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드림스타트사업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드림스타트사업의 효과성과 활성화 방안 (A Study on Effectiveness and Activation Plan of Dream Start)

  • 유해숙;이현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175-186
    • /
    • 2014
  • 드림스타트 사업은 취약계층의 아동에게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복지사업이다. 본 논문은 사업시행 6년이 경과한 현재의 시점에서 사업 참여자인 양육자를 대상으로 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드림스타트 사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연구결과, 드림스타트 사업은 이용아동들과 부모들에게 심리정서, 교육, 건강, 의식적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을 통해 아동은 자신감과 학력향상의 효과와 건강증진과 공동체 의식이 고취되었다. 이용부모들은 자녀와의 관계개선과, 경제적 효과 그리고 복지의식이 향상되었다. 이같은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드림스타트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과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드림스타트, 지난 10년의 성장과 향후 10년을 위한 과제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Dream Start Program in Korea)

  • 이상균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9호
    • /
    • pp.115-150
    • /
    • 2017
  • 2007년 시범사업으로 시작한 드림스타트 도입 10년을 맞아 그간의 변화와 성장을 사회투자전략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헤드스타트와 슈어스타트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 성과와 정책근거에 기반 해 도입된 드림스타트는 아동복지프로그램에서 주요한 공적 전달체계로 자리 잡고있다. 12세 이하 취약계층 아동에게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해, 아동의 복지를 증진시키며, 불평등 격차를 줄여 취약계층 아동에게 최선의 출발선을 제공하는 것이 드림스타트의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상담, 보건, 부모교육, 학습지원, 방과 후 활동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사례관리접근이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도입 이후 실시된 여러 효과성연구는 긍정적인 영향과 개선을 보고하고 있지만, 강력하고 기대했던 성과를 충분히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드림스타트가 애초 달성하려 했던 정책목표를 위해서는 향후 재정지원 확대와 안정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드림스타트 표적 집단인 취약계층 아동 모두가 드림스타트를 이용하고, 그들이 경험하는 불평등과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드림스타트가 고려하고 추진해야 할 향후 과제들을 실천적 측면과 정책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드림스타트 사업 평가지표의 신뢰도와 변별력 측정 (An Analysis of Reliability and Discrimination Power on Evaluation Criteria of Dream Start Services)

  • 송미령;김정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10-217
    • /
    • 2019
  • 본 논문은 드림스타트 사업평가에 사용된 평가지표가 '평가분야 및 영역별 신뢰도가 있는지'와 '평가지표별 변별력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2018년 드림스타트 사업운영 평가를 받은 126개 시군구의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가영역별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기본구성, 통합사례관리, 서비스 운영의 평가지표에 대한 신뢰도가 .6 이상으로 하위 평가지표들이 상위 평가분야와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는 최소기준을 충족하였다. 그러나 자원 개발 및 연계 분야는 신뢰도가 낮게 파악되었다. 평가영역별로 보면, 통합사례관리 분야에서 사례관리 과정에 대한 하위 평가지표의 신뢰도는 높았으나 기본구성 분야에서 사업운영 체계, 전담조직 및 인력을 확인하는 평가지표간의 신뢰도가 낮았고, 사례회의, 서비스 운영을 확인할 수 있는 하위 지표 간의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평가지표별 변별력을 측정한 결과, 28개 지표 중 18개 지표는 변별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10개 지표는 변별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교육복지정책 발전방안 (Development Plan of the Education Welfare Polic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of Low Income Group)

  • 문아람;이윤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33-344
    • /
    • 2018
  • 저소득층 아동 소년을 위한 대표적인 교육복지정책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드림스타트, 방과후학교 등 세 가지 교육복지정책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보다 내실 있고 효율적인 교육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는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 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 교육복지정책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각 부처에서 분절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을 총괄할 통합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담당인력의 전문성 향상과 민간 인력의 고용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각 기관과 전문가 간 연계와 협의를 통해 교육복지에 대한 인식을 고양해야 한다. 넷째, 새로운 서비스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저소득가정의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준비도 비교 (Comparison of School Readiness between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nd Children in Non-low-income Families)

  • 조경진;최정수;박수경;안선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51-7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간에 학교준비도가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저소득가정 아동은 취약계층을 위한 교육지원사업인 드림스타트 참여 유무에 따라 학교준비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학교준비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세, 만 5세 아동 184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준비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검증, 일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 Scheff$\acute{e} $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학교준비도는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준비도 수준이 저소득가정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저소득가정 아동 중에서 드림스타트 참여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가정의 취학 전 아동이 학교준비도를 잘 갖출 수 있도록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저소득층 가정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 문제행동 간의 상호인과적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A Study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in Low Income Families)

  • 송미령;홍승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40-34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림스타트 사업에 참여한 저소득층 가정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상호 인과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드림스타트 사업에 참여한 아동과 양육자이며, 2015년에 초등학교 1학년인 아동과 양육자를 3년 간 추적 조사하여 2017년까지 참여한 대상자의 자료를 반복 측정 하였다. 연구 방법은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종단적 발달에 적용하는 아동 효과 및 양육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귀회귀교차지연효과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의 자기회귀 계수가 모두 유의미하여 3년에 걸친 연구기간 동안 높은 수준의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양육스트레스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 간 인과관계의 원인은 주로 양육자 효과로 설명 되었다. 즉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로 인해 아동의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것이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저소득층 가정은 경제적 압박감으로 인해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가중되고 누적되어 자녀와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이어져 결국 아동의 문제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저소득층 가정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를 경감하기 위해 다양한 양육자의 심리적 지원 방안이 강화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