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들깨기름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3초

신녹색 성장식물 "오메가-3 들깨기름 세계화" ("Globalization of Omega-3 Perilla Oil" as a new green growth plant)

  • 정훈백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2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5-5
    • /
    • 2012
  • 들깨는 아직 식물학적으로 분류는 되어 잇지 않으나 일반 식물분류학상 꿀풀과(진형과(唇形科); Labiat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동부 아시아지역이 원산지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등의 저위도 지역에서 광지역성 작물로 생육온도가 $10{\sim}15^{\circ}C$ 사이에서는 광합성 속도가 거의 변화가 없고 $20^{\circ}C$에서 최대에 이르며 $25^{\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들깨의 생육 적온은 $20^{\circ}C$ 전후로 벼, 옥수수 등 다른 여름작물에 비해 낮으며, 온도에 대한 반응은 매우 둔감한 반면, 광량에는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름작물이다. 우리나라의 농서에는 이조시대인 1429년 정초(鄭招)의 농사직설(農事直說)에서 들깨를 유마(油麻), 수임자(水荏子)로 기록한 이래 여러 문헌에 임(荏), 임자(荏子), 수임(水荏), 수소마(水蘇麻), 유마(油麻), 지마(脂麻) 등으로 불리워져 왔다. 예로부터 들깨는 쓰임새도 다양하여 식용기름, 등화용 이외에도 잎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를 가축들이 싫어하여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밭 둘레에 심거나 기상재해로 소득 작물 재배가 어려울 때 대파작물(代播作物)로 이용되어 왔다. 세계적으로 한국인만 식용으로 즐겨 사용하는 들깨가 근래에는 경제성장으로 국민 소비형태가 다양화되는 추세로 들깨를 종실뿐 아니라 신선 잎채소로 이용하는 양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들깨기름에 들어있는 ${\alpha}$-리놀렌산이 오메가-3 지방산으로서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과 학습능력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들깨를 이용한 오메가3 계란, 오메가3 두유 등 다양하게 건강식품으로 응용되고 최근 동물성 어류에서 추출하던 오메가-3 해양 오염. 프랑크톤의 먹이사슬 등의 환경문제로 들깨기름의 식물성 오메가-3로 대체하는 영향이 세계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여 우리 한국 들깨의 우수성을 세계인들에게 널리 알리는데 노력하여야 하고 국내에서 농촌에 들깨 심기을 보다 확대하여 소득작물로 육성하여야 한다고 본다. 들깨는 식물 유지류 작물중 오메가-3가 가장 많은 60%이상의 함유량으로 기능성 건강 보조식품의 원료 및 사료로 이용되는 등 새로운 소득 작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 PDF

들깨기름을 투여한 흰쥐의 혈액 지질량과 그외 혈액성분 변화 고찰 (Effects of Perilla Oil on the Levels of Plasma Lipids and Other Biochemical Paramaters in Rats)

  • 서화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03-709
    • /
    • 2001
  • 흰쥐를 4군으로 나누어 사료중의 지방성분으로 들깨기름(PO군), 옥수수기름(CO군) 그리고 우지와 들깨기름 동량 혼합유지(BP군)를 각각 9.4%씩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한 후 제중 증가율과 사료 섭취량을 측정한 결과 들깨기름이 체중 증가율과 사료 섭취량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측정된 PO군의 혈액 중 중성지방량 총 cholesterol 농도가 BOrns 혹은 BPrns보다 낮았다. PO군 LDL-cholesterol은 실험군 중에서 가장 낮았다. PO군은 혈액중 중성지방량 총 cholesterol HDl-cholesterol 농도에서 CO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BP군의 중성지방량 총 cholesterol LDL-cholesterol 농도는 BO군보다 각각 9.2%, 10.3%, 18.6% 낮았다. PO군의 GOT, ALP 활성값과 uric acid 농도는 다른 모든 실험군의 값들보다 높았고 정상 흰쥐의 기준치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들깨기름은 옥수수기름과 비슷한 수준의 혈액 중 지질량 감소 효과를 보였지만 4주간 계속 매일 들깨기름 12.5g/b.w.kg을 섭취한 PO군의 흰쥐에서는 들깨기름 섭취로 인하여 간장 등의 장기에 가변운 부담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 PDF

마그네슘, 칼슘 및 들깨 기름이 인상 첨가 식이로 사육한 토끼의 혈액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g(II), Ca(II), Perilla Oil and Korean Ginseng on the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HMG-CoA reductase Activity of the Rabbits)

