에서 압력 판에서 25초 서있는 동안 압력 판의 6가지(3방향 힘, 3방향 모멘트) 자료를 수집해 이를 바탕으로 좌우 및 전후 압력중심 변동폭, 이들의 압력 중심 속도, 흔들림 면적을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라인 댄스 활동 후 전후 압력 중심의 변화 범위(p<.01)와 압력 중심의 평균 속도(p<.05)는 크게 감소를 보였다. 또한 흔들림 면적은 라인댄스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1). 좌우 방향의 압력중심 범위와 속도는 큰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앞으로 이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할 때는 운동 중재 효과를 실제 낙상과 관련해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균형성 판단 요인을 신체계뿐만 아니라 전정계, 감각계 등을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라인댄스 운동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인슐린저항성지수와 에너지대사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ne Dance Exercise on HOMA-IR and Energy Metabolic Factors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 이정아;김도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36-4644
    • /
    • 2012
  •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0% 이상인 폐경 후 비만여성 24명을 대상으로 라인댄스운동이 인슐린저항성지수와 에너지대사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라인댄스운동을 12주간 실시한 후 운동전과 후의 체조성 및 에너지대사조절인자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에 라인댄스집단에서 체중,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허리엉덩이둘레비 및 내장지방면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제지방량은 증가하였다. 그렐린 및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렙틴, 인슐린, 글루코스, 인슐린저항성지수(HOMA-IR),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수축기혈압(SBP) 및 이완기혈압(DBP)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라인댄스집단의 HOMA-IR에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대사조절인자의 회귀분석결과에서 주요요인으로 그렐린, 렙틴, 인슐린 및 글루코스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라인댄스운동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체지방 감량으로 인한 에너지대사조절인자의 균형적인 대사를 가져오며 이를 통해 인슐린저항성을 개선시켜 폐경 후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생활습관병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댄스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성숙한 노화태도와 우울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라인댄스와 리듬체조 참여자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among Matured Aging Attitude, Depression, and Successful Aging of Elderly Participating in Dance-Oriented Physical Activity: Focused on Line Dance and Rhythmic Gymnastics)

  • 신석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69-477
    • /
    • 2020
  • 본 연구는 주요 목적 달성을 위해 라인댄스와 리듬체조 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202명을 대상으로 성숙한 노화태도, 우울 그리고 성공적 노화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성숙한 노화태도가 높을수록 우울은 감소하였다. 둘째,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이 성숙한 노화태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성공적 노화도 높았다. 셋째,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이 우울을 높게 지각할수록 성공적 노화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면, 노인들이 신체활동에 규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우울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를 통해 신체활동 참여노인들이 성공적 노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라인댄스 프로그램이 노인의 산소포화도와 행복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ne Dance Program on Oxygen Saturation and Happiness of Elderly)

  • 신명기;민순;서민정;이영롱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3
  • Purpose: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ne dance programs on oxygen saturation level and happiness of elderlies. Methods: Researchers had conducted a series of test to measure peripheral blood vessel oxygen saturation level, pulse and happiness level of 47 elderlies from the D district of G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chi}^2$-test and independent t-test, equipped with SPSS WIN 17.0. Results: As a result of serial tests, Pre-test and Post-test of line dance performance showed that oxygen satur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ncrease following the program and happi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also had significant increase following the program. Conclusion: In conclusion, with many advantages such as its easiness to access and emulate as well as its ubiquitousness as an aerobic exercise, line dance cannot only be very beneficial to cardiovascular function and relation of elderlies, but also to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ffect, considered as a great breakthrough to improve comprehensive well-being in both physical and mental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