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 접근

Search Result 1,00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Experimental Approach of Mural Public Design: Toward the Mural Design Case in Jurye Girl's Middle School, Busan (벽화 공공 디자인의 실험적 접근: 부산주례여자중학교 벽화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Yuan, Dezun;Song, Seungkeun;Liu, Ch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0
    • /
    • pp.83-91
    • /
    • 2015
  •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city design and public arts theory. As a result, planning ability lacks in the existing mural arts. It were discovered to not coincide with the demands of time. This research attempted practical approach by expanding to public spaces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artistic section. For one of the case, the mural of Jurye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Busan was selected. As a result, the mural that included culture discovered that mural matches well with city's public environment. We conducted survey. 107 participants was randomly selected as students and neighbors in Jure girl's middle school. The results of it reveals that environmentally friendly tendency and cultural implication are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Mural arts have been focused as space where people live along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and development of our society. It is important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public environment space and mural arts shall harmonize. This research proposes social values that can replace the special mood by adding vitalization and liveliness to public environment through various mural contents.

The process for adjustive media as design method with feedback (Adjustive Media의 feedback을 수반한 작품 제작 방법)

  • Cho, Hyun-Se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6
    • /
    • pp.311-317
    • /
    • 2013
  • Most of the existing interactive arts or entertainment systems consist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1. the system's prompting the action of the participant, 2. action of the participant, and 3. response of the system. They do not presuppose these successive processes are performed continuously and repeatedly, and they are designed to express the concept of the work in each interaction. The opposite approach is to transmit the concept of the work in a continuous and repeated experience. The authors propose "Adjustive Media" as a type of work based on this approach. Adjustive Media has a spiral model with feedback. When participants experience the work repeatedly, they can recognize the difference of results between each interaction, and they can under- stand more closely the intent of the designer. This paper will propose 3 design processes for Adjustive Media as design method, and will introduce the prototypes of Adjustive Media.

A Study on the Hereafter Development in Universal Design Surveyed on the Case Studies of Kitchen Design (부엌디자인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본 유니버설디자인의 전개방향에 관한 연구)

  • Choi, Eun-He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1 s.59
    • /
    • pp.81-90
    • /
    • 2005
  • Universal Design is comprised of three main concepts known as barrier-free, adaptive and life-span design. It does not focus on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but rather expands its breadth to the comfortable use and easy access in ail physical environments and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views the present and future of universal design through the cases of kitchen design. Based on the market changes in design guidelines and the changes of time uncovered from past studies, this researcher suggests that universal design would develop through mass customization for personalized us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and consideration of psychological aspects. Additionally, for the diffusion of universal design appropriate solution in economic cost problem, social recognition and conversion of problem cognizance in designing is needed. In Korea design models of universal design concepts are not yet in production over various fields. In order to develop and study universal design which suits our country, cultur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physical, perceptual, psychological aspects.

  • PDF

Green Design Factors on Product Development (제품개발에 있어서의 환경 보존적 디자인 요인에 관한 연구-인식 전환 적 측면을 중심으로-)

  • 조영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 /
    • pp.41-48
    • /
    • 1997
  • We easily witness that environmental issue is very critical point to affluence upon a restructuring the value system of human being.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is issue affluence upon the field of design as well.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environmental issue is 'wholeness' in itself. It means that we have to approach and to solve it as a whole. Also, design is to be done at the same way. The creative professionalism of design could provide a clue to solve the problem, but designer are tend to seek a solution in a just partial way such as recycling and packaging. But those attitude may cause more problems and spread it futhermore. Therefore this study is analysis some recognitive turning factor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a whole, and to suggest a appropriate methods according to such a view point. Even internal retrospect in design itself or external demand from the other, If we look away this issue, the real purpose of design, contributing for society, should be diluted by ourselves.

  • PDF

The Pursuit of Individual Freedom in Rudi Gernreich's Fashion Designs (루디 건라이(Rudi Gernreich)패션 디자인에 나타나는 개인적 자유에 대한 추구)

  • Lee,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38
    • /
    • pp.123-142
    • /
    • 1998
  • 본 논문에서 패션 디자인(fashion design)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제시해 보려하였다. 즉 패션 디자이너의 디자인에 대한 철학을 이해함으로서 패션에 대한 근복적인 면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를 갖도록 하는 접근 방식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대상은 디자이너 루디 건라이(Rudi Gernreich : 1922-1985)와 그의 작품들인데, 그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급진적인 성향 뒤에 숨어 있는 그의 디자인 철학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작품과 철학의 상관관계를 조명하려는 것이 그 주된 목적이다. 기존의 그에 대한 평가는‘파격적 패션’,‘소설 스테이트먼트(Social Statement)’,또는‘시각적 창출’등의 표현으로 극히 피상적인 것이었다. 반면에 그가 어떠한 경로로 이러한 디자인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또는 그가 현대의상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였다. 본 논문의 초점은 건라이의 패션 디자인을 그가 중요한 가치로 믿고 있었던‘개인적 자유에 대한 추구’의 반영으로써 재 평가해 보려는 것이다. 이것의 입증을 위해서 그의 디자인들을 역사적, 사회적 그리고 미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그의 디자인 철학을 도출하기 위해 그의 개인적 배경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하였고, 그의 디자인과 관련된 자료와, 현존하는 작품들과 그에 따른 참고문헌들에 대한 분석 조사 작업을 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필자는 건라이의 작품들을 세 개의 주된 주제들, 즉,‘부분적 누디즘(Partial Nudism)’,‘유니섹스 모드(Unisexs Mode)’, 그리고‘옵 아트 패션(Op-art Fashion)’으로 구분하였다.‘부분적 누디즘(Partial Nudism)’과‘유니섹스 모드(Unisex Mode)’는 60년대 중반에서 70ssu대 초반에 출현한 유스 컬츄어(Youth Culture)에 부합하는 그이 디자인의 반영으로써 성의 혁명, 여성 인권운동과 동성애자 인권 운동과 같은 사회이슈들과 그의 디자인이 갖는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옵-아트 패션(Op-art fashion)’은 건라이 디자인의 미학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인체와 옵-아트 원리의 관계를 조명해 보고, 건라이가 옵-아트와의 연계하에 그의 디자인을 어느만큼 예술적으로 승화시켰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각 주체들은 건라이 작품들의 개별적인 분석을 통해 논하였다. 본 논문은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건라이의 디자인에 대한 재 평가로 결론을 지었다. 이러한 재평가 작업을 통해 패션 디자인계에 미친 그의 공헌의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대 패션에 그의 영향이 계속 미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하려 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free drawing GUI of the touch phone by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approach (감성 공학적 접근에 의한 터치폰의 자유 드로잉 GUI에 대한 연구)