  • 남현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5-42
    • /
    • 1987
  • 인삼, 들깨 기름, 칼슘 및 마그네슘이 함유되어 있는 식이로 사육한 토끼의 혈장 콜레스테롤과 HMG-CoA reductase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간에 포함되어 있는 HMG-CoA reductase의 활성은 인삼과 들깨 기름 및 마그네슘 첨가 식이군에 있어서 증가되었으며 혈장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감소되었다. 혈장 L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으나 HDL-콜레스테롤은 증가되었다. 또한 베타 글로블린의 분포도 인삼과 마그네슘 및 들깨 기름을 첨가 급여한 실험군에 있어서 가장 낮았으며, ${\alpha}$-2-글로블린은 대조군에 비하여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전해질은 $K^+$은 인삼 첨가로 감소 되었으나 $Na^+$은 증가되었다. 혈장 마그네슘의 농도는 인삼의 첨가로 변화가 없었지만 칼슘과 들깨 기름 및 인삼 첨가식이로 마그네슘의 농도가 더 증가되었다. 혈장 칼슘의 농도는 마그네슘과 인삼을 첨가한 식이군에 있어서 감소하였다.

${\omega}-3$계와 ${\omega}-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혼합 비율이 다른 유지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II) -혈청과 간 조직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t and Oil Differently Composed of ${\omega}-3$ and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Lipid Metabolism of Rats -Centered on Serum and Liver Tissues-)

  • 강정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38-347
    • /
    • 1989
  • ${\omega}-3$계와 ${\omega}-6$계 PUFA가 혈청과 간장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omega}-6$계 linoleic acid를 약 64% 함유하고 있는 고추종자기름과 ${\omega}-3$계 linolenic acid 함유비율이 약 60%인 들깨기름을 몇가지 비율로 혼합하여 흰쥐에게 급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청중 총 cholesterol 농도는 들깨기름 10%를 급여받은 1군이 고추씨기름의 함량이 높은 4군과 5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HDL-cholesterol 농도는 ${\omega}-6$계 linoleic acid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omega}-3$계 linolenic acid 함유율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성있게 저하하는 경향이었다. 총 cholesterol에 대한 HDL-cholesterol 농도는 10% 고추종자기름을 급여한 5군에서 가장 높았고 5% 들깨유와 5% 고추종자기름을 혼합 급여한 3군의 순이었다. 혈청중의 중성지질과 인지질 농도는 7.5% 들깨기름과 2.5% 고추종자기름의 혼합 식이군인 2군이 2.5% 들깨유와 7.5% 고추종자유 혼합 식이군인 4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장중의 총 cholesterol 농도는 고추씨 기름 10% 단독 식이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들깨유와 고추씨 기름의 혼합 식이군 (2, 3, 4 군)에서 낮았다. 간장중의 중성지방 농도는 10% 들깨유군 및 10% 고추씨기름의 단독 식이군에서 높은 반면 혼합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인지질 농도는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 PDF

역미설계를 이용한 들깨기름의 산화안정성 향상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Effect of Ascorbic Acid Solubilized via Reversed Micelle in Perilla Oil)

  • 이옥숙;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06-709
    • /
    • 1989
  • 역미설계를 이용하여 들깨기름에 아스코르브산을 용해하여 이의 산화방지 효과를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로서 레시틴과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역미셀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용해된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합성 산화방지제에 비하여 들깨기름의 산화를 현저히 억제할 수 있었다. 한편, 아스코르브산과 델타-토코페롤과의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헥산 추출 종실유의 지방산 분석 및 3T3-L1 지방세포의 지방 축적과 랩틴 분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nalysis of Seed Oil Fatty Acids and Their Effect on Lipid Accumulation and Leptin Secretion in 3T3-L1 Adipocytes)

