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성 버섯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9초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과 아가리쿠스버벗 (Agaricus blazei Murii) 추출물의 유전독성 억제효과 (Antigenotoxic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and Agaricus blazei Murill Extracts)

  • 지정환;김미남;정차권;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13-517
    • /
    • 2000
  • 상황(Phellinus linteus) 및 아가리쿠스(Agaricus blazei Murill) 버섯으로부터 얻어진 메탄올 추출물과 이들 용매분획물에 대하여 마우스의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 실험을 행하여 MNNG에 대한 유전독성 억제효과를 실험 하였다. 상황버섯 메탄올 추출물은 MNNG에 의한 소핵생성에 대하여 10.6~75.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분획물의 경우 80mg/kg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케르, 부탄올, 클로로포름 그리고 물층이 각각 81.3,78.1,75.6,72.4 그리고 63.4%의 유전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가리쿠스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유전 독성 억제효과에서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80mg/kg 투여시 86.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디엘티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탄올 그리고 물층 분획물의 경우 80mg/kg 투여시 86.2,81.3,78.1,69.9 및 61.8%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와 같이 상황버섯과 아가리쿠스버섯의 추출물과 분획물들은 높은 유전독성억제효과를 나타냄으로서 건강식품으로서의 개발과 고부가가치의 의약품으로서 개발가능성을 가진 대단히 유용한 버섯임을 알 수 있었고, 다음 단계의 실험으로 이러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부분만을 분리, 정제하여 추가적인 검색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변산반도 국립공원 고등균류의 자원이용적 특성 (Resources Use Characteristics of Higher Fungi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장석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30-251
    • /
    • 2017
  • 2009년부터 2011년, 2015년까지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총 2문 6강 18목 61과 157속 323종이 조사 되었으며, 주름버섯목(Agaricales)이 23과 67속 153종, 그물버섯목(Boletales) 6과 27속 45종, 무당버섯목(Russulales) 3과 4속 40종 및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6과 21속 28종으로 4목의 종수가 총 266종으로 전체 종수의 82.4%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종수가 조사된 균류는 그물버섯과로 37종이었으며, 무당버섯과(36종), 주름버섯과(28종) 및 광대버섯과(25종) 순으로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환경별에서는 외생균근성 버섯은 15과 38속 130종(40.2%)으로 독성 버섯은 46종, 식 약용 버섯 51종 및 식 독 불명 버섯 26종 등이 조사되었으며 낙엽 및 목재부후균은 33과 72속 114종(35.3%)이었고 이 중 독성 버섯은 10종, 식 약용 버섯 52종 및 식 독 불명 버섯 46종 등이, 지상균은 24과 47속 72종(22.3%)이었고 독성 버섯은 8종, 식 약용 버섯 31종 및 식 독 불명 버섯 29종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발생에서는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 약용 버섯 및 식 독 불명 버섯 등은 7월과 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별에서는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 약용 버섯 및 식 독 불명 버섯 등은 1~199m 지역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m 이상 지역에서는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독성 버섯, 식 약용 버섯 및 식 독 불명 버섯 등은 평균온도에서는 $24.0{\sim}25.9^{\circ}C$, 최고온도 $28.0{\sim}29.9^{\circ}C$, 최저온도 $20.0{\sim}21.9^{\circ}C$, 상대습도 77.0~79.9% 및 강수량 300.0~499.9mm일 때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맥아 첨가비율을 달리한 표고당화액의 세포독성, 항염증효과 및 아미노산 함량 (The Content of Amino Acid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Lentinula edodes Syrup by Different Malt Concentrations)

