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료

검색결과 1,143건 처리시간 0.029초

동료평가를 활용한 실습교육평가방법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e Education Evaluation using Peer Evaluation o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Learning Attitude, Critical thinking and Self-Leadership)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51-361
    • /
    • 2019
  • 본 연구는 동료평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실습교육평가방법이 졸업반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핵심기본간호술 교과목 수강자 4학년 학생으로 총 32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한 학기동안 실시하였다. 자료는 AMOS 20.0과 SAS 9.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동료평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의 평균평점은 3.77(${\pm}.62$)점, 학습태도 3.17(${\pm}.47$)점, 비판적 사고는 3.44(${\pm}.41$)점, 셀프리더십은 3.60(${\pm}.49$)점으로 나타났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은 성별, 간호학 전공만족도, 핵심기본간호술 실습만족도, 동료평가 전 사전학습여부, 동료평가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은 학습태도(r=.295, p<.001)와, 비판적사고는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r=.384, p<.001), 학습태도(r=.623, p<.001)와, 셀프리더십은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r=.353, p<.001), 학습태도(r=.529, p<.001), 비판적사고(r=.690, p<.001)와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비판적사고, 셀프리더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을 고려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기후위기 주제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설계와 실행에 있어서 예비과학교사들이 갖는 경험 분석: 상호동료교수법 적용을 중심으로 (Experienc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on Climate Crisis Topics: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Reciprocal Peer Teaching)

  • 손연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7-291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기후위기 주제 교육자료를 재구성하고, 상호동료교수법 활용을 통해 팀별로 수업실연 준비와 실제로 수업실연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심층 분석하여, 과학관련 사회 이슈를 다루는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과학교사들은 교육과정을 횡적으로 분석하여 교과통합적인 요소를 추출해내는 전문성은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를 실제 수업실연을 통해 사회문제해결 과정과 통합시켜 융합적인 과학수업을 실행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하여 예비과학교사들은 상호동료교수법 활용 수업실연 준비 및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과학교사가 되었을 때, 자신만의 특화된 전문성을 갖는 것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상호동료교수법 활용을 통해 다양한 전공의 예비교사들이 서로의 전문성을 공유하면서 융합수업 설계와 실행의 과정을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은 예비교사들의 융합교육 교사전문성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간호교육에 적용한 동료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er-Assisted Learning Applied to Nursing Educa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 곽은미;우진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89-96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 적용한 동료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이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G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 중 총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규수업 종료 후 실험군(N=117)에게는 10주 동안 매주 1회 이상의 동료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대조군(N=112명)에게는 10주 동안 개별 자율학습을 진행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X2-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t=6.50,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t=2.01, p=.046), 학업성취도(t=4.98, p<.001)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동료학습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확인되었으므로 간호교육의 교과 외 활동 설계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무원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직원의 혁신행동과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 동료의 성장가능성에 대한 믿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Civil Servant Superior's Coaching Leadership on Subordinates' Innovative and Cooperative Behavio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Belief of the Colleague's Potential Growth)

  • 박은희;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6권1호
    • /
    • pp.57-9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 협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공무원 상사의 코칭리더십의 효과를 검증하고,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부하 직원의 혁신행동과 협력행동 사이에서 부하의 인지적 유연성, 동료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믿음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에 소재한 교육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상사 155명, 부하직원 442명 총 597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상사가 답변한 부하들의혁신행동과 협력행동의 측정값을 부하 직원의 응답 결과와 짝을 맞추어 부하직원의 데이터에 합친 후, 결측치와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총 397부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공무원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부하 직원의 혁신행동, 협력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둘째,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부하 직원의 인지적 유연성, 동료의 성장가능성에 대한 믿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고, 셋째, 인지적 유연성은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넷째, 동료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협력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및 분자의 운동에 대한 개념 학습에서 상호동료 질문생성 전략의 효과 (The Effects of Reciprocal Peer Questioning Strategy in Concept Learning on the Three States of Matter and Motion of Molecules)

  • 김경순;김소연;이정민;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94-403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상호동료 질문생성 전략이 학생들의 개념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남녀 공학 중학교 1학년 학생 92명을 통제 집단, 상호동료교수(RPT) 집단 및 상호동료 질문생성(RPT) 집단에 배치하고, '물질의 세 가지 상태'와 '분자의 운동' 단원을 대상으로 12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 과학 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RPQ 집단의 개념 이해도 검사 점수가 세 집단 중에서 가장 높았고, RPT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도 높았으며 이들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상위 학생들의 경우, RPQ 집단의 개념 응용력 점수는 다른 두 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고, RPT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높았다. 하위 학생들의 경우에는 RPT 집단과 RPQ 집단의 개념 응용력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높았으나, RPT 집단과 RPQ 집단의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 간 교수 활동에 의한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화학 개념 학습을 도와주며, 학생들이 직접 문제를 만드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RPQ 전략을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개념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유용한 교수 방법의 하나로 제안한다.

ATM PNNI에서 셔플넷을 이용한 링크 상태 정보 집단화 방법 (Link State Aggregation using a Shufflenet in ATM PNNI Networks)

  • 유영환;안상현;김종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7권4호
    • /
    • pp.531-54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ATM PNN망에서 경로 배정을 위해 필요로하는 링크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집단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집단화할 동료 그룹을 효율적으로 집단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방법은 집단화할 동료그룹의 경계노드들을 셔플넷의 노드들로 사상시킴으로써 표현해야 할 링크의 수를 완전 그물망 방법의 $N_2$에서 pN(p는 정수 N는 경계노드수)으로 줄인다 이는 공간 복잡도가 O(N)인 신장트리(spanning tree)방법에서 필요로 하는 링크의 수와 비슷하지만 신장 트리방법과는 달리 비대칭망(asymmetric network)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접이다. 모의 실험결과 셔플넷 방법은 pNro의 링크만을 표현하면서도 상태 정보의 정확성은 완전 그물망 방법에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호대학생의 유치도뇨 동영상 촬영을 이용한 토의식 동료평가 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Video-aided Peer Feedback on Enhancing Nurs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Foley Catheterization)

  • 천의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5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feedback on nursing students using videos filmed during the catheterization procedure. Method: The study was a structured nonequivalent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ilmed performing foley catheterization. After the procedure, the group video review followed and peer feedback was provided.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mean score in learning motivation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s in learning attitude and self efficac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video-aided peer feedback was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psychomotor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