  • 김태우;김경곤;강윤환;김대중;이정일;최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03-110
    • /
    • 2015
  • 본 연구에는 고추씨기름, 녹차씨기름, 들깨기름, 땅콩기름, 목화씨기름, 참깨기름, 호두기름, 홍화씨기름의 fatty acid 구성을 분석하여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의 불포화 지방산이 과반이상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들깨기름은 특이하게 linolenic acid(57.8%)가 과반이상 함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재료의 일반성분과 추출한 기름의 품질을 측정하여 식용유 및 튀김용 기름으로 사용하기에 식품공전의 식용유지 및 튀김용유지의 기준 및 규격에 잠재적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실유들의 생리활성을 예측하기위해 세포독성, 지방축적 및 leptin 방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된 모든 종실유가 0.2 mg/mL 이하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고추씨기름(67%, 0.05 mg/mL), 들깨기름(63%, 0.05 mg/mL; 72%, 0.1 mg/mL), 땅콩 기름(58%, 0.05 mg/mL; 68%, 0.1 mg/mL)의 처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 p<0.001)에서 3T3-L1 세포내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고추씨기름(119%, 0.1 mg/mL), 들깨기름(119%, 0.05 mg/mL), 땅콩기름(122%, 0.05 mg/mL; 136%, 0.1 mg/mL), 참깨기름(139%, 0.05 mg/mL; 147%, 0.1 mg/mL), 호두기름(115%, 0.1 mg/mL), 홍화씨기름(114%, 0.1 mg/mL)의 처리가 3T3-L1 세포에서 leptin의 분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p<0.01, p<0.001) 증가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 종실유의 정제 및 대량생산 공정개발 등의 향후 연구가 많이 남아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종실유들이 식용유소재 및 요리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유효한 생리활성을 포함하고 있어 기능석 소재로의 개발가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기름의 진위 판정에 관하여 - (I) 참기름중의 대두유, 아마인유 및 들깨기름의 검출 (Detection of Adulteration of Sesame Oil(I)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for Soybean Oil, Linseed Oil and Perilla Oil in Sesame Oil)

  • 천석조;임영희;송인상;노정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9-63
    • /
    • 1988
  • 순수 참기름을 판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산지별에 따른 5종류의 참기름과 아마인유, 들깨기름 및 대두유를 시료로 하여 TLC에 의하여 triglyceride를 분획하고 HOLC에 의하여 PN별로 분획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지별에 따른 5종류의 참기름의 PN별 획분은 42, 44, ,46, 48 및 50으로 그 조성이 동일하여 진위 판정의 자료로 이용가능하였다. 2. 아마인유 및 들깨기름은 PN 36, 38, 40, 42, 44, 46 및 48로서 PN 36, 38 및 40획분이 주요 획분으로 특징적이었다. 3. 대두유의 Pn별 획분은 PN36~50으로 8획분이었으며 참기름의 PN별 조성과 비교하여 PN38 및 40 획분이 특징적인 peak로 감지되었다. 4. 참기름과 4% 혼합한 경우 PN별 조성으로부터 순수 참기름의 판정이 가능하였다.

  • PDF

식용유, 카제인 및 칼슘, 마그네슘 첨가식이가 토끼의 혈청 Cholesterol 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dible Oil, Casein, Calcium and Magnesium on Serum Cholesterol Level in Rabbit)

  • 남현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2-136
    • /
    • 1983
  • 식용유 , 카제인 및 칼슘, 마그네슘 첨가식이가 토끼의 혈청 cholesterd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단백질 68.47%, 탄수화물 15.35%, 지방 16.18%, 비타민 A, D, E, C, $B_1$, $B_2$, $B_{12}$, Niacin 등이 포함된 기본사료에 식물성식용유 10%, 카제인 10%, 칼슘, 마그네슘 일정량을 첨가한 사료를 급여하면서 체중변화 및 혈청내의 각종 성분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중증가는 대조군에 비하여 식물성 기름만을 첨가한 군에서는 모두 낮았으나, 참깨기금과 들깨기름에 카제인을 더 첨가한 군에서는 체중증가가 좋았고, 한편 칼슘과 마그네슘을 더 첨가하여 사육한 군에서는 모든 군이 대조군보다 성적이 좋았다. 2. 실험식이 급여 기간에 식이효율, 단백질효율 및 열량효율 등은 들깨기름 첨가군에서 양호하였고, 특히 여기에 칼슘을 첨가한 군에서는 더욱 양호하였다. 3. 혈청 총단백질량은 모든 군에서 별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알부민에 있어서는 카제인을 첨가군이 높았고, ${\alpha}$-글로불린에 있어서는 같은 경우 칼슘 첨가군에서 낮았다. 그러나 들깨기름 첨가군과 여기에 카제인을 첨가한 군에서 가장 높았다. 4. 리포알부민은 모든 실험군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콩기름과 칼슘을 첨가한 군에서 낮았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함량이 많은 식이군에서 베타리포단백질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들깨기름을 첨가한 군에서 낮았다. 한편 배타리포단백질과 리포알부민의 비는 첨가식이 조성에 따라 0.11~0.26 범위에 있었다. 리포알부민과 리포단백질의 비는 칼슘과 콩기름을 첨가한 군의 값이 크고, 마그네슘과 들깨기름을 첨가한 군의 값이 작았다. 5.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에는 참깨기름과 들깨기름을 첨가한 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여기에 카제인, 칼슘 및 마그네슘을 더 첨가한 군에서 현저히 저하되었다. 6. 콜레스테롤의 경우에는 식물성기름을 첨가하여 사육한 실험군과 여기에 카제인을 더 첨가한 군에서는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이 높을 경우 콜레스테롤 함량도 증가하였으나, 콩기름과 칼슘, 들깨기름과 마그네슘을 첨가한 군에서 콜레스테롤량이 현저하게 낮았다. 7. 기본식이에 칼슘을 첨가한 군에 있어서는 혈청칼슘의 양이 증가되었으나 마그네슘의 경우는 낮았다. 혈당치의 경우는 식물성기름을 첨가군에서는 다소 감소되었고, 여기에 칼슘을 첨가한 군에서는 증가하고 마그네슘을 첨가한 군에서는 감소하였다. 8. 실험군별 분석치간의 상관관계는 베타리포단백질, 칼슘, 마그네슘 및 트리글리세리드간에는 상관계수 $${\gamma}{\sim_=}1$$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토끼의 혈청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자로서 트리글리세리드와 베타리포단백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불포화도가 큰 들깨기름과 칼슘과 마그네슘이 2:1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조성식이가 좋은 것을 알았다.

