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 유사성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6초

한글디자인과 라틴 알파벳디자인의 형태유사성 고찰 1 - 윤디자인 폰트를 중심으로 - (A Consideration of the Shape Similarity between Hangeul Typeface Design and Latin Alphabet Typeface Design - focused on YoonDesign Fonts)

  • 박재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123-124
    • /
    • 2021
  • 본 논문은 기존 폰트 디자인을 고찰하여 한글과 라틴 알파벳 디자인의 형태 유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고찰을 위해 윤디자인 대표 폰트 20종을 선정하였다. 형태적 관점에서 글자 디자인적 유사성을 찾기 위해 낱자, 낱글자, 낱말, 문장을 기준으로 고찰하였다. 윤디자인 대표 폰트 20종의 한글과 라틴 알파벳 글자 디자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낱자(자소) 디자인은 동일한 형태이지만, 크기와 비례가 변화할 수 있다. 둘째, 낱글자(음절) 디자인은 낱글자 전체의 디자인을 위해 부분적으로 다른 형태를 디자인할 수 있다. 셋째, 낱말(단어) 디자인은 낱말의 우월효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넷째, 문장의 디자인은 글줄의 흐름을 고려하여 글자의 크기, 비례와 기준선을 디자인하여야 한다.

  • PDF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 프로세스에 있어서 형태패턴의 스키마적 표현을 이용한 건축형태의 유사성 판단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of Shape Similarity using Shape Pattern Representation for Design Computation)

  • 차명열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337-346
    • /
    • 2002
  • 디자인 지식의 습득, 저장, 검색 및 응용과 같은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창조적이며 디자인 요구에 적당한 결과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디자인 지식을 인지하고 습득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특히 인간의 인지능력과 유사한 기능을 같고 중요한 형태 디자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형태의 물리적인 속성에 의하여 인지되는 1차원적인 형태 지식이 아닌, 이들로부터 형성되는 2차원 또는 그 이상의 차원에서 인지되는 형태 디자인 지식을 인지해야만 한다. 지식의 인지 및 습득은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지식과 인지되는 지식을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그 디자인 지식이 습득된다. 이때 1차원적인 디자인 지식은 형판 매칭과 속성 매칭에 의하여 그 유사성이 쉽게 인지되지만, 2차원 이상의 디자인 지식에 대해서는 인간은 쉽게 인지하나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는 컴퓨터에 이러한 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형태패턴 표현을 이용한 형태의 유사성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PDF

Digital Library를 위한 텍스타일 프린트 디자인의 이미지 유사성 평가 (Similarity Evaluation on Images of Textile Print Design for Digital Library)

  • 이채정;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631-637
    • /
    • 2007
  • 이미지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톤(tone), 즉 명도와 채도로 결정하여 정보 엔트로피를 계산하여 상관 계수를 계산하였다. 이미지의 톤을 알아보기 위해 영상정보의 색 공간을 RGB color space에서 HSI color space로 전환하였다. 이후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해 이미지의 전체 픽셀수가 아닌 엔트로피 값의 범위에 따라 전체 70%의 픽셀 또는 이미지를 가장 많이 구성하는 세 가지 톤의 픽셀 수에 의해 결정되었다. 'Romantic'이라는 인간의 감성으로 판단된 18개의 영상정보를 선정하여 위의 모델을 적용, 이미지 유사성을 판단하였다.

  • PDF

조선시대 후기 가구와 명식(明式)가구 탁자(卓子)류 가구 조형 디자인의 유사성 연구 (Research on the Similarity of Furniture Design of Table Furniture in the Later Joseon Dynasty and Ming-style Furniture)

  • 소양;김기수;이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22-537
    • /
    • 2020
  • 조선 왕조는 명나라, 청나라와 여러 차원의 긴밀한 교류를 가졌으며, 가구 조형 디자인의 발전 과정에서 같은 문화적 원천과 상호 왕래, 동일한 요소들이 서로의 가구 조형에서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 후기 가구'와 '명식(明式) 가구'를 연구 주제로 탁자(卓子)류 가구를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아 양국 교류사의 연구를 결합한 '유사성'의 시각에서, 전체적 디자인과 부분적 디자인 두 가지 측면에서 양국 전통 가구의 조형 디자인을 검토했다. 구체적인 사례 분석에서 조선시대 소반(小盤), 경상(經床), 연상(硯床) 등의 탁자(卓子)류 가구는 명청시대의 항탁(炕桌), 방탁(方卓), 주탁(酒桌) 등 탁자(卓子)류 가구와 전체적인 조형 디자인에서 유사성을 나타냈다. 부분적인 디자인은 비슷한 두 나라의 가구의 안면(案面), 운각(雲角), 두루마리(卷筒), 다리(足) 등에서 유사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풍혈(風穴)' 조형물의 연원(淵源)을 추정함으로써 한국 전통가구 문화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했다. 한중간에 다방면에 걸친 교류가 확대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전통가구에서 유사성을 탐색하는 것은 양국의 문화교류 과정을 분석하고 교류를 활성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이다.