  • 하늘이;박옥란;김경제;진성우;고영우;임승빈;정희경;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4-104
    • /
    • 2019
  • 표고(Lentinula edodes)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면역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고 특유의 향미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상이하여, 표고를 맥아로 당화하여 소비자들의 섭취 편이성을 향상시키고, 아미노산을 포함한 당화액을 제조하여 면역효과가 증강된 제품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버섯류를 비롯한 담자균류에는 다양한 약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민간에서도 자주 사용된 기록이 있다. 최근 고등담자균류인 버섯의 성분 및 유용성에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버섯류에 대한 식품학적 및 약리학적 측면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표고(L.edodes)와 당화효소로 사용한 맥아의 비율에 따라 A (표고 1 kg : 맥아 50 g), B (표고 1 kg : 맥아 100 g), C (표고 1 kg : 맥아 200 g), D (표고 1 kg : 맥아 300 g), E (표고 1 kg : 맥아 300 g) 5개의 시험구를 설정하였으며, 제조된 표고당화액을 농축 후 동결건조 하여 분말로 분쇄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표고당화액의 면역효과를 검증하고자, Raw 264.7에 표고당화추출분말 A, B, C, D, E를 각각 10, 50, 100 및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각 시료에 대한 세포 독성과 항염증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독성 시험결과, E 시험구의 경우 $100{\mu}g/mL$의 농도에서 75.3%, $500{\mu}g/mL$의 농도에서 66.3%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 독성을 보였다. 또한 A, B, D를 각각 $500{\mu}g/mL$의 농도로 처리 했을 때, 94.1%, 83.1%, 80.2%의 NO 생성율을 나타내어 E 시험구를 제외하고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고당화추출분말의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C 시험구에서 19,699.01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 시험구에서 17,231.14 mg%, B 시험구에서 17,152.38 mg%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E 시험구에서 13,367.98 mg%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표고당화추출분말에서 총 16종의 유리아미노산 이 검출 되었으며, C 시험구에서 2,562.06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B 시험구에서 2,243.16 mg%, D 시험구에서 1,895.29 mg%, A 시험구에서 1,672.82 mg%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흰목이버섯 유래 고순도 다당체의 광노화 개선 Global 화장품 신소재 개발

  • 최재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12
    • /
    • 2021
  • 최근 길어진 여름 및 이상고온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심화되는 광노화 피부의 특징으로는 건조, 굵고 깊은 주름, 탄력저하 및 불균일한 색소침착 등이 나타나게 됨. 화장품 소재는 기존 광노화 관련 화학물질인 Retinol 등을 대체하기 위해 자연 유래 성분을 적용한 신소재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흰목이버섯(Tremella fuciformis)은 흰목이목에 속하는 버섯류로 자실체는 한천질로서, 주름이 되어 갈라져 있거나 또는 귓불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크기는 10 cm 정도이다. 중국에서는 보양식의 주재료로 쓰일 만큼 탁월한 항노화 효능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목이버섯의 자실체에서 추출하여 정제한 β-Glucan의 성분 확인, in vitro 수준의 피부 항노화 효과, 동물대체 독성 시험을 통한 피부독성 확인 및 인체 피부유효성 평가를 통한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흰목이에서 추출, 정제 후 Bio-LC를 통한 유리당 분석 결과 Mannose, Fucose, Glucose를 확인하였으며, Human Keratinocyte에 UVB를 조사하여 광노화를 유발한 피부세포에 피부 자극 및 탄력저하 인자인 IL-6, TNFa 및 MMP-1을 평가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습 및 피부장벽 개선 인자인 Filaggrin과 Involucrin 생성효능을 평가한 결과 매우 높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광독성, 피부감작성 및 안점막 동물대체 독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무독성임을 확인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 효능이 우수한 것을 in vitro 수준에서 확인하였고, 피부 홍반완화, 주름개선, 탄력개선 및 보습증가 등 광노화 예방효과를 인체를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유의적인 홍반완화, 주름개선, 탄력 및 보습증가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흰목이버섯에서 추출, 정제한 β-Glucan은 in vitro 수준에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완화, 탄력 및 보습개선을 확인하였고 독성시험을 통해 무자극임을 판정하였으며, 인체유효성 평가를 통해 광노화 예방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본 결과를 통해 아시아 및 글로벌 시장으로 천연유래 항노화 소재로 확장하고자 한다.