  • Kim, Ji-Hye;Hwang, Min-Cheol;Kim, Jong-Hwa;U, Jin-Cheol;Kim, Chi-Jung;Kim, Yong-U;Jo, B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5-178
    • /
    • 2009
  • 본 연구는 감성공학적 접근법으로 터치 모바일 폰의 자유 드로잉 GUI 요소를 디자인 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터치폰에서 자유드로잉하는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남 녀 대학생 57 명을 대상으로 터치폰 일기를 쓰게 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관찰 대상자가 선호하는 패션, 좋아하는 이미지를 수집하여, IRI 표준 이미지 스케일 맵에 매핑하여 감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감성 요소는 Norman(2002)에 의거한 감각적(Visceral), 행태적(Behavioral), 심볼적(Reflective) 감성 어휘로 도출하고, 요인 분석을 통해 대표 감성 어휘를 도출하였다. 셋째, 자유 드로잉을 위한 터치 모바일폰 GUI 요소를 도출한 후 대표 감성 어휘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관계성이 높은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대표 디자인 요소와 대표 감성 어휘는 다차원척도(Multidimensional scaling : MDS) 분석을 실시하여 2 차원 축에 모델링하고, 정량적으로 디자인에 반영될 주요 감성을 도출해본 결과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통해 도출된 GUI 와 유사성이 높은 감성 어휘는 감성적 디자인을 할 때 주 요소로 적용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Form and Function in Design Morpholgy (디자인조형에서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연구)

  • 김장호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 /
    • pp.245-254
    • /
    • 1996
  • Form and function are not only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tell the very essence of design morphology but also the fundament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ings. Th -erefore, approaching to the problems of them and the following practical morphological creation are the final goal of solving all the problems of design. Comparing with such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the morphology, however there has been no conscious study nor logical achievement but only partial consideration about them. From this viewpoint, the substantial meanings, the intrinsic attributes and the typical patterns of them are inquired systematically and the whole through this study. Also their relations are identified with some appropriate views. As a result of this study, new knowledge base will be cons -tructed, and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new morphological thinking and method which are especially strengthened these days.

  • PDF

Create New Service for Hometown Mart (부산지역 홈마트 신개념 서비스창출에 관한 연구)

  • Lee, Seong-Pil;Hyeong, S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155-158
    • /
    • 2008
  • 오늘날 다양해지는 산업구조에서 가장 핵심적인 분야로 떠오르고 있는 서비스는 국가의 미래전략사업으로 현재 각 국가들은 서비스를 중요한 이슈로 타 학문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서비스란 국가의 생활환경과 문화 수준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신 개념의 서비스는 접근방법에 있어서 소비자가 원하는 요구조건을 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서비스라는 공통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동양에서의 서비스란 단순히 무료로 가치를 보상받지 않고 육체적, 물리적 가치를 상대에게 제공한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 반면, 서양에서 서비스 개념은 가치를 제공함 으로서 합당한 대가를 돌려받는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러한 서비스의 개념은 디자인을 서비스라는 시각에서 볼 때 소비자에게 가치의 제공이라는 개념으로 지금까지 많은 기업 및 산업체에서는 디자인을 실시하는 행위가 소비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라는 개념으로 생각하지만 실제 디자인에서 서비스 접근방법은 명확한 기준과 근거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부산 관광자원의 중요 요소인 쇼핑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소비자의 이용 빈도가 높은 부산시 마트(Mart)를 중심으로 이용자에게 좀더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기 위한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실제 마트(Mart)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심리분석과 문제점, 행동분석을 통해 쇼핑환경을 개선하고 이용자에게 편리한 제품디자인 방법을 연구하여 마트(Mart)의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찾아본다.

  • PDF

Visual factor and Style Analysis of Web Design (웹사이트 화면디자인의 시각요소와 스타일 분석)

  • 이현정;이지수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1
    • /
    • pp.135-142
    • /
    • 2002
  • To show the analytic approach to website sue, this paper discusses style's function that is immediately related to users emotional and aesthetic satisfaction. And we make an analysis of several websites based on various visual factors. Style provides emotion, a shared experience, context that makes the message arts function immediately apparent, and interests. It is a principle design feature that parallels cognitive function. Visual factors of website interface could be extracted from various aspects which are organization level, medial level, and formative level. Based on the extracted visual factors, we analyze the style which convey emotional idea. We select several sites which are opposite side in the image map with son-hard and warm-cool axis, and then make an analysis of them in two points which are organization and formative factors and communication means for emotional effect. To understand the systematic approach to website style could be helpful for figuring out the design problems and bringing out many solutions. It could be base for concrete guideline for website page desig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