  • PDF

들깨기름을 다량 투여한 흰쥐에서 대사에 미치는 역작용에 관하여 (Adverse Effects of the Megadose Perilla Oil on the Rats Metabolism)

  • 서화중;서유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7-283
    • /
    • 2002
  • 횐쥐 사료에 10%와 20% 수준의 들깨기름, 옥수수기름, 소기름을 각각 배합하여 1개월간 사육한 결과를 비교하니 체중 증가율은 식이 유지 종류에 의한 영향보다도 식이내 유지 함량에 의해 영향을 더 크게 받아 20% 유지군들의 사료 섭취량이 10% 유지군보다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20% 유지군들이 10%유지군들보다 체중이 더 증가하였다. 혈중 중성지방량과 총 cholesterol량은 식이내 지방 함량 의존성으로 증가하여 20%유지군들이 10% 유지 군보다 증가하였고 그중에서 소기름군이 가장 높았다. GPT와 BUN값은 식이내 유지 함량 증가에 따라 측정값들이 증가하는 경향이고 20%들깨군의 측정값들은 모두 정상값의 범위를 초과하고 실험군들 중에서 가장 높았다. 혈중 $CO_2$농도는 실험군들 중에서 20% 들깨 기름군이 가장 높았고 정상값을 초과하였다. 나머지 실험군들은 $CO_2$농도 상호간 거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흰쥐를 들깨기름의 함량이 높은(20%)사료로 1개월간 사육하였을때 간장 및 기타 장기들의 기능에 약간의 역작용을 주는 것으로 보였다.

온도와 압력이 들깨종자의 압착착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Pressure on the Oil Expression of Perilla Seed)

  • 민용규;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8-32
    • /
    • 1993
  • 들깨종자의 압착착유에 미치는 온도와 압력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생들깨와 볶은들깨의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을 각각의 온도, 압력 및 압착시간에서 관찰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들깨종자의 수분함량은 2.5%로 조절하였고 온도는 30, 40, 50 및 $60^{\circ}C$가 사용되었고 압력은 10, 30, 50 및 70 MPa을 적용하였으며 압착시간은 5, 7, 9 및 11분을 적용하였다. 온도, 압력 그리고 압착시간이 증가할수록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은 증가를 하였다. 생들깨와 볶은들깨의 최대 추출율은 $60^{\circ}C$, 70 MPa, 11분에서 각각 85.59% 및 85.30%이었다. 추출된 기름의 점도는 지수함수적인 온도의존성을 보여주었으며, 점도가 낮을수록 즉, 온도가 높을수록 기름의 추출율은 증가하였다. 압착요인과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압착요인의 효과는 압력, 온도, 온도${\times}$압력 그리고 압착시간 순으로 감소하였다. 온도(T), 압력(P) 그리고 압착시간(D)과 기름의 추출율(Y)과의 관계는 생들깨는 $Y=7.95+36.85P+1.12T^2-0.55TP-5.08P^2(r^2=0.97\;p<0.01)$였으며, 볶은들깨는 $Y=4.50T+39.23P+0.83T^2-1.71P-5.07P^2(r^2=0.99,\;p<0.01)$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