  • PDF

한국산 야생버섯의 용혈작용에 대한 연구 - 제 3보 : 무우자갈버섯(Hebeloma crustuliniforme) 용혈독소의 용혈특성 및 in vivo 독성 - (Studies on the Hemolytic Activities of Korean Wild Mushrooms (III) - Hemolytic Characteristics and in vivo Toxicity of Hemolysin of Hebelma crustuliniforme -)

  • 양희정;이지선;정경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9-123
    • /
    • 2002
  • 저자들은 한국산 야생버섯의 독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전보에서 68종의 한국산 야생버섯의 용혈활성을 검토하였고 그 중 무우자갈버섯(Hebeloma crustuliniforme)이 열내성 용혈독소를 함유함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우자갈버섯의 용혈성분을 냉침한 후, 황산암모늄 침전, 용해도 차이에 따른 분획 및 투석과정을 거쳐 부분정제하였다. 부분정제된 용혈성분은 분자량 분자량 12,000 이상으로서, 용혈 최적온도는 $37^{\circ}C$이고 세척하지 않은 혈액에 대해서 면양 > 랫트 > 사람 ${\geq}$ 마우스 > 닭의 순으로, 세척한 혈액에 대해서는 면양 > 마우스 > 사람 ${\geq}$ 랫트 > 닭의 순으로 용혈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무우자갈버섯의 냉침액 및 부분정제한 용혈성분을 마우스에 복강투여한 결과, 용혈은 물론 심한 급성 간독성 및 신장독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독버섯으로 잘 알려진 무우자갈버섯의 독성이 최소한 부분적으로라도 그 용혈성분에 기인할 가능성을 강하게 암시하고 있다.

맛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Pholiota nameko sp. ethanol extract)

  • 조세현;진경언;우양;정경주;윤형식;유영복;박기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2-149
    • /
    • 2010
  • 맛버섯 10계통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polyphenol 및 ${\beta}$-glucan 함량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으로 항산화 및 항암, 항고혈압, 항당뇨, 항염활성을 측정하였다. Polyphenol 함량에서는 전 계통에서 전반적으로 40 mg% 함량 이상이였고, 맛버섯 M-1548이 $61.50{\pm}0.59$ mg%로 가장 높았다. ${\beta}$-glucan 함량에서도 맛버섯 M-1548에서 $37.20{\pm}1.12%$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맛버섯 M-900에서 $36.35{\pm}1.11%$, M-1630에서 $36.24{\pm}1.27%$의 순서로 높은 ${\beta}$-glucan 함량을 나타냈다. 항당뇨 활성에서도 역시 맛버섯 M-1548이 $13.78{\pm}0.56%$로 가장 높은 효소 저해율을 보였으나 항염 활성에서는 맛버섯 M-1630이 $56.59{\pm}7.11%$로 가장 높은 nitric oxide 저해율을 보였으며 맛버섯 M-1548은 $26.21{\pm}0.5%$로 미미한 저해율을 보였다. 전자공여능 및 ACE 저해활성, nitrite 저해활성은 효과가 없거나 미미한 활성만을 나타냈다.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1 mg/mL로 처리시 폐암세포에 대해 전반적으로 30%이상의 세포 사멸율을 보였으며, 자궁경부암세포에서도 맛버섯 M-1548에서 $10.05{\pm}0.44%$의 세포 사멸율을 보였다. 그러나 대장암세포와 정상세포인 섬유아세포에서는 세포 사멸율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맛버섯 10계통은 폐암세포와 자궁경부암세포에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정상세포에 대해선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걸 확인하였다.