화상디자인의 유사성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 -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정량적인 평가 방법을 중심으로- (Similarity Criteria in GUI and Icon Design - with an Emphasis o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using Checklists -)

  • 김소영;최민영;임창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101-110
    • /
    • 2003
  • 본 연구는 화상디자인의 유사성 판단을 중심으로 정량적인 판단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제안하고, 체크리스트 항목 중 영향력 있는 요소를 도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화상디자인에서 유사성이 나타날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기초조사를 진행하였다. 제안된 체크리스트는 개념요소, 형태요소, 색상요소, 관계요소, 그리고 멀티미디어 요소의 5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형태요소, 색상요소, 관계요소 부분에서 추출된 11가지 체크리스트 항목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웹 상에서 진행되었으며, 설문에서 얻고자한 결과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도출된 체크리스트 항목이 평가자의 직업군과 무관하게 일관된 평가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지와 둘째, 도출된 체크리스트 중에서 평가결과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항목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결과 분석에서 추출된 체크리스트는 응답자의 직업군과는 무관한 일관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유사성의 판단에서는 외관형태, 구성요소, 제작방법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 방법은 평가과정을 용이하고, 객관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으며, 향후 화상디자인 작업과정에도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딥러닝 기반 이미지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한 유사 디자인 검출에 대한 연구 (Detecting Similar Designs Using Deep Learning-based Image Feature Extracting Model)

  • 이병우;이우창;채승완;김동현;이충권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4호
    • /
    • pp.162-169
    • /
    • 2020
  • 디자인은 섬유패션 산업에서 제품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요인이다. 무단복제를 방지하고 독창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시된 디자인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섬유 디자인의 이미지로 부터 특징(feature)을 수치화하고, 스피어만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측정하였다. 유사한 샘플이 실제로 검출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300장의 이미지를 임의로 회전 및 색상을 변경하였다. 유사도 수치가 높은 순으로 Top-3와 Top-5의 결과에 회전을 하거나 색상을 변경한 샘플이 존재하는지 측정하였다. 그 결과, AlexNet 보다 VGG-16 모델이 월등히 높은 성능을 기록하였다. VGG-16 모델의 성능은 회전 이미지의 경우에 유사도 결과값이 높은 Top-3와 Top-5에서 64%, 73.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상변경의 경우에는 Top-3와 Top-5에서 각각 86.33%, 9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건축적 조화를 위한 디자인 방법론 -유사성에 의한 통일성을 중심으로- (Unification through Similarity' as a Design Principle for Achieving Harmony in an Architectural Design)

  • 추승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9-16
    • /
    • 2004
  • Architectural theories in western architecture have been considered as a basis for answering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architectonics: proportion, symmetry, color, harmony and so on. Among those the architectural design theory is significant, since it affects the aesthetic evaluation of human perception. This paper gives an outline in applying the traditional design principles of architecture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by 'unification through similarity' of architectural components such as form, scale, texture and color. As we see from this research, unification can be achieved in a design by the combination of the four components; that is, to balance between the four above-mentioned components in buildings, through the similarity of one or more of these components.

감성지향적 범주화를 통한 디자인?마케팅 전략(장류제품을 중심으로) (The Design?Marketing Strategy through emotion-oriented categorization(focused on Korean traditional sauce))

  • 이유리;양종열;박상준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64-66
    • /
    • 2007
  • 범주화(categorization)은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범주화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이 다르고 감성의 차이에 따라 디자인 컨셉 및 디자인요소가 다르게 배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제품라인이 확대되어 제품의 차별화가 모호한 경우에는 범주화과정이 필요하다. 즉 감성의 유사성정도를 바탕으로 정확한 범주를 정하고 컨셉화하여 소비자 지향적인 디자인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의 제품범주(장) 안에 유사한 하위 범주(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를 구성하고 있는 장류제품전체와 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추출하고 그 유사성정도를 바탕으로 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의 범주를 결정하여 디자인방향을 어떻게 결정해야 할지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장류제품을 연구대상으로 한 것은 장류제품이 한국인의 식탁에서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제품 중의 하나이고 또 현대화시대의 라이프스타일과 환경의 변화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증연구는 전북지역과 서울지역의 소비자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에서 제품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 PDF

실내디자인 이미지의 유사성 측정 - 관찰자 직관 기반 측정법과 알고리즘 기반 정량적 측정법의 결과 비교를 중심으로 - (The Similarity Measurement of Interior Design Images - Comparison between Measurement based on Perceptual Judgment and Measurement through Computing the Algorithm -)

  • 유호정;하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32-41
    • /
    • 2015
  • We live in the era of unlimited design competition. As the importance of design is increasing in all areas including marketing, each country does its best effort on design development. However, the preparation on protecting interior design rights by intellectual property laws(IPLs) has not been enough even though they occupy an important place in the design field. It is not quite easy to make a judgement on the similarity between two images having a single common factor because the factors which are composed of interior design have complicated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them. From the IPLs point of view, designs with the similar overall appearance are decided to be similar.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not only for designers but also for design examiners and judges are required in order to protect interior design by the IP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possibility that a computer algorithm method can be useful to decide the similarity of interior design images.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realized that the Img2 which is one o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computer programs can be utilized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similarity. The simulation results of three descriptors(CEDD, FCTH, JCD) in the Img2 showed the high degree of similar pattern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erceptual judgment by observers. In particular, it was verified that the Img2 has high availability on interior design images with a high score of similarity below 60 which are perceptually judged by obser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