  • PDF

내장산 국립공원 고등균류의 자원이용적 특성에 따른 발생 (Occurrence according to Resourc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Higher Fungi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김종영;장석기;김미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0-283
    • /
    • 2017
  • 내장산 국립공원을 2004년~2011년 및 2013년까지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총 2문 7강 21목 74과 229속521종이 조사되었으며, 이중 주름버섯목(Agaricales) 24과 99속260종, 그물버섯목(Boletales) 10과 30속 59종, 무당버섯목(Russulales) 5과 8속 53종 및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5과 33속48종 등 4목이 전체 종수의 80.6%(420종)를 차지하고 있었다. 가장 많은 종이 포함된 분류군은 그물버섯과와 무당버섯과로 44종이었으며, 주름버섯과(35종), 구멍장이버섯과(29종) 및 광대버섯과(27종)의 순으로 출현 종의 수가 많았다. 이를 다시 서식환경별로 세분해 보면, 외생균근성버섯은 21과 44속192종(36.9%)이 분류되었는데 이중 독성 버섯 63종, 식 약용 버섯 79종, 식 독 불명 버섯 43종이었고, 목재 및 낙엽부후균은 41과 118속 199종(38.2%)으로 이중 독성 버섯 14종, 식 약용 버섯 85종, 식 독 불명 버섯 90종이었으며, 지상균은 29과 66속121종(23.2%)으로 독성 버섯 8종, 식 약용 버섯 54종, 식 독 불명 버섯 47종 등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9종은 위의 그룹에 해당되지 않는 서식처를 갖고 있었다.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 약용 버섯 및 식 독 불명 버섯은 7월~9월 사이에 집중하였고, 해발고도에서는 200~299 m인 지역에서 발생이 매우 높았으며 700 m이상 지역에서는 발생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환경 요인별에서는 평균기온 $25.0{\sim}28.9^{\circ}C$(최고기온 $30.0{\sim}33.9^{\circ}C$, 최저기온 $21.0{\sim}24.9^{\circ}C$), 상대습도 73.0~80.9% 및 강수량 400.0 mm 이상일 때 대부분의 버섯류의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in vivo 항암활성 및 급성, 아 급성 독성 시험 (In vivo Antitumor Activity and Acute, Subacute Toxicity of Keumsa (Phellinus linteus) Extracts)

  • 김종명;박준덕;박동찬;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88-1396
    • /
    • 2013
  • 본 연구는 인공재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인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mouse sarcoma cells인 S-180 세포에 대한 정맥 투여 시 항암 효과와 급성독성 및 4주 아 급성 독성에 대한 보고이다.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항암효과는 250 mg/kg에서 대조군 대비 42.7%의 크기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급성 독성에서는 $LD_{50}$치가 632.84 mg/kg (♂)과 814.48 mg/kg (♀)로 나타났으며, 이자와 장기의 무게비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4주 아 급성 독성 시험에서 $LD_{50}$치는 355.41 mg/kg (♂)과 383.53 mg/kg (♀)로 나타났으며, 특히 250 mg/kg 투여군에서는 간의 무게 비가 2배 정도 증가하는 현상과 황색 반점이 나타났다. 특히 125 mg/kg 이상 투여군에서는 점프 능력과 민첩성 등의 운동 능력이 현저히 증가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에 대한 표준물질 정제 과정을 통한 작용기전과 운동능력 향상에 대한 실험 등이 추가된다면 유효 농도에서 독성이 낮으면서도 암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천연물 신약의 후보 물질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추출물 및 잎새버섯과 흰목이 (Tremella fuciformis) 혼합추출물의 급성독성시험 (Acute toxicity evaluation of maitake mushroom extract and the mixture of maitake and white jelly mushroom extract)

  • 오영주;박금주;하효철;김현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1-9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혈당강하 소재로서 가능성이 확인된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었다. 마우스에 대한 급성경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체중 kg 당 최고 5g의 각 시험물질을 마우스 위에 직접 투여하여 48시간 동안 관찰 한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사망예가 관찰되지 않아 LD50 은 5g/kg B.W. 이상으로 계산되었으며, 임상 증상이나 체중에서도 유의할만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의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은 마우스에 있어서 단기 급성 경구독성이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식품소재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은 급성 독성이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임상사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주었다.

  • PDF

송이버섯 배양 균사체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ultured Tricholoma matsutake Mycelia on Melanin Biosynthesis)

  • 최상윤;김나나;김영언;이연미;김순정;김재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40-242
    • /
    • 2011
  • 액체배양한 송이버섯 균사체와 배양액의 tyrosianse 억제활성과 melanocyte에서의 세포독성 및 멜라닌 생성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배양액 농축물은 큰 효과가 없었으나 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100 ppm에서 38.6%의 tyrosianse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melan-a 세포에서 세포독성 없이 세포생존율 대비 19%의 멜라닌 생성량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배양된 송이버섯균사체는 피부색소조절을 위한 소재로써 사용되어질 수 있는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